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제 사비기 사찰의 가람배치 변화 양상에 대한 일고찰 (A Study on the changes in the layout of Buddhist temples in the Sabi period, Baekje dynasty)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11.12
36P 미리보기
백제 사비기 사찰의 가람배치 변화 양상에 대한 일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대학박물관협회
    · 수록지 정보 : 고문화 / 78호 / 57 ~ 92페이지
    · 저자명 : 민경선

    초록

    백제는 사비 천도 후 불사 조영이 활발히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는데, 최근 주요 사찰유적에 대한발굴조사가 이루어져 대략적인 가람배치의 변화 양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백제 사찰은 1탑1금당식으로 중문과 강당까지 일직선상에 배치하고 중심을 회랑으로 둘러 곽을 이루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있으며, 여기에 중심건물 주변의 부속건물에 따라 조금씩 다른 배치 양상을 띤다. 일부 특이한 경우가 있으나 전반적으로 시기적 흐름을 보이고 있다. 또한 목탑지 내 사리장치의 변화 양상과도 맥을같이 하여 백제 사찰의 특징 및 발전 양상을 볼 수 있다.
    사비 천도 후 초반에는 강당 좌우에 배치된 소형의 부속건물이 회랑과 연결되어 있다가 6세기중반경 이 건물이 조금 더 확대되면서 별도의 건물로 떨어져 나가고, 이와 함께 탑·금당 좌우로 회랑과연결된 동·서건물이 나타난다. 이 시기 심초석이 지하에 위치하고 사리장치 역시 지하에 마련되며6세기 중후반경 심초석의 지상화 과정에서 과도기적 단계의 양상이 보이기도 한다. 이후 6세기 후반~ 7세기 전반경에는 강당 좌우의 부속건물은 없어지고 동·서건물이 북쪽으로 강당 옆까지 연장되며,강당 북편에는 북승방지가 확인된다. 사리장치는 지상화한 심초석 내부에 마련된다. 이러한 양식이통합되어 미륵사지에서는 3원의 형식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입지 등 각 사찰의 여건에 따라 부소산사지와 같이 강당이 없거나 금강사지와 같이 부속건물 및 동·서건물을 두지 않는 경우도 있다.
    현재까지 조사되지 않은 사찰유적이 많아 아직 백제 사찰에 대한 전모를 알 수는 없으나 가람배치의큰 틀은 벗어나지 않을 것으로 보이며, 그중 동·서건물의 형태는 백제지역에서만 확인되어 백제가람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또한 6~7세기대 동아시아에서 확인되는 사리봉안의 특징이 백제 가람에서도 찾아지며 변화, 발전하는 과정이 확인되어 사리신앙을 비롯한 동아시아의 불교문화 발전과정에서 백제가 중요한 고리 역할을 하였음을 재차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popular belief is that Buddhism was brought from China to Korea in the first year of the rule by King Chimryu in 384 AD, and that a temple was built in Hansan region in the following year, although it has not been proven yet. Afterwards, several temples such as Daetong-sa were told to be built, but the detailed aspects are not known. Baekje Dynasty began toe build temples actively after it transfer its capital to Sabi, and after that more than 25 temples and temple sites are found within Buyo region.
    Recently we can secure many valuable materials for the ancient temples of Baekje Dynasty through many excavations for major temple sites. Based on these studies, the changes in the layouts of Buddhist temples can be explained.
    The basic plan of the temples in Baeckje Dynasty is composed of one pagoda and one main building layout which is putting the main gate and assembly hall on a straight line while surrounding them with corridor to form an outer boundary. Overall plan of the temples are the same except some variables on buildings belong to the assembly hall. The variables form which has a certain pattern with the time passes except for few unique cases. First, in Gunsuri temple site, the small buildings belonging to the assembly hall are attached to the corridor. However, since then the buildings are separated as they grow in size in Nungsanri and Wanghung temple site. Also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pagoda and the main building, there appear the east·west buildings which are connected to the corridor. The buildings belonging to the assembly hall disappears as time goes and the east·west buildings are extended North to the assembly hall and there appears a northern-buddhist nunnery site to the North of the assembly hall.
    These variables are integrated in Miruk temple site, and all three of them are shown in it. There are cases which contain neither the east·west buildings nor the buildings which are belonging to the assembly hall like Gumgang temple site or a case without the assembly hall as in Busosan temple site, because of the location and other reasons. However, during the period of building those temple sites exceed that of temple ruins with the building belong to the assembly hall according to the remains that were excavated with them. The framing purpose of these belonging buildings are suspected to be the place where the temple’s bell was kept, and the east·west buildings are used to be the buddhist nunnery site. According to this plan, living area and meditating area of these temples such as monk’s house and assembly hall and entering area such as corridor and the inner gate surround the service(place for pray and the rituals)area such as the main building and the pagoda.
    Along with the temple plan, the lower part of the main pillar of the wooden pagoda shows many changes through time; in particular, the position of the central base stone changed from underground to aboveground. A storage for sari(sacred stone) was placed in the central base stone in Gunsuri temple site 92_ 고문화 78집and Nungsanri temple site, but the later in Wanghung temple site, it was separated from the central base stone and buried beneath the stone in a special container(shaped just like the central base stone), which is a transition period of the central base stone being positioned to aboveground. As these examples show,the central base stone, the sari container, and other offerings were buried separately underground in the sixth century AD, and in the late seventh century the central base stone is located aboveground and the sari container and other offerings are placed in the central base stone simultaneously, which is proven in Miruk temple site recently. This can be compared with the cases of the East Asia, especially Silla Dynasty and Japan in the same time frame.
    It is difficult to figure out the whole picture of temples during Baekje Dynasty, since not many temples from that period have been excavated and studied about the basic outline of the temple plan would stay the same. Also, the structure of the east·west buildings is a distinctive character of Baekje temple plan.
    Moreover, Baekje temples demonstrate changes and developments showing distinctive features of East Asian sari burying culture, and again we can confirms the fact that Baekje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Buddhism in the East Asian count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