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의 국가이익 재구성 분석: 대 개도국 외교 전략 변화를 중심으로 (A Study on China Reconstruct Its National Interest: the Shifts of China’s Strategy toward Developing Country)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13.01
30P 미리보기
중국의 국가이익 재구성 분석: 대 개도국 외교 전략 변화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신대학교 민주사회정책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 23호 / 142 ~ 171페이지
    · 저자명 : 김애경

    초록

    이 글은 국제체제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중국의 국가이익이 재구성되며, 재구성된 중국의 국가이익은 대외 행태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주장한다. 중국은 건국 이후 가장 우선시했던 국가이익을 국가의 생존을 유지, 정치적 승인을 얻는 것에서부터 경제발전으로, 이후 경제발전 도모와 함께 국가 이미지 제고로 재구성해 왔다.
    최근 중국이 공공외교의 중요성과 해외교민 및 해외투자 자국기업의 이익 수호를강조하는 것은 중국의 국가이익이 계속해서 확대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시켜준다. 중국의 대 개도국 외교는 중국의 국가이익을 반영하고 있다. 국가의 생존을 유지하고 정치적 승인을 얻기 위해 1950~1970년대 초중반 시기 중국은 개도국과 매우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자국의 혁명경험을 수출하거나 자국의 경제적 능력을 초월한 원조를 제공하면서까지 개도국 외교에 매진했다. 그러나 중국은 1971년유엔에서의 지위가 회복되면서 국제사회에서 정치적으로 승인을 받게 되었고 생존에 대한 위협인식을 전환시키며 개혁개방정책을 실시하게 되었다. 이후 중국은 자국의 우선적 이익을 생존과 정치적 승인에서 경제발전으로 재구성하게 되었고, 국가이익의 재구성은 대 개도국 외교에 반영되어 상대적 소원기를 갖게 되었다. 경제발전이 지속되면서 중국은 개도국에 대한 투자와 원조를 확대하며 자국의 이미지제고와 이들 국가에 투자하는 기업에 대한 이익 보호에 힘쓰고 있다. 결국 명실상부한 강대국으로 부상하기 위해 중국은 지속적인 발전과 자국의 영향력 확대가 우선적 국가이익일 것이고, 최근 중국의 대 개도국 외교는 이러한 중국의 국가이익을반영하고 있다. 앞으로도 중국은 국제체제와의 상호 작용을 통해 자국의 국가이익이 재구성할 것이며, 그것은 중국의 대외 행위에 영향을 줄 것이다.

    영어초록

    The identity of China has been changed - specifically, from ‘the Third world outside system’ to ‘developing country within system’, again, to ‘a responsible great power’ and ‘peacefully rising power’, and then after global financial crisis sparked by America in 2008, ‘G2 or Chimerica’. Such a change in identity made encourage reorganization of content for national interests. It is well known that China has reorganized national interests in priority differently -from to maintain survival of nation and to be politically approved, to economic development, recently to improvement of national image along with encouraging economic development. Recently China has been stressing importance of public diplomacy and protection of their citizens abroad and profit for their companies which invested abroad. This proves that Chinese national interests is re-constructing continuously. Chinese diplomacy toward developing countries reflects Chinese national interests. To maintain national survival and to be politically approved, China maintained very amicable relationship with developing countries in 1950s to the middle time of 1970s. They were committed to diplomacy with developing countries as they exported their experiences of revolution or provided aid beyond their economic capacity.
    But as the position of China at UN was recovered in 1971, China was politically approved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And they changed their perception of threat about survival, China implemented policy of reform and openness. Since then, their interests in priority was changed from survival and political approval to economic development, which was reflected on diplomacy for developing countries. As a result, China had estranged from developing countries comparatively.
    As the rapid growth of economy has been continuing, China is endeavoring improvement of their image and protection of interests for companies investing in these countries by expanding investment and aid for developing countries.
    Thus, change in identity made encourage re-construction of content for national interests, which in turn, affected China’s activity abroad. Eventually, for China to be a super powe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influence would be national interests in priority for China. China’s diplomacy for developing countries reflects such a national interes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주사회와 정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