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완벽주의자 하위 유형 분류 연구-평가염려·개인기준 완벽주의자 중심으로 (The Classification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ts and Personal Standards Perfectionists)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11.03
19P 미리보기
완벽주의자 하위 유형 분류 연구-평가염려·개인기준 완벽주의자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상담학회
    · 수록지 정보 : 상담학연구 / 12권 / 1호 / 373 ~ 391페이지
    · 저자명 : 김현희, 김창대

    초록

    본 연구는 완벽주의자들을 완벽주의의 평가염려와 개인기준 차원에 따라 경험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지 검증해보고, 상담이나 연구에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그들을 구분할 수 있는 절단점(cutoff score)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하여 대학(원)생 1,03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표본(400명, 373명, 263명)을 3개로 나누어 분석을 하였다. 먼저, Frost 등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FMPS)의 평가염려와 개인기준 차원에 따라 완벽주의자들을 분류하고, 이들의 심리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400명을 무선표집하여 위계적 군집분석, K-평균 군집분석을 하였고, 그 결과 평가염려 완벽주의자, 개인기준 완벽주의자, 비완벽주의자 세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일원변량분석과 사후검증을 통하여 완벽주의 차원과 심리적 특성에 있어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평가염려 완벽주의자들은 심리적 부적응을 반영하는 불안, 우울 정도가 가장 높았고, 개인기준 완벽주의자들은 심리적 적응을 반영하는 생활만족감, 자존감이 높았다. 다음으로, 평가염려 완벽주의자들을 분류할 수 있는 절단점을 찾기 위해 군집분석, 교차타당화된 판별함수분석, 민감도와 특이도를 고려한 ROC 곡선 그래프 분석을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정한 절단점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절단점을 표본 3(263명)에 적용하여 완벽주의자를 분류한 뒤, 집단간 특성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완벽주의의 부적응적 특성은 완벽주의의 높은 기준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평가적 염려에서 비롯됨을 시사하며,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절단점은 완벽주의자 분류 혹은 진단과 관련하여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possibility of distinguishing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ts and personal standards perfectionists based on the dimensions of them. This study also pursued to find the cutoff scores that can be helpful for counselors and researchers empirically to discern the two kinds of perfectionists with ease. A total sample of 1,036 of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was divided into three samples(n=400, 373, 263) for the analysis. First, this study classified perfectionists with two dimensions from the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FMPS), evaluative concern factors and personal standards factors, and compared their psychological traits. This study randomly sampled 400 subjects, and the di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nd K-means cluster analysis. From these analyses, three groups were identified;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ts, personal standards perfectionists, and non-perfectionists. The study identifi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on dimensions of perfectionism and psychological traits.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ts showed more depression and anxiety, which reflected their lack of psychological adaptiveness. On the other hand, personal standards perfectionists showed higher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Next, cluster analysis and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were completed and cut off scores were decided by the ROC curves considering sensitivity and specificity. This study applied the cutoff score, resulting from the research, on the last sample (n=263), and proved its validity. The result of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evaluative concern dimensions cause more psychological distress than the high standards of perfectionists, which has significant meaning for counseling. Moreover, counselors and researchers hopefully can use the cutoff scores in determining and classifying perfectionis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담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