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인 가구의 스마트 홈 인터랙션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mart Home Interaction in Single-Person Household)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19.12
18P 미리보기
1인 가구의 스마트 홈 인터랙션 특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4권 / 7호 / 387 ~ 404페이지
    · 저자명 : 강상목, 이재규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생활 방식 변화로 1인 가구의 증가율은 전 연령대에서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고 매년 꾸준히 늘어남에 따라 다가올 미래에 1인 가구가 거주 시장의 트렌드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 연구를 통해 도출한 1인 가구 공간특성과 스마트 홈 인터랙션 디자인 특성을 바탕으로 사례분석을 통해 계획 경향을 파악하고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으로는 첫째, 1인 가구와 스마트 홈 및 인터랙션 디자인의 개념 정리와 다양한 사례 조사를 위해 단행본·학위논문·학술지 등의 문헌연구 및 인터넷 자료 등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통해 본 연구의 이론적 고찰에 활용한다. 둘째,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1인 가구의 개념과 주거특성에 대해서 정리하고, 이를 중심으로 1인 가구의 라이프 스타일을 통해 스마트 홈에 적용할 수 있는 인터랙션 디자인 특성을 도출한다. 셋째, 도출한 결과에 따라 1인 가구의 스마트 홈 인터랙션 디자인 특성을 고찰한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내용을 기준으로 사례 분석 결과를 통해 스마트홈의 인터랙션 디자인을 고려한 스마트 홈 방향성을 모색한다. (결과) 1인 가구와 스마트 홈 특징에 맞춰 인터랙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여덟 가지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 사례에서 소형화되는 주거환경을 개선한다는 목적성을 제시하고 사용자와 공간 서비스의 관계를 발전하기 위해서 모듈식 가구 또는 인공지능 플랫폼, 디바이스 등을 이용하여 공간의 확장성, 변동성, 다양성, 연결성을 극대화하였다. 둘째, 조사한 모든 사례에서 DIS특성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이는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로 주거 공간의 변모를 통하여, 정보 제공과 공간 이용의 효율성을 증대시켰다고 볼 수 있다. 셋째, HCA는 DIS와 밀접한 관계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1인 가구의 라이프 스타일 니즈를 파악하여 공간들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거주자의 건강과 편의성에 초점을 맞췄다고 볼 수 있다. 넷째, NFF, SMR 특성은 비교적 낮게 보이며. 이는 모든 스마트 홈에 구축되기보다는 각각 특정 목적을 위해 제작된 스마트 홈이였다. (결론) 마지막으로 인터랙션 디자인의 궁극적인 목표는 사용자에게 더 나은 경험과 체험을 주는 것이다. 스마트홈 시장에서 인터랙션 디자인이 효율적이라는 것만으로는 시장에서 성공할 수 없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1인 가구의 생활 방식과 스마트홈 요소에 맞춘 인터랙션 디자인 특성을 제시하여 다가올 미래 주거환경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있어 기준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

    영어초록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The growth rate of single-person households continues to increase in all age groups and is expected to become a trend in the residential market in the coming ye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lanning trends through case analysis and to present design direction based on the space characteristics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smart home interaction designs derived from literature research. (Method) First, the concept theorem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smart home and interaction design, and the literature research and internet data of published books, academic papers, etc. were investigated for various case studies, and used for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is research. Second, the previous study is analyzed to summarize the concept and housing characteristics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to derive interaction design characteristics that can be applied to smart homes through the lifestyle of single-person households. Third, the smart home interaction design characteristics of single-person households are considered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ase analysis, the smart home direction is explored considering the interaction design of smart homes. (Results) Eight cases were analyzed to identify interaction characteristics in line with single-person households and smart home features.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miniaturized in most cases, was to maximize the scalability, variability, diversity, and connectivity of space by using modular furniture or artificial intelligence platforms, devices, etc. to develop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s and space services. Second, in all the cases investigated, DIS characteristics were highest, which can be seen as an increase in the efficiency of information provision and use of space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residential space as network technology develops. Third, HCA appears to be closely related to DIS. This can be seen as focusing on the health and convenience of residents, the factors that create space by identifying the lifestyle needs of a single person household. Fourth, the NFF and SMR characteristics appear relatively low. Rather than being built on all smart homes, each was built for a specific purpose. (Conclusion) Finally, the ultimate goal of interaction design is to give users a better experience. Interaction design cannot succeed in smart home markets just because it is efficient. However, this study aims to present interaction design characteristics tailored to the lifestyle and smart home elements of single-person households, thus laying the significance of the criteria for the direction of the future residential enviro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