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15년 현재 사용 중인 한・일 중・고등학교 국어교과서 삽화 연구 (A Study on the Illustrations in the National Language Textbooks for Middle and High Schools in Korea and Japan in Use as of 2015)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19.12
22P 미리보기
2015년 현재 사용 중인 한・일 중・고등학교 국어교과서 삽화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ERICA캠퍼스)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비교일본학 / 47권 / 281 ~ 302페이지
    · 저자명 : 이미숙

    초록

    본고는 2015년 현재 사용 중인 한국과 일본의 중・고등학교 국어교과서의 근・현대소설에 사용된 삽화를 분석하여 양국의 사회문화적 특징을 파악하고 교과서 삽화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밝히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양국 모두 학교 급이 올라감에 따라 삽화의 양이 줄고 질적으로 차이가 나타났으며, 가족 중심, 성차(性差) 등을 제외하고는 이데올로기적 성격이 옅어진 것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를 통하여 삽화가 텍스트의 배경 및 주제와 깊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먼저, 한국의 근・현대소설은 철학적 주제나 판타지 장르보다는 사회문화적 갈등 및 세대, 성차, 이웃갈등 등 현실생활을 다루고 있다. 삽화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대부분이 인물 삽화이며 표정 묘사를 자세히 하여 글의 내용을 유추할 수 있다. 사실적으로 묘사한 삽화를 바탕으로 소설의 줄거리를 유추하는 학습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는 삽화가 글의 내용과 「대응」된다고 보는 인식과 관련이 있다. 이는 일정 정보를 제공하여 집필자가 의도하는 도달점에 이르게 하는 데에 효과적이나 해석의 자유로움이나 상상력 발휘에는 우려되는 바가 있다. 텍스트의 주제의 다양성 및 삽화의 텍스트적 기능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본다.
    한편, 일본은 소설의 배경이 이국적이고 철학적 주제나 판타지 장르가 많다. 삽화를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 비중이 낮다. 추상적 묘사의 비중이 높고 절제된 표현을 선호하며, 인물 삽화에 표정 묘사를 거의 하지 않는다. 삽화의 묘사도구 및 기법이 다양하나 절제된 표현으로 이미지형성에 도움을 주는 이른바 「상호보완」이라는 텍스트적 기능이 강하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삽화가 없거나 추상적이며, 간결한 묘사로 인해, 학생에 따라서는 텍스트의 이해가 곤란한 경우가 있다고 보며, 이를 도와줄 정보가 적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전체적으로 (소설의 주제와 관련이 있겠으나) 삽화가 어둡고 표정이 드러나는 것을 피하는 묘사 방식이 중・고등학교 단계에 적합한 것인지는 재고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illustrations for modern and contemporary novels in the national language textbooks for middle and high schools in Korea and Japan in use as of 2016, to identify the socio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two countries as well as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textbook illustrations.
    This study confirms that in both countries, as the school level rises, the amount of illustrations in the textbooks decreases and differences in quality are found; except for family centered contents and gender differences, the ideological character is weakened.
    The result of analysis confirms that illustrations are closely related to the setting and the theme of the text. Modern and contemporary novels of Korea mostly deal with social reality such as social and cultural conflicts, generations, gender differences, and conflicts with neighbors, rather than philosophical themes or fantasy genres. Many illustrations are used, but most of them are illustrations of human figures, and facial expressions are depicted in detail, which allows the students to infer the content of the text. Based on the realistically depicted illustrations, learning activities are carried out to infer the plot of the novel, which is related to the idea that illustrations should be in ‘correspondence’ to the theme of the text. This is effective in providing certain information for the students to reach the goal the author intended. However, in terms of freedom of interpretation or the exercise of imagination, it raises concerns. We need to further consider the diversity of the subject matter of the text as well as the textual function of illustrations.
    As for Japanese textbooks, many novels are philosophical or fantasy genres with have exotic settings. Illustrations are seldom or never used. They have a high proportion of abstract descriptions and prefer moderate expressions, and there are few facial expressions in illustrations of human figures. Illustrations use various tools and techniques of depiction, but have a strong element of the so called ‘complementary’ textual function, which helps form images with moderate expressions. However, due to the absence of illustrations, or due to abstract and simple depictions, some students may find it difficult to understand the text, and there is little information (illustrations) to improve this problem. Perhaps related to the themes of novels, the overall illustrations are rather dark in color and avoid the facial expressions of the characters depicted. There is a need to reconsider whether this method of depiction is appropriate for the middle and high school leve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일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