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광수 시조의 ‘임’ 전개 과정과 의미 (Lee Gwangsu's sijo ‘Im’ development process and meani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21.12
24P 미리보기
이광수 시조의 ‘임’ 전개 과정과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춘원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춘원연구학보 / 22호 / 187 ~ 210페이지
    · 저자명 : 권성훈

    초록

    그동안 한국근대문학사의 선구자일뿐 아니라 현대시조문학의 개척자로서의 이광수 시조에 대한 연구는 이광수의 활약에 비하면 미비한 수준이다. 그에 대한 초기 연구가 간헐적으로 있지만 그것은 그의 친일행적과 맞물려 전통을 기반으로 하는 시조단의 부정적 의식의 영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역사적 과오를 넘어서 시대적 성과를 볼 때 그에 대한 연구는 다른 문학 분야처럼 논의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이는 현대시조문학의 기원과 원형을 복원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글은 이광수(1892~1950) 시조에 나타난 ‘임’에 대한 형성 및 전개 과정과 그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고전적으로 임은 님과 함께 높은 이를 부를 때 접미사로 붙여쓰는 말로서 고시조의 주요한 소재다. 흔히 임금의 임이나 사랑하는 임처럼 지칭되는 주체의 인격을 지극히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화법으로서 임과 님이 활용된다. 그렇지만 현대문학사에서 ‘임’이라는 뜻을 한정할 수 없다는 점에서 다의적인 통념이며 의미의 확장성을 가진다. 여기서 근현대문학사의 자유 시단에서 임의 시인이 한용운이라고 한다면 시조 시단에서 임의 시조시인이 이광수라고 할 만큼 그는 임을 소재로 하는 시조를 남긴 인물이다. 이처럼 이광수는 임과 더불어 고시조를 계승하고 수용 발전시키면서 전통 문학 양식을 재인식하고 시조를 되살리려고 했다.
    본고에서 이광수 시조에서 두드러지는 문학적 세계관으로 전통성과 불교성 그리고 자연성을 들 수 있다. 여기에는 정형율을 통한 정한 의식, 성화 정신, 재생 의지 속에서 ‘임’이 중심에 있다는 것이다. 이광수 시조에서 주요하게 작동하는 임은 시조 형태에 따라서 형성되며 그 의미가 구축되고 있다. 그러면서 시인이 추구하는 시의식을 첨가하면서 세계와 결합하고 환기하며 시적으로 승화시킨다. 이로써 『이광수 전집』,「시조편」에 실린 시조를 중심으로 ‘임’ 전개 양상을 살폈다. 구체적인 연구방법으로 첫째 정통성과 정한 의식을, 둘째 불교성과 성화 정신을, 셋째 자연성과 재생 의지를 탐구했다.
    이광수는 시인의 정서를 임을 통해 시조에 자유롭게 담아내기 위해 지속적으로 시조의 정형율의 한계를 극복하려고 하는 의지를 보였다. 이광수의 주된 주장은 시조의 자연율은 단순한 외형률이 아니라는 점이다. 이른바 시조는 시조의 정의(情意)와 운율이 어울려 생성되는 내재적 율격이라고 할 수 있다. 게다가 시조가 자유시에 대응하는 언어가 아니라 고유한 민족 언어라는 점에서 현대시조의 면모를 열어갔다. 이광수의 초기 창작 시편에서 이러한 시적 구도의 양상이 두드러지는데 그것은 언어적 형식과 화법의 변화라는 점이며 살펴볼 그의 시조에서도 역력하게 구현된다.
    그의 공통적인 임은 서정성을 함유하고 있으며 부정과 상실로부터 현실의 한계와 모순을 다양하게 형상화한다는 것이다. 거기에는 각 시편마다 시조 형식을 통해 임이 전개되는데 양면성으로 축약할 수 있다. 먼저 시인의 세계관과 시의식을 쇄신하는 방법으로 임을 투사시키면서 주체와 대상을 통합시키고 동일성과 일체감을 준다. 반대로 시인의 세계관과 시의식을 강화하는 방법으로 임을 투사시키는데 주체와 대상을 거부하며 비동일성으로 현실을 벗어나고자 하는 시도로 분기함을 준다는 것이다.

    영어초록

    Research on Lee Gwangsu's sijo as a pioneer of modern Korean literature as well as a pioneer of contemporary sijo literature is at an inadequate level compared to the activities of Lee Gwangsu. His early work is intermittent, but it can be said to be heavily influenced by the negative consciousness of the tradition-based ancestral corps, which meshes with his pro-Japanese behavior. However, when looking at the achievements of the times beyond the historical mistakes, the study on them needs to be revitalized as in other literary disciplines. This is thought to contribute to the origin and restoration of the prototype of contemporary sijo literature.
    The purpose of this writting is to clarify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Im’ that appeared in the sijo of Lee Gwangsu (1892-1950) and its meaning. Classically, 'Im' is a word used as a suffix when calling on a high person with sir, and is the main material of ancient sijo. 'Im' and 'sir' are used as a method of speech that is often used to greatly enhance the personality of the subject, often referred to as the king's 'Im' or the beloved 'Im'. However, it is a diverse wisdom in that the meaning of ‘Im’ cannot be limited in the history of comtemporary literature, and it has extensibility of meaning. Here, if the poet of ‘Im’ in the free poetry of modern and contemporary literature is Han Yong-woon, he is a person who left a sijo based on ‘Im’, as the sijo poet of ‘im’ in the sijo poetry is Lee Gwangsu. In this way, Lee Gwangsu tried to revive the sijo by re-recognizing the traditional literary style while inheriting and accepting and developing ancient sijo with 'Im'.
    In this paper, tradition, Buddhism, and nature are mentioned as the literary world view that stands out in Lee Gwangsu’s sijo. Here, ‘Im’ is at the center of the awareness of love and hatred, sanctification spirit, and regenerating will through the fixed form. ‘Im’, who mainly works in Lee Gwangsu’s sijo, is formed by the sijo's form and its meaning is constructed. Then, while adding the poetry consciousness pursued by the poet, it is combined with the world to ventilate and sublimate poetically. As a result, the aspect of ‘Im’ development was utilized centering on the founders listed in "Lee Gwangsu Complete Works" and "sijo Edition". With a concrete research method, first I explored the tradition and the awareness of love and hatred, the second Buddhism and the sanctification spirit, and the third nature and the regenerating will.
    Lee Gwangsu has shown his willingness to continuously overcome the limits of the sijo's fixed form in order to freely incorporate the poet's emotions into the sijo through ‘Im’. Lee Gwangsu's main argument is that the natural form of the sijo is not a simple external form. The so-called sijo can be said to be an intrinsic rhythm created by combining the justice and prosody of the sijo. Furthermore, the contemporary sijo were opened up in that the sijo was not the languages that corresponded to their free poem, but their own ethnic languages. In Lee Gwangsu's early creative poems, this aspect of poetic composition stands out, which is a change in linguistic form and method of speech, and is also strongly implemented in his sijo to be examined.
    His common ‘Im’ is to include lyricism, to embody the limits and contradictions of reality in various ways from denial and loss. ‘Im’ is developed there through the sijo form for each sample, but it can be shortened to both sides. First, the subject and the object are integrated while projecting ‘Im’ in a way that renews the poet's world view and poetry consciousness, giving a sense of identity and unity. On the contrary, it refuses the subject and the object to project ‘Im’ in a way that strengthens the poet's world view and poetic consciousness, and gives him a divergence in an attempt to escape reality with non-ident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춘원연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