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벌레 이야기」와 <밀양>의 비교 연구: 5・18의 가해자/피해자 알레고리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Story of a Worm” and The Secret Sunshine: Focusing on the Allegory of The May 18’s Perpetrators/Victim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22.08
30P 미리보기
「벌레 이야기」와 &lt;밀양&gt;의 비교 연구: 5・18의 가해자/피해자 알레고리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감성연구 / 25호 / 261 ~ 290페이지
    · 저자명 : 전두영

    초록

    1985년에 발표된 이청준의 단편소설 「벌레 이야기」는 ‘오월 광주’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지 않다. 그러나 당시의 독자들과 평자들은 그 소설을 오월 광주에 대한 알레고리로 읽었다. 이후 이창동의 영화 <밀양>(2007)의 원작으로 알려지면서 이 소설은 대중의 주목을 받기 시작한다. 그렇지만 두 작품의 비교 연구는 오월 광주에 대한 재현이 탈색된 채 이루어져 왔다. 용서와 구원, 상실과 애도가 두 작품의 주제 의식임을 지적한 연구는 있지만 그 주제 의식의 바탕으로 5·18을 이야기하지 않는다. 특히 이창동의 <밀양>의 경우 영화의 내용에 관한 분석에 연구가 국한됨으로써 감독의 작가 의식에 접근할 수 없었다. 본 연구는 이창동이 80년대를 대표하는 소설가로서 오월 광주에 대해 죄의식을 가졌으며 이러한 죄의식이 영화 <밀양>에서 비로소 표현되었다고 주장한다.
    본고는 이창동이 <밀양>을 통해 5·18 가해자/피해자에 대한 알레고리적 텍스트를 쓰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창동이 5·18이라는 주제 의식을 어떤 식으로 표현하는지에 대해 필자는 두 가지 방법론을 사용한다. 첫째, 필자는 창작자의 주제 의식 표현을 짐작할 수 있는 텍스트 외적 사항들에 주목한다. 구체적으로는 이창동이 지닌 소설가로서의 이력과 영화감독 필모그래피를 추적한다. 이를 통해 필자는 이창동이 영화 제목과 개봉일 선정 등을 통해 5·18에 대한 문제의식을 관객에게 전달코자 했다고 주장한다. 둘째, 필자는 「벌레 이야기」와 <밀양>의 핵심적 사건을 분석함으로써 어떤 점에서 두 텍스트가 유사한 주제 의식을 표현하는지를 재구성하고자 한다. 특히 필자는 이 두 텍스트를 알레고리라는 서사 양식을 통해 분석한다.
    필자는 두 가지 알레고리론에 주목해 두 텍스트를 분석한다. 한 가지는 발터 벤야민이 주장한 알레고리론으로서, 그것에 따르면 작가의 의도가 독자에게 전달되어 독자가 작가의 의중을 파악함으로써 알레고리의 완성이 이루어진다. 이에 반해 폴 드 만은 알레고리를 창조하는 것은 작가의 몫이지만 그것이 독자에게 이르렀을 때는 그 의미가 전혀 다른 것이 될 수도 있음에 주목한다. 즉, 독자가 텍스트의 의미를 어떤 식으로 이해하는지는 창작자의 권한 밖의 일이다. 이 두 알레고리론의 어느 입장을 받아들이든 「벌레 이야기」와 <밀양>의 알레고리 분석에 따르면, 두 텍스트 모두 피해자의 용서가 없이는 진정한 화해가 있을 수 없다는 주제 의식을 그 이면에 깔고 있음이 드러난다. 이러한 필자의 해석에 따르면, <밀양>은 두 주인공이 새로운 공동체를 이룸으로써 공동체에 대한 진일보한 시각을 보여준다. 5·18공동체가 거짓 국가에 저항했듯이 영화의 두 주인공이 형성한 공동체는 거짓 용서를 강요하는 신에 저항하는 공동체이다.
    필자의 이러한 알레고리 분석은 스탠리 피쉬의 ‘해석의 공동체’와 연결되는 지점이 있다. 피쉬에 따르면 이 공동체는 일관성의 관점을 갖고 그들만의 공통된 세계관을 형성해가며 텍스트를 쓰는 특징을 갖는데, 이창동은 「벌레 이야기」 해석과 <밀양>의 창작에 이르기까지 5·18에 관한 일정한 입장을 견지하는 해석의 공동체의 특성을 보여준다. 해석의 공동체 개념은 더 나아가 우리에게 5·18을 열린 텍스트로서 받아들일 기회와 5·18에 대한 새로운 텍스트 창작의 기회를 제공한다. 따라서 <밀양>이 「벌레 이야기」를 관통하고 있는 주제 의식, 곧5·18에 대한 의식을 또 다른 방식으로 재현해내고 있다고 해석한 것은 필자 자신이 쓰고 있는 또 다른 해석의 공동체 입장일 수 있다. 그러나 필자는 본고의 논의가 이창동이 써나가고 있는 해석의 공동체를 드러내는, 그와 동일한 구성원으로서의 해석일 수 있다고 본다.

    영어초록

    Lee Chong-jun’s “The Story of a Worm” in 1985 does not include the contents of “The May 18.” The readers and the critics at the time, however, read the novel as a certain understanding of the May 18. The novel later received the public attention as it became known as the origin of Lee Chang-dong’s movie The Secret Sunshine (2007). However, much of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two works has been done without the relevance of the May 18. Studies discuss forgiveness and salvation, loss and mourning as the subject that two works have in common, but they pay no attention to the May 18. In particular, researches in the case of The Secret Sunshine have been limited to the analyses of the content of the movie, which means that the director’s consciousness as a writer is not dealt properly. This study argues that Lee Chang-dong has a guilty consciousness towards the May 18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novelists in the 80s, and this consciousness was finally turned into a work as the movie The Secret Sunshine.
    This paper argues that Lee Chang-dong writes an allegorical text about the perpetrator/victim of the May 18 with The Secret Sunshine. As for how Lee Chang-dong expresses his consciousness towards the May 18, I use two methodologies. First, I follow details outside the text. Tracking down Lee Chang-dong’s career as a novelist and film director, I show that Lee Chang-dong tried to give a hint to the audience that his movie was about the May 18, especially with the title of the movie and the release date. Second, I try to reconstruct the stories by analyzing the main events of “The Story of a Worm” and The Secret Sunshine in order to show that they express a similar consciousness. In particular, I analyze these two texts through the narrative style of allegory.
    My analysis of the two texts are based on two allegory theories. One is Walter Benjamin’s theory. According to the theory, the last step that the reader understands the author’s intention completes the allegory. On the other hand, Paul de Man stresses that although it is the author who creates the allegory, how the meaning is conveyed to the reader is outside of the author’s hands. Regardless of which allegory theory we buy, I suggest that the analysis of the allegories of “The Story of a Worm” and The Secret Sunshine shows that both texts express the author’s consciousness that there can be no real reconciliation between the perpetrators and the victims without the victim’s side of forgiveness. According to this interpretation, The Secret Sunshine shows a deeper perspective on the community. Just as the May 18 community resisted the false state’s authority, the community formed by the two main characters of the movie represents a community resisting God who forces the false kind of forgiveness.
    My analysis of these allegories shares a certain point with Stanley Fish’s ‘interpretive communities.’ According to Fish, the communities have a consistent perspective, forming the worldview shared by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The community in a sense keeps writing a text together. Lee Chang-dong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an interpretive community which maintains a certain position on the May 18, interpreting “The Story of a Worm” in a certain way and writing his own text with the creation of The Secret Sunshine. The interpretive communities theory further provides us with an opportunity to accept the May 18 as an open text and an opportunity to create a new text for the May 18. Considering that there could be many different interpretive communities, what I am arguing in this paper may be a position of a different interpretive community from the one who shows the viewpoint of The Secret Sunshine and its extended text such as “The Story of a Worm.” However, I believe that this paper’s discussion can be an interpretation of the same interpretive community, revealing the hidden viewpoint of the text that Lee Chang-dong was writ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감성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