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소월과 인내천(人乃天): 『개벽』지 발표작에 관한 일고찰 (So-wol Kim and Innaecheon: An Inquiry of the Works Published in “Gaebyeok”)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17.06
36P 미리보기
김소월과 인내천(人乃天): 『개벽』지 발표작에 관한 일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과종교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학과 종교 / 22권 / 2호 / 83 ~ 118페이지
    · 저자명 : 홍승진

    초록

    본고는 1920년대 천도교 기관지 『개벽』에 실린 시편을 중심으로 김소월과 동학(천도교) 사상 사이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김소월이 『개벽』에 발표한 산문시 「ᄭᅮᆷ자리」는 동학의 범신론적 세계관을 형상화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인도의 우파니샤드 철학을 바탕을 둔 타고르의 시편은 ‘님’을 초월적인 신격으로 보고 현실을 해탈의 대상으로 보는 반면에, 김소월의 산문시는 ‘님’을 인간에 내재한 생성 원리로 보고 현실의 삶 자체를 긍정한다. 소월의 「깁흔구멍」에서 ‘님’은 생성 원리로서의 천(天)과 가깝다. 이 작품에서 천(天)은 인간의 삶을 초월하여 있는 존재가 아니라, 모든 인간[人]의 마음속에 내재[乃]한는 존재로 그려진다. 김소월이 『개벽』에 마지막으로 발표한 시 「신앙(信仰)」에서도 ‘신(神)’은 모든 인간의 가슴속에 내재하여 있는 존재라고 하며, 생명 자체를 긍정하는 힘이라고 하였다. 『개벽』에 소월이 처음으로 발표한 동시(童詩)들은 ‘봄’의 기호를 등장시키는 동시에 대립적 요소의 결합이라는 시적 기법을 활용함으로써, 단순한 언어를 통하여 생성 원리 자체를 표현하였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attempts to interpret the relationship between So-wol Kimand Donghak (Cheondogyo) by focusing on his works published in “Gaebyeok.” The implication of his pseudonym can be interpreted with considering the historical context, that So-wol Kim desired to defend Korea’s national identity against imperialism and pursued equality against the discrimination of the feudal system. Especially, the northwestern region of Korea, which was the regional background of So-wol Kim’s life, had a locality that accepted the idea of ​​Cheondogyo in the aspiration for equality. While Tagore’s poetry regarded the life of the present world as an object to be denied, So-wol Kim’s prose poems in “Gaebyeok” positively represented the reality as an expression of the creative divinity. A conclusive evidence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o-wol Kim and Choendogyo can be found in his poem “The Faith.” Additionally, his poems on children express the infinite and creative movement of life dynamically and simply, confronting the oppressive order of the adult-ma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학과 종교”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