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論語』의 ‘仁’에 관한 解釋學的 硏究 (A interpretive Study of the Analects of Confucius`s ‘Ren(仁)’)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09.09
26P 미리보기
『論語』의 ‘仁’에 관한 解釋學的 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고전연구 / 36호 / 31 ~ 56페이지
    · 저자명 : 서근식

    초록

    「論語」의 핵심사상은 ‘仁’이다. 그렇다면, ‘仁’을 어떻게 解釋해야 하는가? 본 논문은 儒學의 大綱領인 修己治人과 儒學의 理想이라는 관점을 통해 仁을 解釋하였다.
    먼저 修養의 관점에서 仁을 살펴보았다. 仁은 인간으로서의 자격요건을 갖추는 가장 근본적인 것이다. 즉, 인간으로서 살아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仁이 필요하다. 인간으로 살아가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仁은 노력에 의해 획득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이미 가지고 있는 것을 잘 드러내기만 하면 된다. 우리가 修養을 하는 것은 이 근본이 되는 仁을 잘 드러내기 위해서이다.
    관계맺음에서도 仁은 필요하다. 인간은 혼자 살아갈 수 있는 존재가 아니라 항상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어야 한다. 이 관계맺음이 올바른 관계맺음이 되기 위해서는 나와 다른 사람의 입장이 동일하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즉, 나와 다른 사람이 가장 적합한 상태일 때 올바른 관계맺음이 성립하는 것이다. 이 가장 적합한 상태가 仁인 것이다.
    儒學의 理想은 모든 사람이 편안함을 누리는 사회이다. 이러한 사회가 이룩되기 위해서는 개인과 사회 모두가 仁해야 한다. 즉, 修己의 측면과 治人의 측면 모두에서 仁을 얻어야 한다. 어느 한쪽에서 仁을 얻지 못하다면 儒學의 理想을 완전히 실현했다고 보기 어렵다. 그러나, 治人은 반드시 修己를 바탕으로 해야 된다. 孔子가 修己以敬→修己以安人→修己以安百姓라는 3단계를 제시하지만 3단계 모두에 修己가 들어있는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孔子가 희망했던 사회는 현대에도 유효하다. 따라서 孔子가 제시한 仁은 현대에도 필요하다. 仁을 고정된 의미로 解釋하지 않는다면 仁은 그 시대와 상황에 맞게 새롭게 解釋되어 바람직한 인간사회를 이루는 바탕이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e core thought of Confucius(「論語」) is ‘Ren(仁)’. Then, how ought we to interpret this ‘Ren(仁)’?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has interpreted ‘Ren(仁)’ from the perspective of Xiujizhiren(修己治人), which is the doctrine of Confucianism and its ideal.
    At first, the researcher closely reviewed Ren(仁) on the viewpoint of Xiuyang(修養). Ren(仁) is the most fundamental virtue that enables general populace to equip with their qualification as a human being. Specifically, to live like a human being, Ren(仁) is a must. That is to say, it will suffice if we only can expose well what was already cherished inside us, rather than exerting efforts to attain Ren(仁), in some contexts, that must achieve in order to live like a human being. The reason that we exert our efforts for self-cultivation is to bring this Ren(仁), which is foundation of human life, before the public.
    Even in relationship-building, Ren(仁) is necessary. Human being is not an existence that can live alone, but at all times, humans are required to build a relationship with others. To make this relationship-building lead into right direction, we need to think of that the standpoint of oneself and the other are identical. That is, when I myself and the other person are in the most optimal situation, then a right relationship-building can take place. This most optimal status is Ren(仁).
    The ideal of Confucianism is to establish a society where all people can enjoy their comfortable life. To accomplish such a society, each individual and society ought to be benevolent and to cherish humanity at the first place. That is to say, people should attain Ren(仁) from both aspects of Xiuji(修己) and Zhiren(治人). If Ren(仁) has not been attained from any of either side, then it is hard to say that the ideal of Confucianism is completely realized. However, Zhiren(治人) must be backed up by Xiuji(修己). For this reason, Kongzi(孔子) presented three steps in connection with this cultivation process, to wit, ‘Cultivation of himself in reverential carefulness’(修己以敬) → ‘Cultivation of himself so as to give rest to others’(修己以安人) → ‘Cultivation of himself so as to give rest to all the people’(修己以安百姓). It is noticeable that Xiuji(修己) is included in all three phases.
    The society that Kongzi(孔子) longed for is still valid in this modern world. Therefore, Ren(仁) which was edified by Kongzi(孔子) is necessary for today’s society. If we don’t interpret Ren(仁) as with a fixed term lying stagnant in one place, then its definition shall be interpreted newly so as to suit the times and the situation of civil society, thus this Ren(仁) shall be the foundation for building a desirable society for huma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