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제법의 헌법화 논의에 대한 일고찰 (A Review on the Constitutionalization of International Law)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13.12
30P 미리보기
국제법의 헌법화 논의에 대한 일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국제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법학회논총 / 58권 / 4호 / 73 ~ 102페이지
    · 저자명 : 김성원

    초록

    국제사회에서 국제공동체로의 국제정치상 구조적 전환은 국제법의 헌법화 또는 세계 입헌주의에 대한 논의를 촉발시키게 되었다. 국제법의 헌법화 또는 세계 입헌주의에 관한 논의는 국제법학자들로부터 시작된 것은 아니었지만, 세계화 시대의 국제관계를 규율하는 골격 규범으로서 국제법의 성격 전환에 관한 함의를 담고 있는 바, 국제법학자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국제법의 헌법화 또는 세계 입헌주의에 대한 논의는 국제공동체에 대한 정확한 이해 없이는 사실상 전개되기 어렵다.
    국가중심적 시각을 반영하는 Westphalian 체제에 이론적 기반을 두는 ‘국제사회’는 개별 국가의 이익의 최대화를 전제로 국가들의 협력과 공존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다분히 강대국의 이익이 우선시되고, 약소국, 비국가단체 및 개인의 이익은 최대한으로 반영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세계화의 심화로 인하여 이와 같은 국제사회의 기본적 구조는 적지 않은 도전을 받게 되었다. ‘국제공동체’는 개별 국가의 이익보다 국가, 비국가단체 또는 개인으로 구성되는 전체 주체의 이익 최대화를 주요 목적으로 상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국제사회와 차이점을 보여준다. 국제공동체의 부상에 따라 국제공동체를 구성하는 주체들의 이익을 최대한으로 반영하기 위해서 어떠한 방안이 고안될 수 있는가에 대한 논의를 진행시키게 되었으며, 또한 다양한 주체들의 이해의 충돌을 규율하기 위한 국제공동체의 상위 규범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를 증폭시키게 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국제법이 국제공동체의 근본규범으로서 보다 강력한 규범력을 가져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고 이에 따라 국제법의 헌법화 또는 세계 입헌주의에 관한 논의가 진행되게 되었다.
    국제공동체 전체의 이익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국제법이 국제공동체의 헌법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는 주장은 이상적인 것으로 그 필요성에 대해서는 일견 어떠한 문제점도 주장될 것 같지 않다. 그러나, 현실적인 측면에서 국제법이 국제공동체의 헌법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복잡한 문제들이 노정되어 있다. 즉, 국제법의 헌법화 논의에 선결 요건으로서 국제공동체로의 전환이 완성되었는가? 민주주의, 법의 지배, 권력 분립, 인권 보호 등과 같은 주요한 헌법상의 원칙을 포함하는 국제법을 국제공동체는 필요로 하는가? 세계 입헌주의 또는 국제법의 헌법화는 단일의 세계 연방체를 선험적으로 상정한 개념으로 이해해야 하는가? UN헌장이 국제공동체의 헌법으로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가? UN헌장이 국제공동체의 헌법으로서 역할을 담당하기 위해서 어떠한 점이 수정되어야 하는가? UN헌장이 국제공동체의 헌법이 될 수 없다면, 어떠한 국제법상 원칙들이 국제공동체의 헌법으로 활용될 수 있겠는가? 국제공동체의 헌법은 자동적으로 개별 국가의 국내법 또는 국제법의 상위법이 되는 것인가? 국제공동체의 헌법이 규정하는 주요 원칙 또는 원리들은 서구의 가치를 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닌가? 국제공동체의 헌법은 다원주의를 수용하기 위하여 어느 정도의 유연성 또는 개방성을 가져야 하는가?본 논문은 상기 문제들에 대한 해답을 모색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국제법의 헌법화 또는 세계 입헌주의의 주장을 살펴보는데, 특히 UN헌장의 국제공동체 헌법으로서 활용 가능성에 대한 논의의 적합성을 검토한다. UN의 주요 기관인 UN안전보장이사회, UN총회, ICJ 등의 역학 관계를 검토함으로써 헌법상의 주요 원리 또는 원칙들의 적용에 있어서 어떠한 문제점에 직면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아울러, 국제공동체의 헌법으로서 국제법이 다원주의 문제를 어떠한 방향으로 접근해야 하는지도 고찰한다. 국제법의 헌법화 논의는 국제공동체 전체의 이익을 어떠한 방법으로 최대화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논의와 병행해서 진행되어야 한다. 환언하면, 국제공동체에 적합한 헌법으로서 국제법의 구조적 전환을 모색하는 경우, 인권의 최대한의 확보 및 보장이 반드시 핵심 요소로서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국제공동체, 세계 헌법과 같은 개념에 대해서 이상적인 개념이고 현실의 상황에서는 논의할 실익이 없다는 주장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주장은 물론 존재하는 법의 입장에서는 일견 정확한 분석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국제법은 있어야 할 법에서 필요한 사항에 대해서도 끊임없는 관심을 가져야하는 법이다. 국제공동체의 부상에 따른 국제법의 헌법화에 대한 논의는 이러한 맥락에서 국제법학자들이 많은 관심을 가져야하는 가장 중요한 문제인 것이다.

    영어초록

    The rise of international community in world politics creates conditions for the possible emergence of the global constitutional law. Global constitutionalism or the constitutionalization of international law, an idea neither necessarily rooted in nor emerging specifically from international law, has captures the imagination of public international law scholars. Heated debates on the constitutionalization of international law or global constitutionalism could not be proceeded properly without understanding of the rise of international community.
    Based on the state-centric perspective on international relations, which is also defined as ‘Westphalian system’, the concept of ‘international society’ mainly focuses on interests of individual States. Because the supremacy of States’ interests over anything is understood as the backbone of international society, interests of weaker States and non-state actors like individuals and NGOs are not fully secured and even sacrificed. However, this familiar portrait of international relations rapidly loses its character by the advent of international community.
    The concept of ‘international community’ with special emphasis on democratic governance, rule of law, protection of human right seems to be more relevant at the age of globalization. The impact of globalization on international law and global governance provides food for the thought for changing nature of international law. For the purpose of reflecting collective interests of international community as a whole, there is a growing need for more robust roles of international law as the Grundnorm of the newly emerging international community. In this context, a bold attempt to incorporate core principles of constitutional law, such as democracy, rule of law, separation of powers and protection of human rights into the realm of international law is under construction.
    The project of the constitutionalization of international law or global constitutionalism does not seem to be necessary because this project is undoubtedly ideal for international community. However, if one looks into this project thoroughly, it is easy to detect there are lots of difficulties for crystallizing the idea of global constitutionalism or the constitutionalization of international law a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level. Difficult questions are as follows: The shift from international society to international community is really completed? Do we need really a brand new version of international law having core principles of constitutional law? Does global constitutionalism or the constitutionalization of international law inevitably envisage the federal government of international community? Could the UN Charter play a role as the constitution for international community substantially? What is needed for activating the UN Charter as the constitution for international community? If the UN Charter could not be used as the constitution for international community, which existing rules and principles of international law could be nominated as core constituents of the constitution for international community? Does the constitution for international community automatically prevail over international law or domestic laws of States? Could the constitution for international community be supported by every State? Is there any possibility that the constitution for international community would be blamed for its core principles rooted in western-centric values? To what extent the constitution for international community could embrace flexibility and pluralism?To wrestle with above-mentioned questions, this article explores the relevance of existing debates on the constitutionalization of international law or global constitutionalism. Special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suggestion that attempts to use the UN Charter as the global constitution. Also, for the purpose of testing whether the UN Charter could play as the constitution for international community, relationship among principal organs of the UN, such as UNSC, UNGA and ICJ would be examined in terms of core principles of constitutional law, such as rule of law and separation of powers. This article also explores significant constituents like pluralism, solidarity and openness which are definitely included in the process of making the constitution for international community.
    The project of the constitutionalization of international law should go hand in hand with the direction which maximizes benefits of international community. Put it differently, impetus for making the constitution for international community should be parallel with an everlasting attempt to enhance level of human rights protection. Some argues the idea of the constitution for international community could not be materialized and could not go anywhere under complex conditions of international law and international community. Yes, this argument might be true only if the project of the constitution for international community is explored in terms of lex lata. However, the attempt to realize the idea of the constitution for international community should be made in terms of lex ferenda because we have the solemn duty to make a better place for entire human race. This duty could not be performed properly without bringing fresh air to debates on the nature of international law for international community. It is high time that international law scholar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project of the constitutionalization of international la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