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종교인의 정치참여와 정교분리의 원칙 (Separation of politics and religion from a viewpoint of political participation of religious people)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19.09
29P 미리보기
종교인의 정치참여와 정교분리의 원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고려법학 / 94호 / 1 ~ 29페이지
    · 저자명 : 장영수

    초록

    종교적 근본주의가 낳는 파국적 결과를 반복해서 경험하면서 오늘날 종교적 관용 및 종교의 자유는 오늘날에도 헌법상 가장 중요한 기본권의 하나로 인정되고 있다. 또한 특정 종교의 힘이 세속 질서를 결정하는 것을 막기 위해 정교분리원칙이 현대헌법에서도 널리 인정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교일치와는 구별되어야 할 것이 종교인의 정치참여 문제이다.
    ‘정교분리’라는 원칙은 다양하게, 심지어 서로 다르게 해석되고 있다. 분명 헌법상 원칙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담고 있지만, 그 구체적인 적용과 관련하여서는 아직도 고민해야 할 점들이 적지 않다. 더욱이 우리나라에서는 일제강점기와 독재정권을 겪으면서 정치와 종교의 관계가 왜곡된 부분들도 적지 않다.
    이 글에서는 정교분리의 원칙의 의미와 구체적 적용범위를 보다 명확하게 밝히고자 한다. 정교분리의 원칙으로 인해 종교의 정치적 영향력이 배제되어야 할 부분과 종교인들 또한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정치참여가 허용되어야 할 부분을 섬세하게 구분하기 위해서는 ‘종교의 특성과 정교분리원칙’에 대해 정리했다.
    그리고 그 바탕 위에서 ‘정치인의 종교의 자유와 종교인의 정치적 기본권’이 인정되어야 한다는 점과 그 이유를 확인하고, ‘압력단체로서 종교단체의 역할과 그 한계’, ‘종교적 색채를 갖는 정당 결성과 정교분리원칙’을 검토함으로써 정교분리원칙에도 불구하고 종교인들의 정치참여가 인정될 수 있다는 점 및 그 정당한 범위에 대해 고찰하였다.
    독일의 작가 레씽(Gotthold Ephraim Lessing)이 쓴 『현자 나단(Nathan der Weise)』이라는 작품에서 시사되고 있는 것처럼 참된 종교는 세속에서의 갈등과 분쟁을 통해서가 아니라 인간의 삶을 올바르게 이끌고 많은 신도들의 영혼을 구제하는데 힘씀으로써 스스로를 입증해야 할 것이다. 그런 가운데 종교 간의 상호 존중을 통한 종교의 자유와 평화가 확보될 수 있을 것이다.
    종교인들이 세속을 떠나야 한다거나, 세속 질서에 무관심해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농부이면서, 노동자이면서 종교인일 수 있는 것처럼, 정치인이면서 종교인일 수도 있다. 또한 종교인들도 세속 질서 속에서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정치적 기본권의 주체이므로 종교인의 정치참여가 부인될 이유도 없다. 다만, 정치와 종교를 동일시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정교분리원칙은 종교의 자유를 확보하기 위한 헌법상의 중요한 요청일 뿐만 아니라 종교인의 정치참여의 가능성과 한계를 보여주는 기준이기도 하다.

    영어초록

    Today, the freedom of religion is recogniz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undamental rights of the Constitution, by repeatedly experiencing the catastrophic consequences of religious fundamentalism. In addition, the Separation of politics and religion has been widely recognized in the modern Constitution in order to prevent the power of a particular religion from determining secular order. However, it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religious people.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litics and religion’ is interpreted variously, even differently. Although it contains an important meaning as a constitutional principle, there are still a few points to be worried about the concrete application. Moreover, in Korea,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tics and religion has been distorted as a result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dictatorship regim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litics and religion’ and the specific scope of application. The area in which the political influence of religion is to be excluded and fundamental rights of religious people should also delicately distinguish where political participation should be permitted as a citizen. This is discussed in ‘The Characteristics of Religion and the Separation of politics and religion.’ On the basis of this, we have confirmed the fact that 'freedom of religion of politicians and political fundamental rights of religious people' should be recognized. 'the role and limitation of religious organizations as pressure organizations',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litics and religion', and the scope of its legitimacy is examined.
    True religion, as suggested by the work of Nathan der Weise, written by Gotthold Ephraim Lessing in Germany, not through conflicts and struggles in the world, but to lead human life right, You will have to prove yourself by trying to save yourself. Religious freedom and peace through mutual respect among religions will be ensured.
    It does not mean that religious people should leave the world or indifferent to secular order. It may be a politician and a religious person, as well as a farmer, a worker and a religious person. In addition, there is no reason why religious people are denied political participation of religious people because they are the subjects of political fundamental rights as one of the people in secular order. However, it should not identify politics and religion.
    In this sense,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litics and religion’ is not only an important constitutional request to secure freedom of religion but also a measure of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s of political participation by religious peo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려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