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령 장애인의 직업재활 방향 탐색 (A Study on the need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for Olde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 South Korea)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11.11
30P 미리보기
고령 장애인의 직업재활 방향 탐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 수록지 정보 : 장애와 고용 / 21권 / 4호 / 33 ~ 62페이지
    · 저자명 : 황주희

    초록

    한국을 포함한 선진국들의 최근 사회복지정책은 (a) 복지정책과 (b) 노동시장 정책과의 연계성을 강화하는 ‘근로 연계적 복지(welfare-to-work)’ 또는‘근로 유인적(work incentive)정책설계’를 강조하고 있다. 즉, 국가‧사회‧경제적 과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고령층의 노동참여의 어려움들을 제거하고, 고령자가 오랫동안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려는 노력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 수행되고 있는 고령자 고용지원 사업과 같은 정부 지원 사업에서는 고령자의 (a) 노령으로 인한 장애(late-life disability)의 경험이나 기존의 장애에 더해지는 고령화의 징후들(symptoms)과 관련된 이슈와 (b) 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고령 장애인의 장애에의 적응 및 대처 문제, 경제적 혹은 직업욕구의 문제 등에 어떻게 효율적으로 대처해 나갈 것인가? 하는 이슈들을 간과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대응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정부의 고령자 고용지원사업을 살펴보고, 고령 장애인의 직업재활 방향을 탐색적으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연구방법으로는 문헌 연구방법이 사용되었으며, 본 연구의 구성은 (a) 한국 고령자의 특성과 욕구 및 변화하는 복지정책 내에서의 정부의 고령자 고용지원사업의 특성 (b) 고령 장애인을 위한 직업재활과의 연계 가능성 (c) 미국의 고령층 고용지원서비스와 직업재활과의 협력체계 그리고 (d) 미국의 직업재활 학계에서 고령 장애인을 위해 수행된 연구들의 동향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e) 결론 및 제언부분에서는 고령 장애인의 직업재활연계 가능성 및 이를 위해 전제되어야 할 부분과 한국의 직업재활 학계, 현장 및 연구에서 준비하고 고려해야 할 구체적인 방향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In many aging-related studies, the issue of extending the working lives of older individuals has become a serious concern for economic sustainability in South Korea. Many public policies and employment support services for older individuals have been changed to encourage older workers to work more. Various employment services for the older population are facilitating the Korean Government’s attempts to persuade older people to maintain their employability. Having a job, sustaining a job, or re-entering a job market in later life has become an aspiration for most of the aging population in South Korea due to financial necessity. However, governmental employment support services are eliminating the issue of disability among the older population. With the age of workers increasing, a greater number of older individuals are likely to experience disability. However,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ways to support older individuals who are disabled through public employment support services. Over the past two decades,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have not been committed to helping the older population find and retain employment.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have focused mostly on the working age population with disabilities. The present is an opportune time to attend to the demographic composition of older clientele. Rehabilitation professionals take the steps necessary to expand and develop our dated rehabilitation systems and community programs by promoting greater coordination of employment services for older workers. This study also suggests a few political, educational, practical, and research implications for further developments of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for olde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