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의 수업 연구 역사에 대한 일 견해 (A VIEW ON THE HISTORY OF CLASSROOM RESEARCH IN KORE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19.04
26P 미리보기
한국의 수업 연구 역사에 대한 일 견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교육문화연구 / 25권 / 2호 / 57 ~ 82페이지
    · 저자명 : 이혁규

    초록

    한국의 교육계에서 그 동안 수업 연구의 역사를 정리하려는 시도는 많지 않았다. 이 연구는 수업 연구자로서 필자가한국의 수업 연구의 역사를 정리해 보려는 시론적인 시도이다. 우선 필자는 필자가 개인적으로 접하면서 많은 자극을받은 일본의 활발한 수업 연구의 전통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이어서 필자가 교사와 학자로서 경험했던 한국의 학교현장과 학계의 수업 실천과 연구 문화에 대해서 간략히 기술하였다.
    필자의 경험에 바탕을 둔 이러한 주관적 서술에 이어서 좀 더 객관적인 입장에서 우리나라 수업 연구의 역사를1987년을 기점으로 나누어서 기술하였다. 1987년을 기점으로 삼은 이유는 우리나라가 민주화된 1987년을 기점으로그 이전과 그 이후의 수업 연구의 환경이 많이 바뀌었다고 보기 때문이다. 1987년 이전의 수업 연구의 역사는 새교육운동의 전개, 중앙정부에 의한 교육과정 개정, 한국교총을 중심으로 한 현장교육연구대회라는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다루었다. 1987년 이후의 수업 연구의 역사는 열린교육 운동, 자발적인 교사연구모임의 증가, 질적 연구와 실행연구등 학계의 연구 경향의 변화, 그리고 2009년부터 시작된 혁신학교 운동이라는 네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전체적으로 볼 때 한국의 수업 실천과 연구는 관 주도에서 현장의 자발성이 강조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다양한 외국 사조의 영향을 받고 있지만 자생적인 힘을 축척하면서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 방식을 넘어서 학습자중심의 다양한 수업 실천 경험을 축적해 가고 있다. 다양한 질적 연구의 등장과 함께 교실 수업 현상을 관찰하고이해하려는 노력도 증가하고 있다. 또, 교사 개인의 전문성을 넘어서 학교 안팎에서 다양한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한집단적 전문성을 신장하려는 움직임이 늘어나고 있다.

    영어초록

    There have not been many attempts thus far to study the history of classroom researches in Korea. This study is a preliminary attempt of me, as a classroom researcher, to put the history of classroom researches of Korea in perspective. First, the Japanese tradition of doing lesson study actively, with which I has been exposed personally, was introduced. Then, the practice of classes in schools and the research culture thereof in Korean academic fields were briefly described as I has experienced as a teacher and scholar.
    After the subjective description based on my experience, the history of classroom researches of Korea was described, dividing between the era before 1987 and the era after 1987. The year 1987 was set as the turning point due to the fact that the environment for classroom researches has changed a great deal starting from that year, when the Korean society underwent a drastic democratization experience. As for the history of classroom researches before 1987, the three subjects, which are the development of new education movement, curricular reforms made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contest of teacher’s action research hosted by the Korean Federation of Teachers’ Associations, were mainly covered. In regards to the history of classroom researches after 1987, the four following subjects were mainly dealt with: open education movement, increase of spontaneous study groups of teachers, changes in research trend in academic circles represented by qualitative research and action research, and the movement toward innovative school which started in 2009.
    Overall, the direction of change is toward putting more stress on the practice and study of classes voluntarily performed in the field than those that are officially led by central government. While being influenced by diverse overseas trends on the one hand and gaining autogenous strength on the other, the practice and study of classes in Korea are accumulating experiences from the performance of diverse types of classes which are centered on learners, transcending traditional lecture-based classes. The emergence of diverse qualitative researches, also, induces the increased efforts to observe and understand various phenomena that happen during classes. In addition, teachers’ movement to expand collective expertise exceeding that of individual teachers through participation in learning communities is also spread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