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海雲堂 益贊의 熾盛光如來圖 도상연구 (A Study on the Chiseong Gwangnyeoraedo by Haeyangdo Ikcha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24.12
36P 미리보기
海雲堂 益贊의 熾盛光如來圖 도상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남도문화연구 / 53호 / 169 ~ 204페이지
    · 저자명 : 정진희

    초록

    19세기 전라도 지역 불화 화단을 이끌었던 익찬은 불화의 전통을 고수하며 새로운양식을 시도했던 작가로 평가된다. 현재 익찬의 작품은 40여 점이 전해지고 있는데 그가운데 치성광여래도는 모두 7점으로 수량적인 면에서 비중이 크다. 본 연구에서는 익찬의 치성광여래도를 일상과 월상이 그려진 해남 대둔사 계열과 여러 개 화폭으로 구성된선암사 계열, 두 계열의 특징을 모두 갖춘 부산대 소장본으로 나누어 구분해 살펴보았다.
    익찬이 그린 치성광여래도에는 동 시기 다른 화승의 작품에서 볼 수 없는 커다란 원또는 반원을 이용해 화면의 구획을 나누는 과감한 구도법과 화면 상부에 日月像이 등장한다. 익찬의 치성광여래도 도상에 보이는 원을 이용한 화면 구성은 經板의 變相圖의영향을 반영하는 형태로 18세기 치성광여래도에서 그 이전 사례를 찾을 수 있었다. 치성광여래도에서 보기 어려운 藥盒을 지물로 가진 치성광여래의 모습은 약사 신앙과 습합된조선 전기 신앙의 전통을 보여주는 형태로 전라도에서만 볼 수 있는 지역적 특성이다.
    특징적으로 다른 화승의 작품에서 볼 수 없는 익찬의 치성광여래도 도상에서만 그려지는천공의 일상과 월상은 밀교 도상의 영향으로 볼 수 있는 모티프이기도 하다는 점에서미술사적 의미가 크다.

    영어초록

    Haeundang Ik-chan (海雲堂 益贊) was an outstanding painter and a disciple of Punggye Hyeon-Jeong(楓溪 賢正). He led the Buddhist painters’ society in Jeolla Province during the 19th century, following the traditional Buddhist painting iconography established by Uigyeom(義謙) in the 18th century. “Chiseong Gwangyeo Eraehoedo,” housed in the Busan National University Museum, is considered a significant work that reflects Ik~chan’s painting style. This style not only preserved traditional elements but also introduced new iconographic interpretations within Buddhist painting.
    The painting housed in Busan National University Museum, created alongside Do~Soon(道順) of Seoundang, appears to consist of multiple pages rather than a single one. This assumption is based on comparisons with the Daeheungsa series, which depicts the Sunwolsang, and the Seonamsa Series, both composed of several pages. This particular painting holds importance as it embodies all the defining characteristics of “Chiseong Gwangnyeo,” painted by Ik~chan.
    Ik~chan adhered to traditional iconography while creatively composing the layout of Buddhist paintings. An example of the form of the screen constructed using a large circle can be seen from the works from the 18th century. The appearance of Chiseong Gwangnyeo with a bowl of medicine in her hand represents a religious tradition that is related to pharmacological beliefs. This form of Buddha representation is a regional characteristic unique to Buddhist paintings from Jeolla Province.
    Similar forms can be found in Japanese esoteric Buddhism mandalas, where the sun and moon are depicted at the top of the screen. It is believed that Ik~chan’s teacher, who traveled to Japan, encountered Japanese Buddhist iconography and passed its influence on to his disciples.
    Ik~chan’s Chiseong Gwangnyeo, which newly composed the screen of the painting by reflecting esoteric paintings while accept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faith and iconography traditions, is highly valuable in art history. It demonstrates that Ik~chan was not merely a painter-monk but also a distinguished scholar of Buddhist doctrine and scriptu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