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주이익우선이론의 재검토 - 영국 회사법 이사의 의무 조항을 중심으로 - (Review of Shareholder Value Theory in the Corporation)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14.12
25P 미리보기
주주이익우선이론의 재검토 - 영국 회사법 이사의 의무 조항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홍익법학 / 15권 / 4호 / 753 ~ 777페이지
    · 저자명 : 정연희

    초록

    주식회사에서 이사는 ‘회사를 위하여’ 회사의 가치를 최대화하기 위한 방향으로 직무를 충실히 수행하는 의무를 진다. 보통 이러한 이사의 의무는 보통 선관주의의무 또는 충실의 의무의 핵심 내용으로 다루어지며, 이사는 이사 자신과 회사의 이익이 충돌하는 경우 회사의 이익을 우선하여 업무를 수행하여야 한다. 그런데 사원인 주주를 비롯하여, 각기 다른 많은 이해관계를 가진 자들로 구성된 주식회사라는 집단의 성격상 이사에게 부과된 회사의 이익이 실질적으로 누구를 위한 이익인가는 명확하지 않다. 이와 관련하여 영국 판례는 오랜 시간 동안 전통적으로 주주의 이익을 우선하는 입장인 주주이익우선이론(Shareholder Value Theory)을 취하고 있었다. 그런데 이러한 입장이 회사법의 선진화 작업을 위한 2006년 회사법의 개정과정에서 주주의 이익을 우선해야 한다는 이론을 전제하여 다른 이해관계자의 이익도 고려해야 하는 ‘재조명된 주주이익의 원칙(Enlightened Shareholder Value Principle, ESV)’을 도입하였다. 이 이론은 영국 회사법에서 ‘이사의 회사의 성공 증진을 위한 의무(Duty to promote the success of the company)’조항과 ‘이사의 보고 사항 : 경영검토(Contents of directors' report: business review)’ 조항을 통하여 명문화되었다. ESV는 이사가 회사의 궁극적인 목표, 주주이익의 최대화를 달성하기 위해서 실질적으로 관련된 고용인, 공급자, 소비자, 투자자, 채권자 등 그 밖의 이해관계자와 신뢰를 구축하고 장기적으로 이들의 이익도 고려해야 한다는 회사 경영 방법을 의미한다. 이러한 영국의 입장의 변화가 이사의 의무에 대한 세계적인 이론의 변화와 전반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볼 수는 없다. 그러나, 이는 전통적으로 이사의 의무에서 고려해야 하는 이익의 주체를 주주라고 보았던 영국 회사법의 경영문화에 변화가 시작됨을 의미하는 것이다. 우리 상법상 이사의 선관주의(충실)의무는 역시 ‘회사의 이익’ 또는 ‘회사를 위한다’는 것이 곧 주주의 이익을 위한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회사가 채무초과인 경우에는 이사의 선관주의(충실)의무는 채무자를 위한 의무가 된다는 입장은 영국 회사법의 입장과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채권자를 제외한 나머지 이해관계집단의 이익의 고려까지 이사의 선관주의(충실)의무에 포함된다고 볼 수는 없다. 영국의 회사법과 같이 ESV를 우리 상법에 이사의 의무로 도입할 수 있는지의 여부는 많은 경우의 수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본다. 그러나 점차 사회가 회사에 대하여 단순히 주주의 이익뿐만 아니라 관련된 (고용인 및 지역 사회 등을 포함한) 이해관계자의 이익에 대한 도의적 책임까지 요구하고 있는 상황에서 주식회사가 지향해야하는 하나의 입법적 관념이자 개념으로 ESV는 충분히 검토해 볼 가치가 있는 이론이라고 사료된다.

    영어초록

    Directors have faithfully the duty of royalty to maximize the value of the company in a corporation. The main of the duty is the directors to perform for the interests of the company, if there is a conflict in the interests of the directors and the company. By the way, it is not clear to mean 'for the company' in a corporation which consists of many different stakeholders, as well as shareholders, in nature. In this regard, the shareholder theory has traditionally been covered many rules of law for a long time in United Kingdom. However, new theory, it is called Enlightened Shareholder Value Principle, ESV, was introduced in the base of the to prioritize the interests of shareholders in U.K. for the advancement of the Companies Act in the 2006 emendation. It has stated the directors' duty to promote the success of the company (section 172) and Contents of directors' report: business review(section 417) in England's Companies Act. ESV means a method of the company management to consider a profit of the suppliers, consumers, investors, creditors and other stakeholders, such as building trust and long-term, so as to achieve the maximization of shareholders. This change does not signify generally to represent a overall flow of the global theory in the duties of the director. But, it means that the change of the management culture starts to begin in England's Company Act. The director's royal duty would be that 'for the company' or 'interests for company' means for the benefit of shareholders in Korea's Company law. This duty change for shareholders to for creditors in insolvency company, and it is similar with one England. But, it could not include to consider the interest of other stakeholders except creditors. If status of the ESV can be introduced to the duties of Director of Company law in Korea like England, we need that it will be done through a review of the number of cases including the harmony and balance with other sections. ESV may be considered the concept and the principle to be willing to study for the corporations in the circumstances which nowaday the general society wants the company to think carefully the responsibility of the main company members' value as well as stakeholders' interests (including employees, social community and et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홍익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