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새로운’정책대상자로서 이주 외국인 여성의인식 지형: 한국사회, 한국인, 외국인정책에 대한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Immigrant Women as a 'New' Policy Target Group and Their Perception of Koreans and Korean Society: A Focus on Perceptual Difference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14.03
32P 미리보기
‘새로운’정책대상자로서 이주 외국인 여성의인식 지형: 한국사회, 한국인, 외국인정책에 대한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행정논총 / 52권 / 1호 / 303 ~ 334페이지
    · 저자명 : 원숙연, 정하나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사회의 도래와 함께 ‘새로운’ 정책대상자로 등장한 이주 외국인 여성의 인식이 동질적인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질문이 중요한 것은 먼저, 우리나라 이주 외국인 여성 집단 내부에는 하위집단이 존재하고, 각각의 하위집단은 서로 다른 사회적 위치를 점하고, 다른 위치는 다른 인식으로 이어지는 내부적 변이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서 본 연구는 이주 외국인 여성을 거주목적, 거주기간, 혼인여부, 자녀유무, 출신국가. 한국국적 취득여부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하위 집단으로 나누고, 각각의 하위 집단이 느끼는 한국에서의 자원스트레스, 한국인의 차별인식 및 한국인에 대한 거리감, 그리고 외국인 정책에 대한 선호의 차이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첫째, 이주 외국인 여성 중 국적이 있는 집단이 국적이 없는 집단에 비해 자원스트레스를 높게 인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국적이 있는 경우, 한국 및 한국에서의 (경제적)삶에 대한 기대가 높고, 자신의 삶을 다수집단인 ‘한국여성’과 비교함으로써 상대적 박탈감이 높기 때문으로 보인다. 둘째, 자원스트레스와는 반대로 결혼을 목적으로 한 경우, 자녀가 있는 경우, 그리고 국적이 있는 경우, 한국사회의 차별정도를 낮게 인식하였다. 이는 자신을 ‘준 한국인’으로 자리매김 함으로써, 내집단 선호(ingroup preference)와 기대감이 높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기대가 현실에서 충족되지 않을 경우, 한국과 한국에서의 차별에 더 민감할 수 있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셋째, 이주 외국인 여성 중 기혼자로서 자녀가 있는 여성 및 한국국적을 취득한 여성은 외국인 정책 중 다문화 모형과 차별・배제 모형을 동시에 선호하는 모순적 경향성을 보인다. 이러한 모순은 다른 이주 외국인에 대해서는 ‘준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그러나 한국인에 대해서는 ‘이주 외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동시에 갖는 이중정체성’(dual identity)이 작동한 결과로 보인다. 이상의 결과가 갖는 함의를 심층적으로 논의하였다.

    영어초록

    Considering the multi-cultural trend of Korean society, this study asks whether the perception of immigrant women in Korea, as a 'new' policy target group, is homogeneous towards reality. This question brings the issue to the focal point, given that there are internal variations among immigrant women, facing different realities and experiences that lead to different perceptions. Bearing this context in mind, this study classifies immigrant women into subgroups based on various standards such as purpose of immigration, length of stay, marital status, number of children, and home country. Perceptual differences regarding resource stress, social discrimination, social distance toward Koreans and Korean society, and preference for immigrant policies are empirically elucidated by subgroup, with several findings. First of all, immigrant women within naturalized groups show a high level of resource stress in comparison to those who within non-naturalized groups. This can be explained in terms of the relatively high expectations of naturalized women. In other words, naturalized immigrant women have higher expectations for (economic) life in Korea, comparing themselves to majority Korean women. This comparison leads to a perception of relative deprivation of available resources. Second, contrary to resource stress, naturalized as well as married immigrant women with children show lower levels of perceived discrimination by Koreans. This is partly related to in-group preference. That is, they locate themselves as 'quasi-Koreans.' Next, regarding public policy preference, naturalized married women exhibit the contradictory tendency of preferring both the multicultural model and the discriminatory/exclusive model immigrant policy models at the same time. This contradiction seems to be driven by the 'dual identity' these women have, with a 'quasi-Korean' identity compared to other immigrants and, at the same time, an identity as 'immigrant foreigners' compared to Koreans.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in-dep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행정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30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