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개정 해상법 하에서의 해상운송인의 지위 - 해상운송인의 손해배상책임제도를 중심으로 - (Status of a Carrier under the Amended Maritime Law-focusing on the liability of a Carrier)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08.04
35P 미리보기
개정 해상법 하에서의 해상운송인의 지위 - 해상운송인의 손해배상책임제도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해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해법학회지 / 30권 / 1호 / 49 ~ 83페이지
    · 저자명 : 최종현

    초록

    상법 해상편에 대한 개정법률이 2007년 8월 3일 공포되어 2008년 8월 4일부터 시행되게 되었다. 현행 해상법은 1962년에 제정된 상법을 30여년만인 1991년에 개정한 것인데 그 체제가 체계적이지 못하여 난삽하다는 평이 많았다. 개정 해상법은 이러한 현행 해상법의 체재를 체계적으로 재정비하여 이해에 용이하도록 개정하였다. 또한 개정 해상법은 해상물건운송인의 책임한도를 세계 주요해운국이 가입한 헤이그 비스비 규칙의 수준으로 인상하였고 해상여객운송인의 책임한도를 1976년 해사채권에 대한 책임제한조약의 1996년 개정의정서 수준으로 인상하였다. 이러한 책임한도액의 인상은 우리 해상법을 국제기준에 맞춤으로써 해운 강국으로서의 우리나라의 위상을 제고한 것으로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한편 개정 해상법은 개품운송계약과 항해용선계약을 구분하여 규정하는 한편 운송인의 책임에 대한 제척기간, 편면적 강행규정이 적용되는 범위, 실제운송인이 계약운송인의 항변이나 책임제한을 원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 등에 관하여 달리 규정하였다. 또한 개정 해상법은 개품운송계약의 경우 운송인이 제3자에게 운송을 재위탁한 경우의 제척기간에 관하여 새로운 조항을 신설하였으며 해석상 논란이 많았던 현행 해상법 제806조에 관하여 정기용선자가 제3자와 개품운송계약을 체결한 경우에 선박소유자도 정기용선자와 연대하여 손해배상책임을 지는 것으로 개정하였다.
    그러나 개정 해상법이 다소 성급하게 개정되는 과정에서 체제상의 변화에만 주로 집중을 하느라 그 내용의 개정에 관하여는 소홀한 감이 있으며 일부 입법상의 잘못도 눈에 띈다. 특히 개정 해상법은 해상운송인의 손해배상책임제도와 관련하여 여러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비록 해상법이 개정된 지 얼마 되지는 아니하였으나 개정 해상법의 문제점들을 심도있게 검토하여 추후의 재개정에 대비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본다. 한편 해상법을 재개정하는 경우에는 헤이그 비스비 규칙 체제를 대체할 새로운 국제규범이 될 UNCITRAL 조약의 내용을 우리 법과 접합시키기 위한 노력 또한 필수적이라고 생각된다.

    영어초록

    The Act amending the Maritime Law was promulgated on 3 August 2007 and will become effective as from 4 August 2008. The current Maritime Law was enacted in 1962 and amended in 1991. However, the current Maritime Law was notorious for being unsystematic and difficult to understand. The amended Maritime Law restructured the current Maritime Law to make it more user-friendly. In addition, the Amended Maritime Law increased the limits of a carrier's liability to the level of the Hague Visby Rules and 1996 Protocol to the 1976 Limitation Convention. The increase of the limits of a carrier's liability is admirable, since it will raise the status of Korea as a maritime country.
    The Amended Maritime Law strictly distinguishes the contract for the carriage of individual goods from the voyage charterparty and applies different rules to these contracts with regard to, inter alia, the time bar, the scope of application of compulsory provisions, the applicability of defences of the contractual carrier to the actual carrier. In addition, the Amended Maritime Law created a new provision relating to the time bar for an indemnity claim of a carrier against a third party in case the carrier entrusted the carriage to the third party. The Amended Maritime Law also amended the current Article 806, which was subject to sharp division of opinions among scholars, so that a shipowner shall be jointly and severally liable to the cargo interests in case a time charterer enters into a contract for the carriage of individual goods with the cargo interests.
    However, the Amended Maritime Law was amended rather in a hurry and mainly focused on the change of structure. Thus, the Amended Maritime Law did not pay much attention to the amendment of the unreasonable contents of the current Maritime Law and in some cases, made some mistakes. In particular, the Amended Maritime Law has some problems regarding the liability system of a carrier. Therefore, even though not much time has passed since the amendment, the author believes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re-amendment of the Maritime Law by carefully reviewing the above problems the Amended Maritime Law has. Further, when we re-amend the Maritime Law, it would be imperative to try to hormonize the new Convention which UNCITRAL is now making in order to replace the Hague Visby Rules with the Korean Maritime La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해법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