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시 공간 테니스장의 사회적 생산과 소멸에 관한 연구: 사설 및 아파트 테니스장을 중심으로 (The Social Production and Extinction of Tennis Court in Urban Space: The Case of Private and Apartment Complex Tennis Court in Seoul)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3.03
25P 미리보기
도시 공간 테니스장의 사회적 생산과 소멸에 관한 연구: 사설 및 아파트 테니스장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스포츠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 26권 / 1호 / 125 ~ 149페이지
    · 저자명 : 한승백

    초록

    이 연구는 본격적으로 테니스장이 들어서기 시작한 70년대 이래 서울의 사설 및 아파트 테니스장들이 만들어지고 사라지는 과정을 공간의 사회적 생산과 소멸을 통해 탐색하였다. 주요 자료수집 방법은 문헌고찰과 인터뷰이다. 문헌고찰을 위해 신문자료와 테니스관련 잡지 등을 통해 자료로 수집하였고, 인터뷰는 1명의 원로 테니스 동호인, 2명의 테니스장 경영인, 2명의 테니스 코치, 총 5명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 연구에서 도출한 서울 도심 속 테니스장의 생산과 소멸에 관한 몇 가지 주요 국면은 다음과 같다. 첫째, 70년대 초 테니스 인구가 증가하면서 서울 도심에 새로운 여가 공간으로서 사설 테니스장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이 가운데 일부 사설 테니스장은 사치화 경향에 대한 사회적 비판에 직면하였고, 테니스문화는 고급문화로서 안정적인 정착을 하지 못하였다. 둘째, 부동산 조세정책에 따라 많은 사설 테니스장들이 만들어지고 사라졌다. 80년대 테니스장은 공한지세의 면제 대상이 되었고 그 결과 서울 도심 곳곳에는 많은 테니스장이 생겨났다. 이는 테니스 대중화에 기여하였지만 조세혜택을 투기 목적으로 악용하는 사례가 발생하면서 코트의 질적 저하를 초래하였다. 이후 토지공개념의 도입에 따른 부동산 억제정책이 추진되면서 수많은 테니스장이 일시에 사라지게 된다. 셋째, 한국의 아파트테니스장은 79년부터 시행된 공동주택 내 실외체육시설 설치에 대한 의무규정에 따라 본격적으로 만들어지기 시작한다. 상류사회의 스포츠였던 테니스를 주택 내 설치하는 것은 주거공간의 품격을 한결 높이는 일이었기에 많은 아파트단지 내 테니스장이 건설되었다. 99년부터는 아파트 단지 내 설치하는 체육시설의 범위가 자율화 되면서 시설의 다양화가 이루어졌고, 특히 최근 테니스장은 소음 등의 문제로 주거공간에 위치하기에 부적절하고, 동호인 위주로 폐쇄적으로 운영되면서 용도변경의 주요 대상이 되고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서울의 테니스장은 제도와 법률로 대변되는 국가 그리고 도시 공간을 지배하는 사적 자본주의 축적 논리가 끊임없이 교차하는 가운데 그 사회적 생산과 소멸을 반복해 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on the social production and extinction of tennis courts in urban space of Seoul. The research explored the process in which tennis courts have been constructed and demolished since 1970s in which tennis courts had started to be set up. Data was colle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News articles in daily papers and tennis magazines were used as main literature, and 5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one elder tennis man, two managers of tennis area and two tennis coaches. Some main phases this research has found are as follows. First, as the number of people playing tennis increased in the early 70’s, private tennis courts started to appear in the heart of Seoul as new leisure space. Some of them were subject to criticism for their deluxe atmosphere, so tennis culture could not settle down. Second, a number of tennis courts appeared and disappeared according to tax policy for real estate. In 1980’s, as tennis courts became an exemption object of tax on vacant lot, a lot of tennis courts were erected. This contributed to the popularization of tennis to some degree, but at the same time caused quality degradation of tennis courts because of the misuses of tennis courts for tax exemption and speculation.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of the public concept of land ownership, government started to regulate real estate speculation, which caused a large number of tennis courts to disappear. Third, Apartment tennis courts had a great impact on the popularization of tennis in Korea. They were begun to set up based on the regulation on the outdoor sports facilities’ arrangement in Multi-Family Housing. A lot of tennis courts were constructed in almost every apartment complex as the high society sport facility was though to help improve the dignity of their residential space. From 1999, as the scope of sports facility that can be set up in apartment complex diversifies, many other types of facilities were introduced. In particular, because of noise in tennis courts and closed and exclusive operation of tennis clubs, tennis courts are becoming pushed out of residential space and an object of alteration of purpose. As a result, this study identified that tennis courts in Korea has been affected by the dynamics between state expressed as rules and institutions and capital that dominates urban sp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