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재의 『정토론』에 드러난 왕생요인(要因)과 왕생인(人) (The Study of Wangsaeng Factors and Wangsaeng People Revealed Gajai's 『Jungtolon』)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19.06
34P 미리보기
가재의 『정토론』에 드러난 왕생요인(要因)과 왕생인(人)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토학회
    · 수록지 정보 :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31호 / 73 ~ 106페이지
    · 저자명 : 정광균

    초록

    섭론종에서 정토종으로 전환한 가재(迦才)는 도작이 찬술한 『안락집(安樂集)』에 드러난 내용에서 12부의 경전과 5부 2게송의 논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자기의 견해를 덧붙여 기술하면서 세간의 대중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논을 명백하게 귀납하고 비교해서 『정토론(淨土論)』으로 재구성하였다. 본 논서의 내용은 다분히 섭론종의 이론과 소부의 기타 경론의 이치를 입증한 실례를 들어서 논술하였다. 이와 더불어 문답의 방식으로 해답함으로써 당시 정토법문이 발전하는 과정에 상당히 중요한 지위와 영향을 점유하였다. 특히 정토삼부경에 표출된 정토에 왕생할 요인의 모순과 충돌하는 내용을 해소시켰다.
    『정토론』에서 논하는 그 핵심을 말한다면, 먼저 삼신정토의 관점을 논한 다음에 어떤 사람들이 정토에 왕생할 수 있고, 다음에 어떤 수행을 통해서 정토에 왕생할 수 있으며, 끝으로 어떤 이치에 의지해서 정토에 왕생할 수 있는지를 논하였다. 이러한 논의에 대해서 결론적으로 말하면, 먼저 정념(正念)을 보호하여 유지한 사람들, 다음에 보리심(菩提心)을 발한 사람들, 끝으로 아미타불의 타력에 의지한 인연을 원만하게 구족한 사람들이 바로 정토에 왕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가재는 정토법문을 가지고 원만한 해석을 시도한 다음에 당시 정토를 연구한 사람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가져다주었다. 이러한 가재의 정토왕생에 대한 이론은 충분히 연구할 가치가 인정되는 부분이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Gajai who converted from Sublonjong to Jungtojong, analyzed the disputes of 12 volumes of scriptures and 5 volumes of 2 phrases in the contents revealed in the Book of 『Alakjib』. In addition, he reconstructed 『Jungtolon』, clearly describing and comparing the works so that the public can easily understand them while adding his own views. The content of this paper is based on a case study which proves the theory of Sublonjong and other observations of commentary. In addition, by the way of answering in the way of the dialogue, it occupied a considerable position and influence in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the Pure Land law at that time. Especially, the contents which conflict with the contradiction of the factor of wangsaeng on the Jungtosambusūtra expressed in the Pure Land were solved.
    If we talk about the core of 『Jungtolon』, we first discuss the point of Samsinjungto, then we can going born some people to pure land, then going born to pure land through some execution, Finally, we discussed how we can going born pure land by relying on some reason. Conclusively speaking, these discussions are based on those who have preserved and preserved the essence first, those who followed bodhi citta, and those who have endured the lasting dependence on the power of Amitabha You can do going born. In this way, the lobsters had a profound effect on those who studied pure land at the time after attempting an amicable interpretation with the paper making method. The theory of Gajai's wangsaeng to the pure land is well worthy of stud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