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싸리속(Lespedeza Michx.)식물의 문화적 위치에 대한 한일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 and Japan on the Cultural Position of Bush Clover (Lespedeza))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24.10
42P 미리보기
싸리속(Lespedeza Michx.)식물의 문화적 위치에 대한 한일 비교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교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민속학 / 80호 / 7 ~ 48페이지
    · 저자명 : 김혜인

    초록

    본 논문은 한국과 일본의 싸리속 식물의 활용을 중심으로 양국이 동일 식물을 문화적으로 위치지어온 과정을 비교분석한다. 싸리속은 두 국가에 동일하게 자생하며 널리 활용되어온 민속식물이나, 한국은 용재용, 일본은 관상용으로 활용의 방향을 달리해왔다. 따라서 식물의 유용성을 결정짓는 데는 자생 여부를 넘어 다른 요인이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연구는 현대 양국에서 인식되는 싸리에 대한 상이한 이미지에서 출발하여 활용상을 달리해온 요인에 대해 다음의 내용을 살펴본다. 첫째, 싸리속에 대한 두 국가의 민속분류와 식물명을 통해 동일 식물을 인식해온 공통점과 차이점을 파악하다. 각국에서 판단하는 중요도에 따라 민속식물의 지위는 달라지며, 싸리는 대상식생이라는 점에서 자연환경과 주변식물에 의해서도 식물을 인식하는 기준에 차이가 생겨난다. 둘째 싸리의 유용성은 줄기에 집약되어 있으며 양국은 용도에 따라 줄기의 성질을 다르게 사용하고 있다. 줄기의 성질은 성장 시기에 따라 유연성, 직립성, 탄력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어떤 성질에 주목하여 사용해왔는가에 따라 해당 식물에 대한 지식체계와 활용방식은 크게 달라지기도 한다. 셋째, 싸리를 지칭해온 양국의 명칭을 통해 일찍이 어떤 식물로 활용되었는가에 대해 검토하고 민속사례를 바탕으로 실용성 이면에 식물로서 싸리에 내포된 상징체계를 분석한다.
    싸리는 두 국가에서 동일하게 부정을 막아주는 식물로서의 민속사례가 수집된다. 일본의 관상식물에서 비롯된 완상문화가 과거의 상징성과 함께 현대에 이르기까지 일부 전승되는 것과 달리, 한국에서는 범용적으로 활용됐음에도 용재로서의 가치를 잃으면서 일련의 상징체계도 빠르게 자취를 감춘 것으로 보인다. 일본에 전승되는 유용성과 상징성의 연관 관계를 통해 식물을 둘러싼 다층의 의미가 서로 무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싸리는 민족에게 있어 과거 복합적인 식물로, 유형적 가치와 더불어 상징성이 투영된 중요한 식물이다. 본 연구는 한국의 민속식물로서 싸리의 상징성과 문화적 위치의 재검토를 위한 초석을 마련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cultural positioning of plants from the genus Lespedeza (commonly known as bush clover) in Korea and Japan, focusing on how both countries have utilized this plant differently. Lespedeza is a native plant in both nations and has been widely used as a folk plant, though Korea has mainly employed it for timber, while Japan has used it for ornamental purposes. This suggests that factors beyond its native presence play a role in determining the plant's utility. Starting from the differing perceptions of Lespedeza in modern Korea and Japan, this research examines the following factors that have shaped its utilization.
    First, through folk classification and plant names, the study highlight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how each culture perceives the same plant. The status of a folk plant varies depending on its cultural importance, with Lespedeza classified as secondary succession vegetation, while the criteria for recognizing plants also differ due to natural environments and surrounding vegetation.
    Second, the utility of Lespedeza is concentrated on its stem, and each country uses its stem properties differently depending on its purpose. The stem's properties can be classified into flexibility, erectness, and elasticity according to the growth stage. The knowledge system and methods of utilizing the plant vary significantly depending on which of these properties are emphasized.




    Third, by examining the names used to refer to Lespedeza in both countries, the study explores how the plant has been historically used and analyzes the symbolic system embedded in the plant, based on folk practices. Lespedeza is recorded as a plant used to ward off evil in both Korea and Japan. However, while Japan has preserved part of the symbolic significance from the past through its ornamental culture, Korea, despite its extensive usage, seems to have lost much of the symbolic system along with the decline in its value as timber. The interconnectedness of utility and symbolism in Japan suggests that the multilayered meanings surrounding the plant are not independent of one another. Lespedeza was a complex and important plant for both countries, projecting not only tangible value but also symbolic meaning.
    This study aims to lay the foundation for re-examining the symbolism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Lespedeza as a folk plant in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