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스트릿 댄서입문기와 자아존중감에 대한 체험적 분석 (The Heuristic Analysis of Introductions to Street Dancers and Self-Esteem)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14.08
30P 미리보기
스트릿 댄서입문기와 자아존중감에 대한 체험적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무용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무용연구 / 32권 / 2호 / 203 ~ 232페이지
    · 저자명 : 안창용, 정진욱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스트릿 댄서들이 활동하면서 체험하는 입문적 특징과 자아존중감에 대해 다각적이고 심층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현재 스트릿 댄스 학원을 중심으로 원장 및 강사로 활동하고 있는 스트릿 댄서 10명을 대상으로 12주간의 개별 심층면담과 비참여 현장관찰노트를 이용하여 주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질적연구방법인 현상학적 접근방법을 통해 분석하였고,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각도 분석법, 구성원간 검토, 동료협의, 지속관찰 등의 과정을 걸쳐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스트릿 댄서들은 처음 춤을 접하고 입문하는 계기를 겪게 되는데 그 대표적인 요인으로 TV매체를 통한 흥미, 몰입, 즐거움과 스트레스 해소, 주위사람들의 권유로 추출 되었으며 자아존중감은 스트릿 댄서로서 만족, 자기관리, 닉네임사용, 미래에 대한 기대와 우려로 스트릿 댄서 동료 집단과의 공통된 유대감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자신이 추구하는 삶의 방향과 의식구조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현행되어지고 있는 댄스와는 달리 스트릿 댄서들은 자신의 분신과 같은 닉네임을 사용함으로써 자신의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향후 스트릿 댄스의 대중화와 새로운 장르의 문화적 발전가능성에 기대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multi-faceted attributes related to the self-esteem which street dancers displayed over twelve weeks of controlled observation. The data collected included in-depth interviewing of participants and noted observations of nonparticipating observers, working at private dancing academies.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produced using polygonal analyses. Continual examinations and observations of members and ample consultations with colleagues added and verified credibility for the study. The study found that visual media; this included but was not limited to television, mass media, immersion and observed interest from acquaintances gave the participants the opportunity to develop similar interest in dancing. The observed individuals who subsequently took up dancing were noted as developing relationships with other street dancers and related groups. Conversations driven by mutual interests ranged on topics, including job satisfactions, self regulatory behavior, implementation of nicknames and both expectations and concerns for the future. These results had shown both dancing and emergence into dancing culture to have an effect on the participant's consciousness and self-observed purpose in life. The implementation of nicknames, thus creating alter egos reinforced the involved individual's sense of self. A clear distinction was observed related to individuals who chose to go without nicknames. The former individuals tended to show more self-worth and stronger self esteems. Popularization of street dance had a strong potential to create possibilities for the cultural develop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무용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