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해방 후 한국광복군의 상하이잠편지대 설치와 귀국 (After liberation, the Korean Liberation Army was temporarily organized in Shanghai and returned to Korea)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24.03
43P 미리보기
해방 후 한국광복군의 상하이잠편지대 설치와 귀국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족운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118호 / 319 ~ 361페이지
    · 저자명 : 양지선

    초록

    1945년 일본의 무조건 항복 이후 김구 주석은 광복군의 확군정책을 공식적으로 발표하였다. 하지만 이는 중국 측이 양해가 있어야 가능한 일이었다. 초기 장제스는 이에 대해 매우 우호적인 태도를 보였다. 확군정책을 주도한 것은 광복군 총사령 이청천이었다. 그는 각지에 특파단을 보내 일본군 내에 복무중이거나 일본군을 탈출한 한국국적사병 등을 모아 광복군으로 편입시켰으며, 이들을 바탕으로 잠시 편성하는 부대 설치를 추진하였다.
    상하이에도 잠편지대가 설치되었다. 상하이잠편지대는 크게 중대, 소대, 분대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지대장은 박시창, 부지대장은 이하유, 참모는 최일청 등이었다. 총 인원은 약 400명에서 1,300여 명으로 까지 증가 하였다. 이 가운데 제1중대가 120명이었으며, 제1중대 1소대 2분대원이 13명이었으므로 분대원은 대개 10명 내외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들은 대개 일본군을 탈출하거나 일본군 복무 중에 해방을 맞아 광복군으로 인계된 사람들이었다. 조국 독립을 위해 이바지하겠다는 사명감을 가지고 탈출한 사람들도 있었지만 대부분은 귀국만을 바라고 있어 군사훈련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대기 시간이 길어지면서 지원마저 끊기자 이들의 불만은 갈수록 커졌고, 급기야 부대를 이탈해 일탈행위를 일삼았다. 원 이소민부대에 소속되어 있던 이들은 김학규에 불만을 품고 폭동을 일으키기도 했다.
    혼란한 해방 정국에서 계속되는 한인단체 간 갈등이 중국의 치안상황에 위해가 될 수 있음을 우려한 중국정부는 이 사태를 매우 엄중하게 받아들였다. 이에 광복군의 확군활동 등을 제한하기 시작하였으며, 결국 한인에 대한 일괄 송환한다는 방침을 결정하였다. 확대된 조직으로 귀국을 계획했던 광복군은 복원선언을 준비하였다. 하지만 이는 광복군의 해체가 아닌 전시에서 평시상태로의 전환을 의미하며, 귀국 후 국군창설과 건국사업에 참여하는 새로운 임무를 부여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만, 이미 상하이 잠시 편성하는 한국광복군의 한 부대 대원 중 상당수는 오로지 귀국활동에만 전념하는 등 광복군의 확군과 국가 재건이라는 새로운 사명을 따르는 사람은 많지 않았다.

    영어초록

    After Japan's unconditional surrender in 1945, President Kim Gu officially announced the policy of expanding the Liberation Army. However, this was only possible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Chinese side. Early Jiang Jie-shi showed a very friendly attitude toward this.
    The person who led the military expansion policy was Lee Cheong-cheon, commander-in-chief of the Korean Liberation Army. He sent special missions to various places to collect Korean soldiers who were serving in the Japanese army or who had escaped from the Japanese army and incorporated them into the liberation army, and promoted the establishment of a temporary unit based on these soldiers. A unit of the Korean Liberation Army was briefly organized in Shanghai.
    'A unit of the Korean Liberation Army temporarily organized in Shanghai' was largely composed of companies and platoons, with the section commander being Park Si-chang, the deputy commander being Lee Ha-yu, and the staff including Choi Il-cheong. The total number of people increased from about 400 to about 1,300. Among these, the 1st Company had 120 people, and the 1st Platoon 2nd Squad of the 1st Company had 13 members, so it is believed that the squad members were usually around 10 people.
    These were mostly people who escaped from the Japanese army or were handed over to the Korean Liberation Army upon liberation while serving in the Japanese army. Some people escaped with a sense of duty to contribute to their country's independence, but most of them only wanted to return home, so military training did not take place properly. As the waiting time became longer and support was cut off, their dissatisfaction grew, and eventually they left the unit and engaged in deviant behavior. Those who were part of the original Lee So-min unit were dissatisfied with Kim Hak-gyu and even started a riot.
    The Chinese government, concerned that the ongoing conflict between Korean groups in the chaotic liberation situation could harm China's security situation, took this situation very seriously. Accordingly, they began to restrict the Korean Liberation Army's military expansion activities, and eventually decided on a policy of repatriating Koreans en masse. The Korean Liberation Army, which planned to return to Korea with an expanded organization, prepared a ‘Declaration of restoration (return to original state)’. However, this did not mean the disbandment of the Korean Liberation Army, but rather a transition from wartime to peacetime, and gave them a new mission to participate in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army and nation-building projects after returning to Korea. However, many of the members of a unit of the Korean Liberation Army temporarily organized in Shanghai were focused solely on returning home, and not many followed the new mission of expanding the Korean Liberation Army and rebuilding the coun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