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谿谷 張維 詩論 硏究 - 詩經의 영향을 중심으로 - (A Study on Gye-kok Chang-yu(谿谷 張維)’s criticism of poems -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The Book of Odes” -)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22.03
38P 미리보기
谿谷 張維 詩論 硏究 - 詩經의 영향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방한문학 / 90호 / 141 ~ 178페이지
    · 저자명 : 정향춘

    초록

    어려서부터 타고난 자질이 총명했던 谿谷 張維는 『詩經』 등 유가경전은 물론 道家․佛家․醫卜․天文․地理 등에 통했고, 그의 학문성취도 이에 힘입었음은 자타가 공인하는 바다. 본고는 이와 같은 학문적 배경을 전제로 계곡의 시론에 끼친 『시경』의 영향에 주목하여 詩序說, 詩史經說, 辭賦說, 天機說을 고찰하였다. 계곡의 「詩序」는 「毛詩序」를 버리고 “淫者自作”설을 주장한 주자의 견해를 정면으로 부정했다. 이는 주자일변도의 학문적 분위기에서 벗어나 다양한 사고방식으로 학문연구에 임해야 한다는 개방의식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詩史經說은 詩․史․經이 융합된 杜詩는 주로 『시경』을 비롯한 유가경전에서 자양분을 섭취한 것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이는 杜詩를 詩史로 간주하는 상식에서 벗어난 계곡만의 이해이다. 그리고 “言切志深”, “事核而備”, “刺婉不隱” 등 詩․史․經의 특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가치를 논할 수 있고, 이런 작품이 훌륭한 시라는 詩論의 내함을 추출할 수 있다. 詞賦說은 「離騷」는 『시경』의 변종이고 사부는 또 「이소」의 변체이며, 『시경』, 「이소」, 사부로 이어지는 연결 키워드는 “麗以則”으로 보았다. 사부는 情性을 바로잡고 인간의 양심과 사물의 법도를 회복시키는 등 詩敎의 측면에서 『시경』 등과 근사하다. 단 사부에 경도된 중요한 원인의 하나가 곧 귀신같은 절륜한 文藝의 경지로 파악된다. 이는 “獨秉天機”의 경지에 임하지 않으면 이루어질 수 없음을 시사한다. 天機說은 천기의 내함을 진솔한 감정을 자연스럽게 발로한 것이라 하여 “성색” 등 형식 요소도 망라시켰다. 천기를 직접 경술과 연관시키지는 않았지만, 시문에 대한 자타의 평에서 언제나 經本설이 주로였음을 알 수 있었고, 시평의 용어나 개념 등도 대체로 유가시론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았다. 계곡이 주장한 “以人觀詩”시점에서 보면 천기설의 기반은 유가의 시론에 있음이 분명하다. 이는 國風을 천기의 시로 규정한 洪良浩의 언급에서도 방증된다. 특히 “以人觀詩”설은 현대의 사회역사비평방법론에 해당하고, “眞情實境”, “情境妥適”은 “情景交融”의 意境에 다름 아니다. 그리고 천기설은 현대의 시 창작논의 靈感說과도 맥이 통한다. 요컨대 계곡의 천기설은 재래의 시론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현대인의 의식에 다가선다는 점에서 가치를 논할 수 있다.

    영어초록

    It is well known that Gye-kok Chang-yu, who was born with bright qualities since he was young, was proficient not only in Yuga Scriptures such as “The Book of Odes”, but also in Taoists(道家)・Buddhist(佛家)・medicine and divination(醫卜)・astronomy・geography. And further his academic achievement was also supported by these studies.
    On the premise of this academic background, this paper studies theory of Si-seo(詩序說), theory of Si-sa-gyeng(詩史經說), theory of Sa-bu(詞賦說), theory of Cheon-gi(天機說),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The Book of Odes” on Gye-kok’s criticism of poems.
    Gye-kok’s “Si-seo(詩序)” had abandoned “Mo-si-seo(毛詩序)” and completely denied Juja(주자)’s opinion that claiming the theory of “obscene writers(淫者自作)”. This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ed an open consciousness that academic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in various ways of thinking, breaking away from the academic atmosphere of one-sided to the Juja.
    The theory of “Si-sa-gyeng” could be seen that Du’s poetry which was fused by peotry, history, and scriptures were mainly influenced from the Yuga scriptures, including “The Book of Odes”. This is a creative understanding of Gye-kok which has deviated from common sense that regards Du’s poetry as a history of poetry. It is worthy that Gye-kok has 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Si-sa-gyeng as “keen and meaningful(言切志深)”, “well equipped content with the point(事核而備)”, “the satire is indirect without hidden(刺婉不隱)” and the content of Gye-kok’s criticism of poems could be extracted from these facts above.
    The theory of “Sa-bu(詞賦)” considered “I-sao(離騷)” as a variety of “The Book of Odes”, “Sa-bu” as a version of “I-sao”, and the connecting keyword between “The Book of Odes”, “I-so” and “Sa-bu” as “beautiful and custom(麗以則)”. “Sa-bu” is similar to the role of “The Book of Odes” in Si-gyo(詩敎), such as correcting disposition and restoring human conscience and the law of things. However, one of the important causes of Gye-kok’s tendency to “Sa-bu” is identified as the state of spiritual and exquisite literature and art. This suggests that it cannot be achieved unless it reaches the level of “nature’s mystery(獨秉天機)”.
    The theory of “Cheon-gi(天機)” includes form elements such as “the sound and color of the poem(聲色)” which has the content of nature expression of sincere feelings. Although Gye-kok has not directly related Cheon-gi to scriptures, it was found that his criticism of poems is always based on Yuga scriptures from the reviews by himself or others. His terms and concepts of poetry review generally has not deviate from the category of Yuga’s criticism of poems.
    From the point of view of “I-in-gwan-si(以人觀詩)” claimed by Gye-kok, it is clear that the basis of the theory of “Cheon-gi” lies in Yuga’s criticism of poems. This is also evidenced by the mention of Hong Yang-ho(洪良浩), which defines “Guk-pung(國風)” as a poem of Cheon-gi. In particular, the theory of “I-in-gwan-si(以人觀詩)” corresponds to the modern social criticism methodology. “Sincere feelings and realistic environment(眞情實境)” and “suitability between feelings and conditions(情境妥適)” are nothing but the artistic conception(意境) of “fusion of feelings and conditions(情景交融)”.
    The theory of “Cheon-gi” is in line with the inspiration theory(靈感說) of modern creation of poetry. In short, the value of Gye-kok’s Cheon-gi theory could be discussed in that it approaches modern consciousness while based on traditional criticism of poems theo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한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