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화연구의 관점에서 본 영화 속의 사회상 ―1960년대 신성일의 출연작을 중심으로 (Social aspects in Korean movies of the 1960s from cultural perspective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17.08
28P 미리보기
문화연구의 관점에서 본 영화 속의 사회상 ―1960년대 신성일의 출연작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언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언어문학 / 37호 / 5 ~ 32페이지
    · 저자명 : 송희복

    초록

    이 논문은 영화 속의 사회상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듯이, 1960년대는 한국 영화의 전성기이다. 이 시대의 배우 중에서 신성일은 압도적인 스타-시스템을 형성하고 있었다. 그가 출연한 영화 가운데 1960년대에 있어서 사회적인 콘텍스트와 관련이 있거나 사회비판의 이미지가 강한 세 편의 영화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맨발의 청춘」(1964)은 신분의 차이로 이루지 못한 사랑의 이야기다. 가난하고 배우지 못한 젊은 청춘도 인간답게 누군가를 사랑할 수 있다는 고귀한 정신을 이 영화는 가르쳐주고 있다. 1960년대 한국 사회에 대한 불만족한 현실―예컨대 가난, 불평등, 무기력 등―이 잘 묘사되어 있다. 영화 「초우」(1966)도 자신의 신분을 속이고 있는 두 남녀가 사랑의 단맛에 빠져 있지만 결국 서로가 들통이 나서 파국을 맞이한다는 내용의 텍스트다. 여기에 물론 한국 사회의 신분상승의 욕망이 잘 반영되어 있다. 이 영화에는 문학에서 말하는 소위 낭만적 아이러니 의 양식이 엿보인다. 당시에 개봉되지 못한 「휴일」(1968)은 암울한 현실과 강렬한 사회비판적인 메시지 때문에 검열에 통과되지 못한 영화다. 이 영화는 그 시대의 부름을 받지 못한 진보주의 영화로서 앞으로 문화연구의 대상으로 각광을 받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최근에 발굴되어 2005년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소개되었다.

    영어초록

    1. This paper is about social aspects in Korean movies in the 1960s. The 1960s is heydays of Korean cinema. Shin Seongil contributed to set up an overwhelming star-system among actors in this period. The author selects three movies of him in the 1960s, which are related to social context or to have strong social criticism.
    2.「The Barefooted Young」(1964) is a movie about love which is unfulfilled due to the difference of social status. This movie shows us noble spirit that the poor and uneducated young people can also love humanly. It is described unsatisfied realities in the 1960s of Korea– poverty, unequality, helplessness–well.
    3.「Early Rain」(1966) is a movie in which the story is about two lovers, who cheat their social status each other, end up collapsing after it is revealed. It reflects desires of the rise of social status well in Korean society at that time. This film shows ‘Die romantische Ironie (romantic irony) style in literature.
    4.「Holiday」(1968) is a film which was not passed through the movie censorship of that period due to gloomy realities and intense messages of social criticism shown in this movie. This film was not called upon at that time as a progressive movie, but it will come into the spotlight as an object for cultural research in the future. This film is discovered recently, so it is introduced at the PIFF(P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of 2005.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언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