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선양활동과 순국선열기념일 제정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Patriots Promotion and Establishment of Memorial Day for Martyrs)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18.04
36P 미리보기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선양활동과 순국선열기념일 제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 / 19권 / 1호 / 119 ~ 154페이지
    · 저자명 : 김영장

    초록

    1919년 4월 상하이에서 수립된 임시정부는 정부의 형태에 걸 맞는 조직을 구상하였다. 이는 1919년 4월 25일 대한민국임시정부장정으로 발표되어 행정수반 및 정부의 조직구성, 그리고 각 부서의 담당 사무 등 조직의 역할과 활동 등이 규정되었다. 여기에는 국무원 직할기구인전계국이 포함되어 있었다. 전계국은 담당사무로 순국자 조사를 포함하여 독립을 위해 인적·물적으로 지원한 일을 조사하는 `공로자 조사'를 맡았다. 임시정부 역시 보훈정책의 성격을 띤 순국자 조사를 실시하여 수립의 정당성을 강화하고 정부라는 위상에 맞는 역할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전계국을 통한 순국자 조사는 실시하지 못하였다. 당면과제인 독립국가의 수립이 달성되지 않았기에 실질적인 보훈정책은 더 구체화하기 어려웠다. 그렇지만 순국자 조사를 포기한 것은 아니었다.
    임시정부는 1919년 7월 내무부에서 연통제를 시행하면서 설치한 연통부를 통해 조사가 실시되도록 하였다. 교민단에서 순국자 조사를 실시하였을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연통부의 경우 실제 실시하여 임시정부로 보고되었다. 이는 조선민족운동연감의 순국자 조사 명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조사된 내용은 임시정부 기관지라고 할 만큼 그 활동을 긴밀하게 선전하였던 독립신문에 순국기사로 보도되기도 하였다. 이와 함께 임시정부는 순국자 추도식을 거행하여 선양활동에 나섰다. 희생과 헌신의 가치를 공유함으로써 내부결속을 유도하고 국내외 국민들과 정서적인 유대감을 극대화하려는 것이었다. 추도식은 양한묵과 최재형 등 주요 인물을 시작으로 하여 무명의 순국자들이 함께 기려지면서 순국선열 전체로 확대되었다. 상하이에서 거행한 추도식은 임시정부의 주요 인사들을 비롯하여 한인들이 적극 참여하여 한인사회의 구심점 역할을 하였다.
    임시정부는 1930년대 존립이 위기를 맞이하였을 때, 순국선열을 추모하는 선양활동을 바탕으로 정부옹호 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는 한국국민당을 통해 추진되었다. 한국국민당은 국치일, 3·1절, 개천절, 6·10만세일 등의 기념일에 순국선열을 기리는 추모 글을 지속적으로 발표하였다. 정당차원에서 임시정부를 옹호하여 독립운동의 통합을 이끌어야 한다는 주장을 내세우고, 정부차원에서는 순국선열기념일을 제정하여 이에 호응한 것이었다. 나아가 순국선열의 헌신과 희생을 바탕으로 수립된 임시정부를 중심으로 독립운동이 통합되어야 한다는 명분을 내세운 것이다. 국무위원인 차리석과 지청천은 1939년 10월 열린 제31회 임시의정원회의에서 순국선열기념일을 정하자는 안건을 제출하였다. 논의를 통해 `을사늑약'의 체결일인 11월 17일을 순국선열기념일로 제정하는 안건이 통과되었고 임시정부는 12월 6일 이를 공포하였다.
    이후 임시정부는 내무부를 통해 순국선열기념식의 식순을 정하고 순국선열의 범위와 사적을 13개 항으로 분류하여 포고문으로 발표하였다. 순국선열의 범위와 사적을 통해 임시정부에서는 1895년 을미의병을 독립운동의 시작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지역과 노선 및 이념에 제한을 두지 않고 폭넓게 반영하였음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임시정부는 정부의 위상에 맞는 활동을 추진하고 독립운동의 중심기관의 역할을 지속해 왔음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 정부도 이를 계승하여 순국선열기념일을 국가기념일로 지정하고 있으며, 독립유공자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보훈선양사업을 추진하고 있어 현재까지도 그 의미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set up in Shanghai in April, 1919 formed an organization fit for a government. It published its book on April 25, 1919, introducing provisions about the roles and activities of its organization including the overall organizational composition of administration and the government and the affairs of each department. Jeongyeguk was also included which was under the direct supervision of the State Council. Jeongyeguk had responsibilities of examining martyrs and "people of merit" that supported the Independence Movement both humanly and physically.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examined martyrs as part of its patriots and veterans policies, trying to reinforce its legitimacy and performing its roles to suit its status as a government. There was, however, no actual examination of martyrs through Jeongyeguk was not conducted due to a lack of conditions. The immediate task of establishing an independent state was not achieved, so it was difficult to specify the actual veterans policy. It did not mean that they gave up on the examination of martyrs, though.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had martyrs examined through the Yeontong department established along with the Yeontong system by the Ministry of Home Affairs in July, 1919. It was also included as part of the business of Gyomindan, an autonomous organization of overseas Koreans. There is little possibility that Gyomindan examined martyrs actually, but the Yeontong department actually did and made a report to the provisional government. It can be checked in the list of martyrs of "Yearbook of Joseon's National Movemen.," The examined content publicized the activitie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so closely that it might have been called its bulletin and was reported in martyr articles in Dokripsinmun.
    The provisional government also held memorial service to commemorate the significance of sacrificing one's life for the country. It was intended to encourage internal solidarity through the sharing of sacrifice and devotion values and maximize the sense of emotional solidarity between Korean people home and abroad. The memorial service first commemorated major figures such as Yang Han-muk and Choi Jae-hyeong and expanded to the entire list of martyrs by paying a tribute to unknown martyrs, as well. The memorial service in Shanghai was hosted by a group of South Korean people, including key figures from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o become a focal point for the Korean community.
    The provisional government implemented Patriots Promotion to defend the government based on the memory of martyrs when it faced a crisis in the 1930s. It was done through the Korea National Party. The Korea National Party continued to announce a text in memory of martyrs on such anniversaries as the National Humiliation Day, Independence Movement Day on March 1, National Foundation Day on October 3, and Hurray Day on June 10. They argued for the integration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by advocating the provisional government at the party level and answered the call by establishing Memorial Day for Martyrs at the government level. Further more, They put up a cause of integrating the Independence Movement around the provisional government founded on the devotion and sacrifice of martyrs. Two cabinet members Cha I-seok and Ji Cheong-cheon submitted a bill to establish Memorial Day for Martyrs at the 31st provisional assembly meeting in October, 1939. After discussions, they passed a bill to designate November 17, when the Protectorate Treaty between Korea and Japan was concluded, as Memorial Day for Martyrs, and the provisional government proclaimed it on December 6.
    Since then, the provisional government determined the order of a ceremony to commemorate martyrs, classified the scope and achievements of martyrs in 13 items, and announced a declaration through the Ministry of Home Affairs. The scope and achievements of martyrs indicates that the provisional government recognized the army raised in the cause of justice in 1895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reflected the martyrs broadly regardless of area, route and ideology. These activities help to understand that the provisional government carried out its activities fit for its status as a government even in a difficult situation and continued to serve as the central organization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It is very meaningful that the current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has inherited it, designating Memorial Day for Martyrs as a national memorial day, enacting a law for independence patriots, and implementing a project for the enhancement of patriots and vetera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열린정신 인문학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