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香臺紀覽』 기록에 투영된 일제시대 臺灣의 모습 (A study on the appearance in Taiw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rough 『Travel in Hong Kong and Taiwan(香臺紀覽)』)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14.02
26P 미리보기
『香臺紀覽』 기록에 투영된 일제시대 臺灣의 모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문화연구 / 56호 / 247 ~ 272페이지
    · 저자명 : 진경지

    초록

    대만은 한국과 가까우면서도 먼 나라다. 역사적으로나 지리적으로도 두 나라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한국과 같이 동아시아에 위치하고 있는 대만은 조선에서 벌어진 동학운동(東學運動) 때문에 청일전쟁의 패전 대가로 1895년에 일본에 할양되었다. 한국 또한 15년 후 1910년에 일본의 군사적 압박에 못 이겨 한일합병조약을 맺어 대만과 같이 일본의 식민통치를 받게 되었다. 이러한 일본의 장기적 식민통치로 인해 대만에는 간접적으로 대만과 중국 사이에 민족적·정치적·사상적 괴리현상을 불러일으켰으며, 한국에는 남북분단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복잡한 역사에 얽힌 두 나라는 한류열풍을 계기로 경제, 문화 등 다방면에서 교류를 하고 있다. 양국 통계자료에 따르면 한국은 대만의 6번째 대만은 한국의 7번째 무역 상대국이다. 그러나 이러한 활발한 교류에도 불구하고 대만과 한국 양국은 서로에 대한 이해와 연구가 턱없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최근 정치, 경제, 문화, 언어 등의 분야에서 비교적 많은 비교 연구가 이뤄져 그간의 연구 공백을 어느 정도 채운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시간을 좀 더 거슬러 올라가 일제시대에 있었던 대만과 한국 양국 교류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만족스러운 연구 성과가 없다. 이 중에서도 특히 민간 교류에 관한 연구는 유난히 드물다. 양국의 교류는 날로 빈번하고 긴밀해지는 이 시점에 연구의 폭을 확대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생각된다.
    『향대기람(香臺紀覽)』이란 책은 공성학(孔聖學)을 비롯한 일제시대 조선의 개성상인들이 대만, 홍콩을 유람하면서 기록한 시문이다. 9일간의 대만 관광은 가장 북쪽인 기륭(基隆)부터 가장 남쪽인 아란비(鵝鑾鼻)까지 대만 서부지방의 유명한 관광명소와 당시의 현대시설을 유람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기 형식의 기록문은 관광 일정의 날짜, 시간, 교통수단, 숙박시설, 견문 등을 대부분 망라하여 자세히 기록한 덕분에 그 당시의 실제 상황을 상상하고 복원할 수 있게 한다. 흥에 겨워 지은 시문 또한 마음 속에 감춰 놓았던 감회를 여실히 반영하였다. 따라서 이 책은 공식적이 아닌 민간적인 입장, 자국인이 아닌 외국인 시각으로 바라본 일제시대 대만에서의 양국 교류 현장을 연구할 때 가장 소중하고 적합한 자료라고 생각된다.
    이 연구는 1920년대에서 1930년대를 중심으로 조선의 상인들이 대만을 관광하면서 남긴 『향대기람』을 통해 그 당시 대만의 사회적·문화적·정치적 양상을 복원하고 기록에 깔려 있는 의미를 찾아내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에 1장에서 본 연구의 필요성과 한계를 밝혔다. 2장에서는 조선 사람이 대만에 가진 인식을 소개하고 공성학 일행의 대만 방문 동기를 찾아냈다. 그리고 공성학이 소속된 개성상인 집단과 미쓰이(三井)회사의 정체를 밝힌 후 둘 사이의 밀착한 관계를 해명했다. 3장에서 대만의 실태를 재현하기 위해 동화적 의미를 가진 관광지와 이국적인 경치를 통해 표면적인 모습을 구성한 후 다시 그 속에서 내포된 의미를 발굴했다. 동시에 조선과 대만 사이에 존재하는 역사적․문화적 연계를 찾아내 지금까지 대만과 한국의 민간교류 사이의 공백을 채우려고 노력했다. 4장에서는 연구 내용을 정리하고 남은 과제를 제출하면서 마무리를 지었다.

    영어초록

    The relationship between Taiwan and Korea is very intimate regardless of the location or the overview of history. Recently, due to the Korean Wave and the increasing numbers of visitors and the trade between them, it shows the familiarity of their interactions. But when we look up the studies of the history of interactions between Taiwan and Korea, there are seldom scholars interested in the interactions of the history and culture between Taiwan and Korea except for just few professors interested in politics, economics, etc. Under this circumstance, I try to collect related historical materials of the interactions between them but find out that almost all documents are all aimed on modern times and the contents of them are almost official. For this phenomenon, I doubt that the interactions of Taiwan and Korea in the past years are all limited in the official way. Is it possible that there is no any form of folk interactions between them? So the study focuses on finding out new historical materials to rediscover the scene of the interactions at that times and discussing the hidden meaning of the documents.
    This book 『Travel in Hong Kong and Taiwan』 records the course of Kong Seong-Hak, Kong Seong-Gu, Son Bong-Sang, who are the businessmen at Kaeseong city in the Joseon Dynasty in 1928, visiting Hong Kong and Taiwan through the Mitsui Company for investigating the selling distribution of red ginseng. It could be replenished the insufficiency of the official records and show the complete situations in Taiw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y the point of view of folk people and foreigners in this book. The study has four chapters. The first chapter gives a simple introduction of the background, purposes and extent of this study. The second chapter is aimed to discuss the motivation of visiting Taiwan, explaining the development of the Joseon business groups, and the reason of cooperation with Mitsui Company by knowing a basic impression of Joseon people to Taiwan. The third chapter separates scenic spots in the route to two parts:one is for those scenic spots which have assimilative meaning, and the other one is for exotic scenic spots which are totally different from Joseon. In these two parts, there is subdivision for visiting Japanese shrine, Koxinga Shrine which enshrines Zheng Cheng-Gong, and the bamboo which symbolizes an auspicious sign in one part; there is subdivision for the life style of aboriginal people, beautiful scenic spots in Mountain A-li, and the Matsu belief of Taiwan people, etc. in the other one part. In addition to rebuilding the real situations in Taiwan at that times, I find out the hidden meaning behind the words in the records of visiting Taiwan interactions to recover the historical emptiness of folk interactions between Taiwan and Korea by using these historical materials to interconnect the interactions of them in the past years. The fourth chapter is the review, the conclusion, and the questions for further stu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