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방법으로서의 연애-여성혐오와 근대 인식-염상섭 초기작을 중심으로- (Love-Misogyny as a method & Modern Recognition-Centered on Early Works by Yeom Sang-Seop-)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17.06
31P 미리보기
방법으로서의 연애-여성혐오와 근대 인식-염상섭 초기작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소설연구 / 66호 / 383 ~ 413페이지
    · 저자명 : 이지혜

    초록

    본 논문은 염상섭의 근대 초기 연애소설을 통해 연애의 시대 속에서 ‘시대의 연애’를 보고 있으며, 다른 근대 인식으로 나아가는 작가만의 시선을확인한다. 염상섭이 그 시기 다른 작가와 차별화되는 지점은 1920년대 정형화되었던 ‘신성한 연애’가 현실에서 실천될 경우 궁극적으로 불가능한 것임을 ‘아는 것’이다. 또한 이는 신성한 연애의 모순이 가장 선명하게 드러나는 것이 그것의 반대항으로 불리지만 사실은 필수적인 경유지였던 ‘오염된 연애-여성혐오(misogyny)’의 지점임을 ‘아는 것’에서 연유한다. 작가는그 누구보다 시대의 현실을 정확히 파악했기에, 신성한 연애의 주체와는다른 근대적 주체의 정체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암야>(2장)는 신성한 연애가 현실에서는 ‘소외의 연애’ 밖에는 될 수 없음을 목도한다. X(남성)는 자신의 감정으로부터 소외되고, N(여성)은 등장하지 않으면서도 ‘연민-멸시’를 오고가는, 즉 여성혐오를통해 배제될 수 없음을 발견하게 된다. 그러나 X는 식민지 시대가 난세임을 자각하였고 근대성에 대한 각성까지 이루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애를 완전히 포기하지 못한다.
    따라서 작가는 <제야>(3장)에서 신성한 연애의 반대편이라 여겨지는, 신여성이 행하는 오염된 연애를 끝 간 데까지 밀어붙여보는 ‘실험의 연애’ 를 감행한다. 이 실험은 먼저 여성혐오를 도구화하여 방패로 삼은 후 이루어진다. 전면화 된 오염된 연애는 그간 가려져 있는 ‘여성 주체’를 가시화하고, 연애는 일방적 감정이 아닌 ‘관계’였음을 드러낸다. 더하여 식민지근대에서 강한 남성 주체를 가능하게 했던 ‘우-열’의 관계까지 무화시킴으로써 근대성의 환상을 걷고, 그것을 환멸하는 데까지 나아간다. 이는 다른근대성의 개성을 찾을 수 있는 계기가 된다.
    <해바라기>(4장)는 연애의 환상이 사라진 현실에 ‘교환의 연애’가 남았음을 보여준다. 영희와 순택이 보여주는 교환의 연애는 그간 부정되었던물질적 조건을 기반으로 하지만 도덕적 가치판단이나 이상적 기준을 강요받지 않기에 자유롭다. 이러한 연애에는 근대성의 환상-여성혐오를 통해구성되었던 강한 남성 주체가 존재하지 않는다. 대신 식민지 남성/여성 모두 허약하고 불안할 수밖에 없는 약한 주체라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 하지만 이는 식민지 지식인의 개성을 발견하는 순간이기도 하다. 이들은 시대의 불구성을 알고 자신의 약함도 인정하지만 그것을 알기에 도리어 현실에서 쉽사리 눈 돌리지 않으며 더욱 응시하는 자이자, 강자의 논리를 따라가는 대신 다른 길을 찾아보려는 자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근대 인식은 작가 염상섭의 정체성과도 연결된다. 그는 관찰자이자 중계자로서 모든 것을 냉소하는 태도를 고수함으로써, 무한히 발전할수 있는 정신생활을 포기하지 않는 개성의 주체가 된다. 그는 타자를 끊임없이 관찰하고 사유하는 것을 통해 자아의 자리를 확보한다. 여기서 작가염상섭만이 확보한 개성의 의미와 이후 그의 서사 세계를 균형감 있게 지탱해준 토대를 발견하게 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identifies a perspective of the writer Yeom Sang-Seop's own, seeing the ‘love of the age’ in the period of the love and proceeding toward another different modern recognition in his early modern love stories. Differentiation of Yeom Sang-Seop from other writers in those days originates from ‘knowing’ that ‘sacred love’ standardized in 1920s is eventually impossible in the reality and ‘knowing’ that the point where contradictions of the sacred love manifest themselves most clearly is contaminated love-misogyny, an inevitable stopover though called its contrary term. The writer comes to ensure the identity of the modern subject different from that of the sacred love due to correct understanding on the periodic reality.
    In particular, <A Dark Night>(Chapter 2) witnesses that the sacred love is forced to be ‘love of alienation’ in the reality. X(male) is alienated from his feeling and N(female) passes between ‘sympathy-contempt’ though she does not appear, in other words, finding out that it is not possible to be excluded through misogyny.
    However, though recognizing that the colonial era is turbulent with awakening of modernity, X does not give up love at all.
    Hence, in <A Watch Night>(Chapter 3), the writer carries out the ‘love of experiment’ regarded as the opposite of the sacred love, pushing ahead with the contaminated love done by the new woman.
    This experiment is conducted after instrumentalizing the misogyny and using it as a shield. Contaminated love that comes to the surface visualizes hidden ‘female subject’ and reveals that love is the ‘relation’ rather than one-sided feeling. In addition, it paralyzes even the relation of the ‘superior-inferior’ that caused the strong male subject in the colonial age so eliminates the illusion of modernity and disillusions it. It offers an opportunity for finding out an individuality of another modernity.
    <Sunflower>(Chapter 4) shows that there remains the ‘love of exchange’ in the reality where illusion of love disappeared. The love of exchange shown by Young-Hui and Sun-Taek is based on material conditions denied so far but freed from moral valuation and ideal standard. Such love does not have the strong male subject formed by illusion of modernity-misogyny. Instead,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at both males/females in the colonial age are beings weak and anxious.
    However, it is the moment that discovers the individuality of colonial intellects. They are those who recognize the disability of the period and their own weakness but stare at the reality rather than turning away their eyes and search for another way rather than following the logic of the powerful.
    Such recognition on the modernity is connected to the identity of Yeom Sang-Seop. He comes to be the subject of the individuality who does not give up the spiritual life that may develop infinitely by sticking to a cynical attitude on everything as an observer and mediator. He ensures a place for ego through observing and thinking of others continually. Here, we may find out the meaning of the individuality that only the writer Yeom Sang-Seop has and a balanced foundation that supports his narrative world hereaf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소설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