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중·일 만화 애니메이션에서의 구미호 이미지 비교 분석 (Comparison of Korea·China·Japan Content Circulars by Fox Characters)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21.03
17P 미리보기
한·중·일 만화 애니메이션에서의 구미호 이미지 비교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애니메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애니메이션연구 / 17권 / 1호 / 169 ~ 185페이지
    · 저자명 : TIAN HAN, 윤기헌

    초록

    고대(古代)신화, 전설, 설화 등의 소스는 만화, 애니메이션, 영화, 게임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재탄생되었다. 미국 만화와 애니메이션은 유럽, 아시아 등 전 세계의 신화, 전설, 설화 등을 활용하여 미국적 가치관을 담아내는 동시에 전 세계 관객들에게 친숙하게 접근하고 있다. 동아시아에서는 일본 ‘요괴 문화’를 활용한 ‘일본식’ 만화 애니메이션 콘텐츠가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백설 공주>, <슈퍼맨>, <나루토>, <원피스> 등 미국, 일본의 만화 애니메이션을 모르는 사람이 거의 없을 정도이다. 이처럼 문화원형 소재의 중요성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한국과 중국(<천년여우 여우비>, <나타지마동강세>)의 만화 애니메이션에서도 민간설화와 민간신앙을 활용한 사례들이 있지만, 아직은 걸음마 단계이다. 우리 주변의 구미호, 요괴 등은 인간과 오랫동안 관계를맺어온 원형상징이자 대표적인 상상력의 산물이다. 본 논문은 한·중·일 모두가 공유하고 있는 구미호라는 문화 이미지를 선택하여 3개국의 구미호에 대한 고대 문헌과 현대 콘텐츠 작품을 연구 자료로 이용할 것이다. 먼저 3개국 문헌인 『산해경』, 『조선왕조실록』, 『다마모노마에 모노가타리』를 통해 나라별 전설, 설화에 나온 구미호 이미지를 분류하였고 <천년여우 여우비>, <후야오샤오홍냥>, <나츠메 우인장>과 같은 인지도 높은 만화애니메이션 작품들을 분석하여 구미호의 형태와 성격에 대해 분석하였다. 한·중·일의 고대 문헌에서는 구미호를 인간이 되어 인간 세계에서 살고 싶은 강한 소망을 가진 ‘구생자(求生者)’, 사람과 요괴가 평화롭게 지내는소망을 품고 있는 ‘질서유지자’, 인간을 보호하며 인간에게 도움을 주는 ‘조력자’의 역할로 등장한다. 이와 같은이미지는 다시 현대의 만화 애니메이션에서 그대로 인용되거나 새롭게 재창조되고 있으며, 나라별 특성 또한 유사하거나 또는 매우 상이하다. 따라서 문화원형 소재를 개발하고 이를 콘텐츠화하는 일련의 방식은 보다 앞으로활성화될 것으로 보이며 관련연구는 문화원형 비교분석 모델 쪽으로 보다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하겠다.

    영어초록

    Sources such as myths, legends, and tales have been recreated through various media, including cartoons, animations, movies, and games. American cartoons and animations use myths, legends, and narratives from all over the world, including Europe and Asia, to capture American values and to familiarize audiences around the world. In East Asia, Japanese-style cartoon and animation contents using Japanese “Demon Culture” are world-famous. Few people don’t know American, Japanese cartoons and animations such as Snow White, Superman, Naruto, and One Piece. As such, the importance of cultural materials is increasing. There are also cases in Korea and China (A Thousand-Year-Woo Fox Rain and Nata and MaDong-Se), using folk tales and folk beliefs in cartoons and animations, but they are still in the early stages.
    Nine-tailed fox(called Gumiho) and monsters around us are the archeological symbols and representative products of imagination that have long been related to humans.
    This paper will select a cultural image called Gumiho, which is shared by both Korea, China, and Japan, and use ancient literature and modern content works on Gumiho from three countries as research materials. First of all, the three countries’ literature, “Sanhaegyeong”, “Chosun Dynasty’s Annals”, and “Tamamamonomae Monogatari”, categorized the images of Gumiho in legends and narratives, and analyzed the forms and characteristics of Gumiho by analyzing them. In the ancient literature of Korea, China, and Japan, Gumiho appears as a “savior” with a strong desire to become a human being and live in the human world, a “guardian” with a desire for people and monsters to live in peace, and a “helper” to protect humans. Such images are again cited or newly recreated in modern cartoons and animations, with similar or very different country-specific characteristics or very different. Therefore, a series of methods to develop and content cultural materials are expected to be activated in the future, and related research needs to be activated in the direction of cultural center comparative analysis mode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애니메이션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