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성 운흥사 의겸 작 영산회괘불도 연구 (A Study on the “Yeongsanhoi Banner Paintings” by Uigyeom at Unheung-sa Temple in Goseong)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25.06
31P 미리보기
고성 운흥사 의겸 작 영산회괘불도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강좌미술사 / 64호 / 111 ~ 141페이지
    · 저자명 : 고승희

    초록

    본 논문은 1730년(雍正8년)에 조성한 운흥사 <영산회괘불도>의 양식 특징에 대한 연구이다. 화면의 세로 크기가 약 11m에 달하는 거대한 불화로 본존상인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그 권속들을 배치하고 있다. 안정적인 구도, 건장하면서도 온화한 표정의 도상 표현, 색채의 조화, 생동감이 있는 필선, 독특한 문양 묘사 등으로 시선을 사로잡고 있는데 이는 화승 ‘의겸’의 화풍과 창의적인 예술성이 집약된 최고의 작품으로 여겨진다.
    또한 150자 가량의 범자(梵字)가 존상의 중앙계주, 미간, 눈 위, 눈동자, 눈 아래, 입술, 가슴, 배, 다리, 발 등 화면 곳곳에 기록되어 있어 예배화로서 상징과 의미를 더욱 부각시켜주고 있으며 괘불도를 보관하는 궤(櫃)도 함께 남아있는데 매우 섬세하고 세련된 금속 장식이장엄되어 있어 이 또한 매우 특징적이다.
    연구 결과 첫째, 의겸은 18세기를 대표하는 최고의 화승으로 주제도 다양하게 조성하고있으며 화면크기에 어울리게끔 개성 있는 구도를 연출하고 있다.
    둘째, 오종범음집과 조상경의 내용을 근거로 하여 도상 특징을 표현하고 있는데 운흥사 <영산회괘불도>에서 석가모니불과 문수·보현보살 등의 당당하고 위엄 있는 모습과 얼굴형태에서 느껴지는 단아하고 온화한 표정의 묘사는 의겸이 지닌 독특한 양식임을 알 수 있으며 다채로운 색채로 화려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등 그의 창의적인 예술성을 살펴볼 수 있다.
    셋째, 다양한 색채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번잡스럽지 않게 분위기를 묘사하고 있다. 주로 조채된 색은 진홍색 계통과 양녹색으로 강한 보색대비를 이루는데 이뿐만이 아니라 호분이 들어간 황토색이나 육색 등을 보조색으로 사용하여 차분하고 온화한 분위기를 효과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넷째, 화면에 묘사된 문양 표현은 의겸만의 창의성이 돋보이고 있는데 화려하고 장식적이며 격조 있는 완성도를 높여주는 특징을 찾아 볼 수 있다. 이러한 문양 묘사는 그의 제자인‘색민’의 불화에도 유사하게 시문되고 있어 ‘의겸유파’의 전승관계와 성향 둥 을 알 수 있는부분이다.
    이와 같이 운흥사 <영산회괘불도>는 18세기 야외에서 행해진 불교 의식의 성격과 화승의겸의 도상과 양식 특징을 확실하게 보여주는 대표적 괘불도인 것을 충분히 파악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the “Yeongsanhoi Banner Paintings” at Unheung-sa Temple, created in 1730. These are huge Buddhist paintings with a vertical size of approximately 11 meters, arranging the main statue of Sakyamuni Buddha in the center with his attendants around him. They capture attention with their stable composition, healthy yet gentle expression, color harmony, lively brush strokes, and unique pattern depiction, and they are considered the best work that encapsulates the painting style and creative artistry of painter-monk ‘Uigyeom’.
    In addition, about 150 Sanskrit characters(梵字) are written all over the screen, including the central ridge of the statue, between the eyebrows, above the eyes, pupils, below the eyes, lips, chest, stomach, legs, and feet, which further highlights the symbolism and meaning of the painting as a worship painting, and the chest(櫃) that stores Buddhist banner paintings also remains, which is very unique as it is decorated with very delicate and sophisticated metal decorations.
    From the research results, first, Uigyeom is the best painter-monk representing the 18th century, creating diverse themes and creating unique compositions that match the screen size.
    Second, based on the contents of “Ojongbeomumjip” and “Josanggye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cons are expressed, and in the “Yeongsanhoi Banner Paintings” at Unheung-sa Temple, the dignified and majestic appearances of Sakyamuni Buddha, Manjusri, and Samantabhadra, etc., and the elegant and gentle expressions felt in the facial forms are Uigyeom's unique style, and his creative artistry can be seen, such as the splendid atmosphere created by the use of various colors.
    Third, despite using a variety of colors, the atmosphere is depicted without being cluttered. The colors used are mainly crimson and green, creating a strong complementary color contrast. In addition, yellow-ochre and flesh-colored colors with a whitish tint are used as auxiliary colors, effectively expressing a calm and gentle atmosphere.
    Fourth, the expression of patterns depicted on the screen is a testament to Uigyeom's unique creativity, and you can find features that enhance the level of completion by being splendid, decorative, and classy. This pattern description is also engraved similarly in the Buddhist paintings of his disciple, ‘Saekmin’, and it is a part that allows us to know the transmission relationship and tendency of the ‘Uigyeom sect’.
    In this way, the “Yeongsanhoi Banner Paintings” at Unheung-sa Temple were able to sufficiently demonstrate the nature of Buddhist ceremonies performed outdoors in the 18th century and the iconographic and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Painter-monk Uigyeo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강좌미술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