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요’ 개념의 한일 차이와 ‘번안동요’의 수용 (Concepts of Children’s Song and Translation : Dong-yo and Doyo in Korea and Japan)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19.02
18P 미리보기
‘동요’ 개념의 한일 차이와 ‘번안동요’의 수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본학회
    · 수록지 정보 : 일본학보 / 118호 / 127 ~ 144페이지
    · 저자명 : 박진수

    초록

    한국과 일본은 넓은 시야에서 볼 때 매우 독특한 공통의 ‘동요 문화’를 갖고 있다. 근대 초기 서양 동요가 동아시아에 이입되면서 한국과 일본은 서양 동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자기화하면서 창작동요를 만들고 나름의 동요 문화를 발전시켰다. 그러나 한일 간에는 ‘동요’ 개념을 비롯하여 서양 동요의 수용 방식에 미세한 차이가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공통점과 차이점에 주목하면서 동요 성립과 외래 동요 수용 방식에 대해 비교 고찰하고자 한다.
    한국어 ‘동요’는 어린이 노래의 총칭임에 반해 일본어 ‘동요’는 기존의 창가에 대한 대안 개념으로서 다이쇼 시대부터 사용해온 역사적 개념의 뉘앙스가 강하다. 동심을 중시하는 예술적 가곡을 ‘동요’로 개념화하면서 ‘동요운동’을 통해 국가주의를 극복하고자 한 지식인들의 움직임은 일본에서 시작되어 한국에도 영향을 주었다. 방정환의 경우는 일본의 아동문화 운동을 식민지 조선에 창의적으로 적용하는 데에 성공했다.
    독일의 동요 <어린 한스>의 멜로디에 일본 와라베우타의 가사가 결합한 창가 <나비>는 전후에 국가주의를 탈색하고 ‘동요’로 거듭났다. 창가 <나비>의 번안곡 <나비야나비야>는 한국어 표현상의 특징과 일본어 번역투를 다 가진 점에서 ‘한일 절충적’ 번안동요였다. 오늘날 한국에서 노래되고 있는 유아동요 <나비야>는 시대의 격랑을 헤치고 다듬어진 집단창작의 결과일지도 모른다. 번안동요는 여러 가지 면에서 자국문화의 중요한 일부인 동시에 이질적 문화가 융복합된 소중한 인류의 문화유산이다.

    영어초록

    Korea and Japan have a very unique common culture of children’s song. With Western Nursery Rhymes entering East Asia in the early modern times, Korea and Japan actively embraced that and took it upon themselves to create Shoka(唱歌) to develop their own culture of children’s song. However,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Japan, including the concept of children’s songs and the way Western Nursery Rhymes are accommodated.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make a comparative consideration of the modern culture of the formation of East Asian children’s songs and the mode of foreign music acceptance, noting thes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While the Korean word Dong-yo(童謠) is a generic term for children's songs, the Japanese word Doyo(童謠) is an alternative to Shoka, and has strong nuances of historical concepts that have been used from 1918 to 1945. Intellectuals’ move to overcome nationalism through the “Doyo movement,” began in Japan and influenced Korea as well. In the case of Bang Jeong-hwan, the Korean pioneer of juvenile literature and a children’s rights activist, Japan’s children’s cultural movement was successfully applied.
    “Chocho,” as a Shoka the lyrics of Japanese Warabeuta with the melody of the German nursery rhyme “Hänschen klein” (Little Hans), was reborn as a Doyo with decoloration nationalism after the war. “Nabiya Nabiyah,” a Korean Dong-yo rewritten by a Shoka “Chocho,” was a compensated song in that it has both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expression and Japanese translation. “Nabiya,” a Dong-yo sung in Korea today, may be the result of a collective creation that has been refined through the turbulent times. A Translated or Adapted song is a valuable cultural heritage of mankind, an important part of its own culture, and a combination of heterogeneous cultu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본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