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성직자의 독신과 금욕 (The Celibacy and Abstinence of the Clerg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10.06
37P 미리보기
성직자의 독신과 금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가톨릭신학학회
    · 수록지 정보 : 가톨릭신학 / 16호 / 153 ~ 189페이지
    · 저자명 : 박희중

    초록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꼭 독신이 아니라도 좋은 성직자로 머무를 수 있다는 질문을 던지고 있다. 그에 대한 답변이 어떠한 것이든, 성직자가 독신을 선택한다는 것은 희생이라는 것이 내포되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독신 생활은 확실히 사제 직무를 잘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적극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다. 그것은 한 마음으로 하느님께 봉헌됨을 의미한다. 즉 하늘나라에 바쳐진 역설적인 사랑을 증명하는 하나의 증표이다.
    이러한 이유로 로마 가톨릭 교회는 라틴 전례에서 사제 서품을 받고자 하는 지원자들에게 자유 의지로 죽을 때까지 독신 생활을 요구하는 법을 계속 고수하겠다는 교회의 확고한 의지를 가르쳤고, 사제들은 독신 생활을 수락하고 지켜오고 있다. 그러나 성직자의 독신은 과거와 현재의 형태가 동일한 조건과 모습은 아니었다.
    성직자의 금욕에 관한 규정은 사도적 기원을 갖는 것으로, 4세기에 처음으로 교회법적 명문 규정이 발견된다. 엘비라 공의회에서 규정되었고, 카르타고 공의회에서 참석한 주교들은 “주님의 사도들이 가르쳤고 고대로부터 준수된 것들을 우리가 또한 따라야 한다.” 라는 것에 동의하며 성직자들의 금욕과 정결의 준수에 관한 규정을 받아들였다.
    그리고 로마 교황들의 가르침과 교부들의 가르침을 통하여 성직자의 독신과 금욕에 관한 규정들은 강화되었다.
    특히 제2차 라떼라노 공의회에서 대품 성직자들은 결혼을 시도하여도 무효라는 규정이 제정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이미 오래전부터 성직자의 혼인이 금지되었다는 것이고, 성직자의 불법적 혼인에 대한 처벌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그후 트리엔트 공의회에서도 사제들의 독신 생활이 사도직 활동에 있어 가장 이상적인 조건임을 재확인하고 공식화하였다. 또한 교회적 독신의 보호를 위한 신학생들의 교육을 위한 신학교의 설립이 결정되었다.
    그리고 1917년 교회법에서 대품을 받은 성직자들은 혼인이 금지되고 정결을 지킬 의무가 있다고 하였다(교회법 제132조 1항). 또한 현행 교회법에서는 성직자들은 하늘나라를 위하여 평생 완전한 정결을 지킬 의무가 있고 따라서 하느님의 특별한 은혜인 독신생활을 하여야 한다(교회법 제277조 1항).
    초기 교회에서는 기혼자들이 성직에 임명되었으므로 금욕이 요구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독신자들이 성직에 임명되었을 경우에는 계속적으로 독신이 요구되었다. 중세기에 이르러 사제들에게 권장되던 독신제가 나중에는 라틴교회에서 성품에 오르는 모든 이에게 법으로 규정되었고 강화되었다.
    그러나 이 성직자들의 독신제도는 법과 규제로 강화되고 완성되는 것이 아니다. 성품성사를 통하여 그리스도의 사제직에 참여하는 이들과 온 교회가 겸허하게 열렬히 간청하면 적합한 독신 생활의 은총을 하느님 아버지께서 너그러이 주시리라는 것을 우리는 성령 안에서 확신한다.

    영어초록

    Nowadays a lot of people are questioning that even without celibacy it is certainly still possible to live one's priesthood properly. The answer to that question, nonetheless, would be the fact that celibacy, which the clergy chooses, contains in itself a content of sacrifice which cannot be repudiated.
    Celibate life certainly possesses a positive value which enables the priest to carry out his duty properly. It means dedicating himself to God with one heart. That is to say, it is a significant proof of the paradoxical love dedicated to heaven.
    This is the reason why the Church in the Latin rite continuously taught with a firm will requiring by law that all candidates to the priesthood in the Roman Catholic Church are to adhere to the celibate life by their own free will until death, and this celibacy is followed and consented to by all the clergy. But the state of the priest's celibacy did not have the same form in the past as in the present.
    As the priests abstinence has an apostolic origin, it initially had its canonical stipulation in text form during the 4th century. It was stipulated at the council of Elvilla and the bishops present at the Council of Carthage all agreed that, "The Lords apostles taught this and we are supposed to follow the things that have been observed since ancient times." and assented to the rule that priests should observe their abstinence and chastity.
    Furthermore, through the teaching of the Roman Popes and the Church Fathers the stipulation concerning celibacy and abstinence of the clergymen was reinforced.
    During the second Lateran Council, particularly, it was stipulated that even if the substitute cleric make an attempt on marriage would be invalid by established law. But for a long time already. marriage of the clergyman has been forbidden. It was a verification of the punishment of illegal marriage of the clergy.
    Subsequently, at the Council of Trent also, according to the action of Apostleship, celibate life was formally reaffirmed as a lofty ideal. Moreover, the foundation of seminaries for education of seminarians in safeguarding the ecclessial celibacy was determined.
    The fact that clergy who have received substitute work are forbidden to marry and have the duty to observe chastity was declared in the Church Law of 1917. (Can. 132, §1) Furthermore, in the present Church Law (Canon Law) it states that clerics are obliged to observe perfect and perpetual continence for the sake of the kingdom of heaven by a special gift of celibacy given from God. (Can. 277, §1)In the early church the married person by their nomination to the clergy meant the obliged observance of abstinence with no exception. But in situations like this, whenever the clergy was appointed to the priesthood, chastity was perpetually required. A wholly celibate system for priests encouraged reaching to the medieval period but afterwards it was ruled and reinforce by law in the Latin Church to all those who ascend to holy orders.
    But this celibate system of the clergymen is not made perfect and strengthened by law and restriction. We firmly believe that through the Holy Spirit God the Father will generously give us the fitting grace for celibate life if the whole church with all those who participate in the priesthood of Christ, through the Sacrament of holy orders, fervently and humbly make an ernest reque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가톨릭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