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국 식민 진출 이후 미얀마 꺼잉 사회의 형성과 변화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Change of Kayin Society in Myanmar after the British Colonial Rule)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14.06
26P 미리보기
영국 식민 진출 이후 미얀마 꺼잉 사회의 형성과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아시아학회
    · 수록지 정보 : 아시아연구 / 17권 / 2호 / 31 ~ 56페이지
    · 저자명 : 김인아

    초록

    미얀마 왕조시대에 존재했던 독특한 세계관으로 인해 꺼잉족을 비롯한 각 종족집단에게 나타나는 느슨한 종족성(ethnicity)은 영국의 식민통치가 시작되면서 완전히 다른 양상으로 변화하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의 양상을 가장 극명하게 나타내는 집단이 꺼잉족이다. 버마족이 중심이 된 미얀마의 왕조시대에 있어서 꺼잉족은 노동력과 경제적 자원의 수탈 대상으로 오랜 세월동안 핍박을 받아왔다. 영국이 미얀마로 진출하기 시작한 19세기는 폭력과 소외로 얼룩진 상실의 역사 속에서 절치부심하던 꺼잉족이 버마족 사회에 대한 통합 및 동화에의 거부라는 결과를 나타내던 기간이었다. 이 기간에 유입된 영국 식민주의와 기독교 및 고도의 물질문명은 버마족으로부터 핍박받는 피지배자 계층인 꺼잉족에게 버마족에 대한 항거 의식과 사회적 향상에 대한 열망 표출의 뇌관 역할을 했다. 따라서 꺼잉족은 영국이 도입한 기독교를 적극적으로 수용했다. 꺼잉족의 기독교에 대한 충성심은 나아가 영국 식민정부에 대한 충성으로 확대되어 영국의 식민정책에도 적극적으로 동조하는 결과를 낳았다. 왕조시대에 느슨했던 꺼잉족의 집단적 경계와 종족성은 영국식민시대를 기점으로 고착화되었다. 이것은 오로지 영국에 의해서만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꺼잉족의 적극적인 개입에 의해 꺼잉족으로서의 정체성을 계발해 나갔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영어초록

    Due to a distinctive world view of Burmese dynasties, Kayin society had a loose ethnicity. However, this ethnicity had changed in a totally different way after British colonization. During the reign of Burmese Kingdom, Burmese people were majorities, and Kayin people had suffered from economic exploitation for a long time. In the 19th century when the British colonial power began to dominate in Myanmar, Kayin people started to resist against integration and assimilation into Burmese society. Around this time, British colonization, Christianity and advanced civilization were brought to Kayin people who were persecuted by Burma Kingdom, and these features acted as a detonator to express Kayin people's anger against Burmese people and desire for social promotion. Kayin people volunteerly accepted Christianity. Their loyalty to Christianity was expanded to loyalty to the British colonial government, and thus Kayin people actively supported British colonial policies. Such a loose boarder and ethnicity unique to Kayin people was reinforced in the British colonization era. These ethnic peculiarities are not just a result of the Britain colonial domination but also a product of the active participation of Kayin people to develop their own ident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