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중원일대 파경(破鏡) 풍습과 한반도 수용 (China's Central Plains, Broken Mirror Customs and Acceptance of the Korean Peninsula)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23.02
28P 미리보기
중국 중원일대 파경(破鏡) 풍습과 한반도 수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유라시아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유라시아문화 / 8권 / 261 ~ 288페이지
    · 저자명 : 홍인국

    초록

    이 글은 기존에 주목하지 않았던 한반도 파경 풍습에 대해 그 기원과 전개를 살피고자, 그동안 출토된 자료를 검토하여 깨어진 동경의 매납행위를 비교하는 기초 작업으로 정리해 보았다. 또한 한반도로 수용되고 변화하는 과정을 살펴 아직까지 시도해 보지 못한 파경의 유형과 시기성, 선후관계 등 계통적인 구조를 알아보았다.
    파경은 무덤 속에 원형의 동경을 인위적으로 깨뜨려 매장한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북방 유목민족의 특징적인 풍습으로 여겨졌으나 자료적 한계가 있다. 오히려 중국의 낙양 소구한묘에서 파경 풍습이 확인된 이래, 서안에서도 재차 발견됨으로서 그 기원을 중국 서북지역에서 시작된 것으로 생각된다. 최근에는 전국시대 진의 도읍이었던 옹성 인근에서도 파경이 발견되었는데, 다른 부장품 중 동경만 파괴된 상태로 출토되어 기원전 3세기 중엽 부터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한반도에서는 기원전 3세기부터 파경 풍습이 시작되는데, 현재까지 남한지역에 걸쳐 32개 유적에서 49점이 기원후 3세기까지 다뉴경과 한경, 방제경을 통해 시기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확인된다. 이제까지 파경은 여타 청동기, 석기, 옥기 등의 일반적인 파쇄행위와 동일한 계통으로 이해됐으나, 동시기 중국에서 편찬된 문헌자료를 통해 동경이 가지는 부부 또는 가족의 재회를 상징하는 시대성이 매장풍습에 반영되어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의례적 맥락으로 한반도에도 전해졌는데 중국은 분절품을 통한 재회를, 한반도에서는 사후세계 기물로 소멸을 뜻하는 파쇄품으로 기원후 3세기까지 지속되었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I wanted to examine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the broken mirror customs in Northeast Asia, so I reviewed the data excavated so far and summarized it as a basic work comparing the act of paying for broken yearning. In addition, by examining the process of being accepted and changed on the Korean Peninsula, the systematic structure of the Broken Mirror, which has not yet been tried, was investigated.
    Broken mirror means that a circular mirror is artificially broken and buried in a tomb. It was generally regarded as a characteristic custom of the nomadic people in the north, but there is a limit to data. Rather, it is believed that the origin began in northwestern China as it was discovered again in Xuan after the Broken Mirror custom was confirmed in the Luoyang Shaogou Han mu(洛陽 燒溝漢墓) in China. Recently, Broken mirrors were also found near Qin Yongcheng(雍城)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and only the bronze mirror among other burial goods was excavated with destruction, so the cool context is found from Qin.
    In the Korean Peninsula, the custom of Broken mirror began in the 3rd century BC, and so far, 35 cases and 52 pieces across the central and southern regions of the Korean Peninsula have been identified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time and region through the Bronze mirror with multi-buttons, Han mirror, and Imitated mirror.
    Until now, the Broken mirror has been understood as the same system as other general crushing activities such as bronze tools, stone tools, and jade tools, but through literature compiled in China at the same time, it can be seen that the period symbolizing the reunion of couples or families is reflected in Funeral Norms.
    It was also introduced to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ritual context, but unlike China, it lasted until the 3rd century A.D., as shredded goods, which means extinction as an afterlife property, rather than reunion through sectional goo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라시아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