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공지능자동화의 전면화 국면에서 일과 사회 : 창의성의 문제 (Work and society in the face of full-scale artificial intelligence automation : The Problem of Creativity)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22.08
39P 미리보기
인공지능자동화의 전면화 국면에서 일과 사회 : 창의성의 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지역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지역사회학(Korean Regional Sociology) / 23권 / 2호 / 181 ~ 219페이지
    · 저자명 : 김두환

    초록

    창의성은 근대사회의 여명기에 인간의 본성으로 자리매김하기 시작한다. 그런데 자동화시대인 현재의 창의성 담론은 기계가 인간을 위협하는 사태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관하여 본 연구는 우리가 창의적일 때만 살아남을 수 있다고 주장하는 창의성 담론의 문제를 다룬다. 그 과정은 우선 잠재된 능력으로서 창의성이 인간의 보편적 가능성으로 등장한 것이 근대사회였지만 어떻게 그것이 가로막히게 되었는지 검토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인류가 기나긴 역사에서 창조해온 모든 도구와 발명들은 생물로서 취약한 인간을 보충하는 것이다. 하지만 인공지능 자동화 시대에 이르러 기계가 인간화하고 있다는 역설적 주장이 일어나고 있다. 그래서 자동화시대에 이르러 창의성을 주창하는 사람들이 행하고 있는 것이 어떻게 사람의 등급을 매기는 결과를 만들고 있는지 살핀다. 그 핵심은 자동화시대에 살아남을 좋은 일자리가 요구하는 것이 창의성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주장은 모든 개인이 누려야 할 창의성 발현의 기회를 가로막는 위협이다. 심리학자들의 창의성 연구들은 창의적인 사람들의 환경과 심리적 특성을 추적한다. 사회적 문화적 환경의 중요성을 인정한다. 다만 이들은 본 연구가 주목하고 있는 역사적 사회의 구조 문제에 주의를 기울이지는 않는다. 또한 진보적 자동화 이론가들이 가진 노동해방에 대한 기대와 인간 보편이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사회에 대한 유토피아적 전망이 결여하고 있는 실천의 구체성에 대한 문제도 검토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들을 극복할 가능성으로서 지역에 주목한다. 현재 한국 사회에서 수도권 구심력의 중요한 요인은 고용기회다. 노동시장이 요구하는 창의성은 고용되기 위한 능력이다. 그래서 그것은 진정한 의미의 개별화를 이룰 수 있는 창의성 발현의 능력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다. 더구나 인간의 창의적 사고는 의미 있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가능하다. 하지만 그것은 추상적 집단인 민족, 국가에서 일어나지 않는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상호작용은 개인이 살아가는 기초생활생태계인 지역에서 만들어지는 의미 있는 인간관계 안에서 가능하다. 그래서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2010년대에 들어서 가시적으로 활성화되고 있는 로컬 크리에이터의 등장을 주목한다. 구체적으로 삶이 이루어지는 로컬 커뮤니티에서 자기만의 고유성을 실현하려는 새로운 세대의 움직임이 ‘나’의 고유성을 실현하려는 창조적 자유의 중요한 실천사례임을 주장한다.

    영어초록

    Creativity begins to establish itself as human nature at the dawn of modern society. However, the current creativity discourse in the era of automation is centered on the situation in which machines threaten humans. Regarding this situation, this study deals with the problem of creativity discourse, which claims that we can only survive when we are creative. The process begins by examining how creativity, as a latent ability, emerged as a universal human possibility in modern society, but how it was blocked. All the tools and inventions that mankind has created in the long history of life supplement the vulnerable human beings. However,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automation, paradoxical claims are being made that machines are humanizing. So, in the era of automation, we look at how what those who advocate for creativity are doing is creating the result of grading people. The key is that creativity is what a good job that will survive in the age of automation requires. However, such a claim threatens to block the opportunities for creativity that every individual should enjoy. Creativity studies by psychologists track the environment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reative people.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However, they do not pay attention to the structural problem of historical society that this study focuses on. It also examines the concreteness of practice, which progressive automation theorists’ expectations for labor emancipation and the utopian vision of a society where universal human creativity can be exercised are lacking. This study focuses on the local as a possibility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An important factor in the centripetal force of the Capital metropolitan area in Korean society is employment opportunities. The creativity required by the labor market is the ability to be employed. So it does not require the ability to express creativity to achieve true individuation. Moreover, human creative thinking is possible through meaningful social interaction. However, it does not happen in abstract groups such as nations and countries. Concrete and practical interactions are possible within meaningful human relationships created in the local, which is the basic living ecosystem in which individuals live. Therefore,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emergence of local creators, which are visibly active in Korean society since early 2010s. Specifically, it argues that the movement of a new generation to realize their own uniqueness in the local community where life takes place is an important practice case of creative freedom to realize the uniqueness of ‘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