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곽점죽간(郭店竹簡)의 ‘인(仁)’에 대한 시고(試考) (A Study of Ren (仁) in the Guodian Manuscript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12.12
26P 미리보기
곽점죽간(郭店竹簡)의 ‘인(仁)’에 대한 시고(試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범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범한철학 / 67권 / 4호 / 77 ~ 102페이지
    · 저자명 : 양순자

    초록

    공자의 핵심개념은 ‘인(仁)’이며 맹자의 주요 개념은 ‘인의(仁義)’라 할 수 있다. 공자는 인에 대하여 다양하게 논의하고 있는데, 『논어(論語)』 「안연(顏淵)」에서 인을 한마디로 ‘애인(愛人)’이라 정의하였다. 공자 후학이나 다른 학파에서도 대체로 인을 애인의 뜻으로 보았다. 또한 맹자는 인과 의를 연용하여 자주 쓰고 있는데, 특히 『맹자(孟子)』 「고자상(告子上)」에서 고자가 인을 내(內)라 하고 의를 외(外)라고 한 것에 반해 맹자는 인과 의를 모두 인간의 내면에서 나오는 것이라 하였다. 그리고 후대 유가들은 공맹을 유학의 원조로 삼았다는 점에서 ‘인’이 유가의 주요 개념임을 알 수 있다.
    최근 중국에서 출토된 곽점죽간 상당부분이 유가에 관련된 것들이 많은데, 이 죽간들도 인에 대한 풍부한 논의를 담고 있다. 곽점죽간에서는 인을 애인(愛人)이라고 함으로써 일반적인 유가의 인에 대한 관점과 맥을 같이 한다. 또한 인의 출발점인 사랑이라는 감정이 인간의 본성에서 우러나오는 것이라고 봄으로써 맹자와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곽점죽간의 철학을 맹자와 연관시키는 것은 성급하다. 왜냐하면 「어총일(語叢一)」은 『맹자』 「고자상」에서 논의된 ‘인내의외(仁內義外)’ 논변과 관련하여 고자와 비슷한 견해를 보이기 때문이다. 고자는 인은 내적인 것이고 외는 외적인 것이라고 했다. 반면에 맹자는 인과 의를 모두 내적인 것으로 보았다. 다시 말하면, 고자는 인이라는 것은 인간의 본능에서 우러나오는 것인데 반해 의라는 것은 나의 마음과 상관없이 나와 타인과의 사회적 관계에 의해 정해진 규범이라고 보았다. 곽점죽간도 이와 유사한 입장을 보인다.
    좀 더 상세하게 곽점죽간의 인을 분석해보면, 인은「육덕(六德)」편에서 자식의 덕으로서 웃어른에게 공경하고 부모에게 효도하는 것을 지칭한다. 그리고 「오행(五行)」편은 성(聖)과 지(智)를 인보다 근원적으로 덕으로 묘사한다. 다시 말하면, 곽점죽간에서 보이는 인의 개념은 공자와 맹자의 인과 비교하여 그 철학적 위상은 낮아지고 내포하는 의미도 변화가 생기게 된 것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It can be argued that Confucius’ main concept is ren (仁, hamanity or benevolence) while Mencius’ is ren and yi (義, righteousness). Confucius provides various arguments with regard to ren, for example, “loving others” in the “Yanyuan” 顔淵 chapter of the Analects. His disciples and other schools generally agree with his position. Also, Mencius often uses the expression of “renyi(仁義),” particularly, in the “Gaozi shang” 告子上 chapter of the Mencius in that ren is internal while yi is external. On the contrary, Gaozi argues that both of the virtues originate from the inner mind of human beings. In addition, later Confucian scholars consider Confucius and Mencius as the founder of Confucianism, which leads to the fact that ren is one of the major concepts in Confucianism.
    Most of the Guodian Manuscripts, which was recently excavated in China, are related to Confucianism and discuss the virtue of ren at length. The Guodian Manuscripts define the virtue as “loving others,” which has a similarity with reserved Confucian texts. In addition, the Manuscripts state that ren is originated from human nature to love others. This position is the same as Mencius’.
    On the contrary, it is unreasonable to relate the Guodian Manuscripts to the thought of Mencius because the former is closer to Gaozi in respect to the argument “ren is internal while yi is external.” Mencius claims that both of the virtues originate from human inherent nature. In other words, in Gaozi’s opinion, ren comes from human nature while yi is a norm defined by social relationship between two persons without relation to human nature. The Guodian Manuscripts is in the same position.
    More Specifically, ren in the “Liude (六德)” chapter of the Guodian Manuscripts refers to a virtue for children to respect the elders and to be filial. And, the “Wuxing (五行)” chapter describes “sheng (聖, sageness)” and “zhi (智, wisdom)” as loftier virtues than ren. In other words, the virtue of ren in the Guodian Manuscripts compared with that of Confucius and Mencius is less critical and possesses a different connot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범한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