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시대 신앙의례와 불교회화 시론(試論) - ‘대고려918·2018 그 찬란한 도전’ 특별전 출품작을 중심으로 - (The Functions of Paintings in Buddhist Rituals during the Goryeo Period - Focus on the paintings exhibited at the ‘Goryeo: the Glory of Korea’–)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19.06
30P 미리보기
고려시대 신앙의례와 불교회화 시론(試論) - ‘대고려918·2018 그 찬란한 도전’ 특별전 출품작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302권 / 302호 / 37 ~ 66페이지
    · 저자명 : 정명희

    초록

    본 논문은 국립중앙박물관의 “대고려, 그 찬란한 도전” 특별전의 출품작을 중심으로 불교 의례에 있어 불화의 쓰임을 시론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번 전시에는 20점의 고려불화를 포함해 동북아시아의 교류를보여주는 총 34점의 불화가 출품되었다.
    현존하는 고려불화는 14세기 후반에서 150년 동안 제작된 작품이 대부분이지만, 기록을 통해 보면다양한 주제의 불화가 전각을 장엄했다. 불화에 어떤 주제를 그릴 지의 선택에는 교리적인 수요와 신앙적인의미가 중요했을 것이다. 그러나 문헌과 금석문 기록을 살펴보면 불화의 조성에 있어 교리적인 의미가 절대적이지 않고, 오히려 의례에서의 쓰임에 따라 불화가 예경되고 사용되는 공간에서 기능이 확장되는 경향이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불화는 사찰의 안정적인 운영에 기여했다. 의례의 정기적 개최는 사찰의 운영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지녔다. 의식의 기본 구조가 정립되는 시기였던 만큼 염불과 염송을 위한 시각적 이미지에 대한 수요가 높았다. 의례의 정례화를 위해 장엄구, 의식구와 더불어 불화가 갖춰지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존상을 시각화하여 염송을 진행하고, 관상하며 예참하는 절차는 고려시대에 일반화된 실천적 수행방식이었다. 염불과 염송, 관상, 공양, 참회, 발원과 같은 절차는 오늘날의 불교의례에서 보편적으로 행해지나 그 의례의 전통이 이미 고려시대에 구체화되고 정립되었음을 확인한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개별 의례와 불화의 직접적인 영향 관계를 규명하는 것은 현존하는 기록과 자료의 제한적 상황에서는 쉽지 않다. 그러나 의례라는 맥락에서 불화를 볼 때 숨겨져 있던 테마와 고려불화의 풍부한 기능, 더 나아가 고려가 이룬문화적 성취가 보다 분명하게 드러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 survey of the functions of paintings in Buddhist rituals, focusing on the items presented at the exhibition, “Goryeo: the Glory of Korea,” at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irty-four paintings showing the cultural exchanges in the North-east Asia were showcased, including twenty paintings made during the Goryeo period.
    Although the remaining works were mostly made in a short period of 150 years from the mid-14th to the end of the 15th century, written evidences reveal that paintings of various themes were used to adorn religious venues. The choice of a theme was likely dictated by Buddhist doctrines and religious intentions, but based on historical records and inscriptions, it can be deduced that the doctrinal significances were not absolute and the functions of paintings were increased according to how they were worshipped and employed in religious practices.
    The Buddhist paintings contributed to sound management of temples. Regular ceremonies were of great importance in maintaining religious institutions. As this was a time when the fundamentals of Buddhist rituals were established, there was a high demand for visual images to be used during the practice of Buddhanussati or chants. Buddhist paintings, along with other ornamental or ceremonial objects, were made and kept at temples as religious rituals were regularized.
    It became a common religious practice during the Goryeo period to contemplate or visualize particular images in mind when reciting chants, or making prayers and repentances. It is worth noting that the tradition of recitations, chants, contemplations, offerings, and prayers, all continued to this day, were specifically established during the Goryeo Dynasty. Although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a direct relationship between particular rituals and paintings with the limited documents and evidences that survive, studying the paintings with a focus on the religious rituals will reveal the unknown themes or functions of the Goryeo paintings, and moreover, the cultural achievements of the Goryeo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