•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학·천도교의 ‘계몽 프로젝트’ 안에서 본 어린이교육운동 --공론장(公論場) 구조변동의 관점을 중심으로 (The Educational Movement for the Children in ‘the Project of the Enlightenment’ of Donghak·Cheondokyo - Focusing on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4.06
32P 미리보기
동학·천도교의 ‘계몽 프로젝트’ 안에서 본 어린이교육운동 --공론장(公論場) 구조변동의 관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학학회
    · 수록지 정보 : 동학학보 / 31호 / 53 ~ 84페이지
    · 저자명 : 전석환

    초록

    본 연구는 동학·천도교의 ‘계몽 프로젝트’의 일환인 ‘어린이교육운동’을 공론장의 개념 안에서 고찰한다. 그러한 고찰은 종교적 영역의 신앙과 사회적 영역의 사회화의 과정이 어떠한 관계로 이루어졌나를 탐구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서구사회의 역사 안에서 공론장과 종교의 관계는 한 마디로 반비례의 역학관계로 풀이할 수 있다. 즉 시민 공론장은 무엇보다 먼저 공중으로 결집한 사적 개인들의 영역으로 파악된다. 그러한 결과로 봉건권력, 즉 대의적 공론장을 담지하던 교회와 제후 그리고 귀족 신분들을 양극화시키면서 해체시킨다. 마침내 교회가 대표하는 신적 권위는 사적인 것으로 전락한다.
    그러나 동학·천도교에서는 그러한 구도가 서구의 맥락과 다르게 전개됨을 관찰할 수 있다. 즉 종교의 확대와 더불어 공론 영역의 확대가 동시에 구축되는 모습을 띄고 있는 것이다. 서구의 맥락과는 정반대의 모습을 보이는 동학·천도교에 있어서의 종교와 공공영역 발전의 이유를 ‘탈근대의 사유’로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시점에서 확실한 사실은 동학·천도교의 성격이 근본적으로 서구의 맥락과는 다름의 근거를 분명히 설명할 수 있는 창조적 독해의 방법이 그 동안의 성과 외에 더 필요하다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Movement for the Children’ as part of ‘the Project of the Enlightenment’ of Donghak·Cheondokyo through the concept of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ublic sphere.
    Such an investigation is focu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form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the belief in the religious sphere and the process of socialization in the society.
    In the occidental history it can be explained the relation between the public sphere and religion as an inverse relationship.
    That is, the bourgeois public sphere could be conceived above all as the sphere of private people come together as a public. Consequently the feudal powers, namely the church, the prince, and the nobility, who were the carriers of the representative publicness, disintegrated in a process of polarization. After all the anchoring in divine authority that it represented, - that is, religion - became a private matter.
    In contrast to occidental religious context we could observe that it takes the different path of development in Donghak·Cheondokyo. In it, namely the extension of the religion sphere is at the same time established the extension of the public sphere.
    We could explain the reason of this direct opposition to the occidental public sphere as the element of the post-modernity in Donghak·Cheondokyo. But at this point it is ceratin that this try is not enough to be well founded. It is necessary to have more creative methods which could clarify the reason of such difference between them beyond the achievement thus fa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학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