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벌충과 길항 - 초기 현대문학 학술장과 문학장 사이의 양상 (The Complementary and Antagonistic Aspects Between the Early Academic Field and Literary Field)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22.08
41P 미리보기
벌충과 길항 - 초기 현대문학 학술장과 문학장 사이의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현대문학연구 / 67호 / 167 ~ 207페이지
    · 저자명 : 나준성

    초록

    이 글은 지금-여기의 현대문학 연구자가 감각하는 학술장과 문학장 사이의 중첩된 형태의 연원을 구명하기 위한 시론으로서, 최초 학술장이 기존 문학장에서의 벌충으로부터 형성되었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그리고 이 글은 당대 학술장과 문학장 사이를 횡단했던 주체들이 문학장에서 자신의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학술적 글쓰기 및 학술장을 자원화하는 양상을 살폈다. 교수가 된 백철의 비평이 되찾은 해방 이전과 같은 활기는 그가 저널리즘 비평의 동력을 더는 저널리즘이 아닌 학술장으로부터 얻고 있었음을 드러낸다. 그런데 한편 이 시기 백철의 평론은 실천비평이 아닌 원론비평을 향하고 있었고, 그의 글에서 ‘현대문학’이라는 용어는 ‘당대의 문학’과 ‘국문학과 내 학문분과’ 모두를 뜻하는 중첩된 기표로 쓰이고 있었다. 이는 그가 전과 다른 비평가 주체가 되었음을 보여주는데, 이 맥락에서 그의 뉴크리티시즘 수용이란 단순히 학문으로서의 비평론을 들여오는 것이 아닌, ‘강단비평가’라는 정체성을 들여오고자 한 것이 된다. 또한 이 글은 조연현, 김동리로 대표되는 청문협 출신 문인들은 교수가 되어 그들의 아카데미(대학)를 『현대문학』을 통해 문인을 재생산하는 시스템으로 운용했던 한편, 반대로 현대문학 학술장이 안정화되면서 문학장에 아카데믹한 비평의 언어가 심화된 것을 통해 ‘문학으로서의 비평’이 점차 그 유효함을 잃어가던 양상에 주목했다. 1950년대 중후반, 앎으로서의 문학을 전공한 졸업생들이 문학장에 진입하게 되면서 문학장은 학술장으로 인해 전례 없는 양적 팽창을 이루게 된다. 그런데 문학장의 새 얼굴들이 학술장에서 배출된 인물들로 채워지는 이 장면은 그로부터 10여 년 전 학술장 형성기의 벌충과는 정반대로의 벌충에 해당한다. 이 시기 문학장의 신인 평론가들의 글이 아카데믹한 비평론을 전개하는 원론비평의 형상을 주로 띠고 있는 것에서, 또 이들의 글에서 비평이란 문학이기만 한 것이 아니라 외국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이론가이자 사상가의 에크리튀르여야 했던 것에서 이때의 비평은 그 이전 문학장에서의 비평을 이어받고 있기보다 학술장에서의 학문을 이어받고 있었다. 이렇게 학술장과 문학장은 서로 겹쳐 있으면서, 상호보충적이면서도 길항적인 관계를 이루고 있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as a preliminary study to investigate the reduplication of the academic field and the literary field perceived by researchers in modern literature “here and now”, is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first academic field was formed from a supplementation of the previous literary field. In addition, this thesis examined the aspect of the subjects who crossed between the academic field and the literary field of turning academic writing and academic field into resources to expand their influence in the literary field. The same energy in Baek Cheol’s criticism after he became a professor, which was regained as before the national liberation, reveals that his journalism critique has been empowered from the academic field but not from journalism as before. However, Baek Cheol's criticism was heading toward theoretical criticism but not practical criticism, and the term “modern literature” in his criticism was used as an overlapping signifiant which means both “contemporary literature” and “academic department in Korean literature”. This shows that he has become a different critic than before, and in this context, his acceptance of New Criticism was not just to bring in criticism as a discipline, but to bring in an identity of "academic critic". Also, this thesis noted that literature from the “Chungmunhyup” represented by Cho Yeon-hyun and Kim Dong-ri, became professors and operated their universities’ academy as a system to reproduce writers through Hyundai Munhak(Modern Literature), and the aspect that "criticism as literature" was gradually losing its validity through the deepening of the academic criticism in the literary field as the academic field of modern literature stabilized. In the mid-to-late 1950s, as graduates majoring in literature as knowledge entered the literary field, the literary field expanded unprecedentedly due to the academic field. However, this scene where the new figures of the literary field are filled with characters produced from the academic field, was the opposite supplementation of the academic field formed about a decade ago. In this period, criticism was not only literature but also the écriture of theorists and thinkers with the ability to critically examine foreign theories, but also the criticism of the academic field rather than the criticism of the previous literary field. In this way, the academic field and literary field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formed complementary and antagonistic rel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현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