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民國初期 滿蒙分離 運動과 張作霖 (The Man-Meng separation movement and Zhng Zuolin in the Early Republic of China)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23.10
37P 미리보기
民國初期 滿蒙分離 運動과 張作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사연구 / 146호 / 119 ~ 155페이지
    · 저자명 : 양판, 이평수

    초록

    일본이 대륙 침략 정책에 따라 중국 동북지방의 권익을 침탈하기 시작하며 일본의 대륙 침략 정책에서 중요한 목표로 만몽 지역을 중국 판도에서 분리시키고자 하였다. 이리하여 일본은 1912년부터 1916년까지 중국에서 두 차례에 걸친 만몽분리 운동을 기획했던 것이고, 이 과정에서 일본이 가장 중요하게 여겼던 인물이 바로 장작림이었다.
    제1차 만몽분리 운동 초기 장작림은 일본에 대해 적극적인 친일 태도를 취하며 일본과의 협력 기회를 모색하였다. 그러나 시국이 변화하게 되면서 장작림은 이 같은 선택을 실제 행동으로 옮기지 않았다. 그 이면에는 장작림과 원세개 간의 모종의 정치적 거래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는 장작림의 일본에 대한 태도가 적극적인 친일에서 다소 소극적인 친일로 바뀌었음을 의미한다. 결국 장작림의 이러한 대일 태도 변화는 제1차 만몽분리 운동을 중단시키는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했으며, 그의 진압 활동은 사실상 반란의 성패를 바꾼 것으로 이 시기 일본에 대한 장작림의 태도가 처음으로 변화했다고 말할 수 있다.
    제2차 만몽분리 운동 기간에 장작림은 바부자브가 이끄는 몽비를 시종일관 단호하게 진압하였고, 이 과정에서 일본이 수차례 방해했지만 위축되지 않고 몽비를 끝내 섬멸시켰다. 이 기간 발생한 정가둔 사건의 처리 과정을 거치면서 장작림의 일본에 대한 태도는 소극적인 친일에서 중립을 거쳐 타협․저항으로 변했으니, 겉으로는 타협하면서 은밀히 저항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특히 일본의 경찰 배치와 군사고문 파견 요구 등 결정적인 문제에서 장작림은 끝까지 저항하였다.
    요컨대 일본이 대륙침략 정책에 따라 중국 동북지방의 권익을 침탈하기 시작하며 일본의 대륙침략 정책에서 중요한 목표로 만몽 지역을 중국 판도에서 분리시켜 놓고자 했는데, 그 구체적인 모습이 바로 1912년부터 1916년까지 중국에서 두 차례에 걸쳐 기획한 만몽분리 운동이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 만몽분리 운동을 구성하는 각각의 여러 개별적인 사건들마다 친일․중립․타협․저항 등으로 요약되는 장작림의 미묘하고 복잡한 태도 변화가 연출되고 있었다.

    영어초록

    In the early days of the first the Man-Meng separation movement, Zhng Zuolin took an active pro-Japanese attitude toward Japan and sought opportunities for cooperation with Japan. As the situation changed, however, Zhng Zuolin forests did not translate this choice into actual action. Because there was some kind of political deal behind it between Zhng Zuolin and Yuan Shikai. It is means that Zhng Zuolin’s attitude toward Japan has changed from active pro-Japanese to somewhat passive pro-Japanese. In the end, this change in the attitude of Zhng Zuolin forests toward Japan served as a decisive factor in stopping the first the Man-Meng separation movement, and his suppression activities actually changed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rebellion, and it can be said that Zhng Zuolin’s attitude toward Japan changed for the first time during this period.
    During the second the Man-Meng separation movement, Zhang Zuolin decisively suppressed Mongolian bandits led by Babuujab. In the process, Japan interfered several times, but it did not shrink and eventually annihilated Mongolian bandits. Throughout the process of dealing with the Zhengjiadun incident, Zhng Zuolin’s attitude toward Japan changed from passive pro-Japanese to neutral to compromise and resistance, and he showed compromise on the outside and resistance on the inside. In particular, Zhang Zuolin resisted to the end in decisive issues such as Japan’s police deployment and demand for the dispatch of military advisers.
    In short, In accordance with the continental invasion policy, Japan began to invade the rights and interests of NorthEastern China. An important goal in Japan’s continental aggression policy was to separate the Man-Meng region from the Chinese territory. Thus, Japan planned two the Man-Meng separation movements in China from 1912 to 1916. In this process, the person that Japan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was Zhng Zuolin. Individual events constitute the Man-Meng separation movement. For these individual cases, Zhng Zuolin showed subtle and complex changes in attitudes such as pro-Japanese, neutral, compromise, and resist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