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익산토성 출토 인각와의 의미와 시기 (The meaning of stamped roof tiles excavated from Iksan Earthen Fortress and their period of use)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24.06
20P 미리보기
익산토성 출토 인각와의 의미와 시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호남고고학보 / 77권 / 118 ~ 137페이지
    · 저자명 : 박동범

    초록

    본고에서는 익산토성의 발굴조사 성과를 살펴보고 출토된 인각와의 특징과 의미, 시기에 대해 살펴보았다. 익산토성은 부여의 관북리유적과 부소산성의 관계처럼 익산 왕궁리유적의 배후산성 내지는 피난성의 역할로써 산성이운용되었다.
    익산토성은 1980년부터 연차적인 발굴조사를 통해서 기존 견해와 다르게 돌과 흙을 함께 이용해 만든 토석혼축산성으로 확인되었다. 성벽 축조방법은 자연지형에 따라 암반층을 굴착하거나 경사면에 흙을 채워서 쌓는 축조공법이 확인되었으며, 남성벽과 북성벽 일부 지점에서 주혈시설이 확인되었는데 그 용도에 대해서는 성벽을 쌓는 과정의 지지목 내지는 구축선으로 볼 수 있으나 성벽 안쪽으로 들어가는 양상이 확인되어 선행유구의 존재 가능성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익산토성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인각와는 수도를 상징하면서 중요 건물에 사용된 「首府」銘 인각와와 도성 내 편제방법과 관련있는 「五部」銘 인각와 그리고 연대를 알 수 있는 「干支」銘 인각와로 분류된다.
    「首府」銘 인각와는 익산과 부여지역에서만 확인되는 인각와로써 그 의미는 수도를 상징하면서 그 지역에 중요 건물에 사용된 기와로 생각된다. 「首府」銘 인각와의 3D 촬영 결과물을 통해 볼 때 동일한 도장을 반복적으로 사용된것으로 판단된다.
    도성 내 편제방법과 관련있는 「五部」銘 인각와는 「申卩甲瓦」‧「後卩乙瓦」銘‧「上氺」‧「前氺」‧「中氺」‧「下氺」‧ 「後氺」銘 인각와가 확인되고 있다. 甲과 乙이 조합된 인각와는 익산과 부여지역에 공통적으로 확인되고 그 의미는각 부에서 왕실 관련 조성사업에 필요한 기와를 기부한 寄進瓦 내지는 국가 관련 건물의 보수 기와로 생각된다.
    한편 새롭게 익산토성에서는 上‧前‧中‧下‧後자와 氺자가 결합된 원형의 「○氺」銘 인각와가 출토되었다. 현재까지 「○氺」銘 인각와는 익산지역에서만 확인되고 있으며, 上‧前‧中‧下‧後자와 사용된 용례를 통해 볼 때 새로운 형태의 「五部」銘 인각와로 보여진다. 등장배경에 대해서는 각 부에서 왕실 관련 조성사업에 필요한 기부한 寄進 瓦의 성격과는 다른 특수한 목적 즉, 당시 건축행위 주변에서 만들어 세금으로 납품된 貢進瓦로 생각된다.
    연대를 알 수 있는 「干支」銘는 「乙丑」‧「辰」‧「午助」‧「申斯」‧「己酉」銘 인각와로써 그 연대는 605∼650년에 해당된다. 연대가 확인된 인각와의 경우 익산토성을 비롯한 왕궁리유적과 미륵사지에서 공통적으로 출토된 점과 그유적의 조성 연대를 살펴보면 6세기 후반에서 7세기에 사용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그 중심 시기는 7세기 백제 무왕 대 익산 관련 건축행위가 활발하게 진행된 결과물로써 인각와가 등장한 것으로 보여진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reviewed the results of the excavation of Iksan Earthen Fortress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excavated stamped roof tiles and the date of their use. Lik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wanbuk-ri ruins and Busosanseong Fortress in Buyeo, the fortress was operated as a rear fortress or refuge fortress for the Wanggung-ri ruins in Iksan.
    Through annual excavations since 1980, Iksan Earthen Fortress was confirmed to be a mixed earthen fortress made of stone and soil, contrary to existing views.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fortress wall was confirmed to be excavating the rock layer or filling the slope with soil according to the natural topography, and main pit facilities were confirmed at some points in the male and northern fortress walls, and their use was as support or construction in the process of building the fortress wall.
    Although it can be seen as a line, it has been confirmed that it goes inside the castle wall, so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f antecedent remains can also be considered.
    The stamped roof tiles excavated during the excavation of Iksan Earthen Fortress are classified into ‘subu(首府)’ stamped roof tiles, which symbolize the capital and were used in important buildings, ‘obu(五部)’ stamped roof tiles, which are related to the method of organization within the capital city, and ‘kanji(干支)’ stamped roof tiles, which can be dated. do.
    The ‘subu(首府)’ stamped roof tile is an stamped roof tile that can only be found in Iksan and other designated areas. Its meaning is thought to be a tile that symbolizes the capital and is used in important buildings in that region. When viewed through 3D modeling results, the ‘subu(首府)’ stamped roof tile represents the repeated useing.
    The ‘obu(五部)’ stamped roof tile related to the method of organization within the city walls include ‘sinbu gapwa(申卩甲瓦)’, “hubu eulwa(後卩乙瓦)’ stamped roof tile, ‘sangsu(上氺)’, ‘jeonsu(前氺)’, ‘jungsu(中氺)’, ‘hasu(下氺)’, and ‘husu(後氺)’. The stamped roof tile of the ‘husu(後氺)’ was confirmed. The stamped roof tile, which is a combination of ‘gap(甲)’ and ‘eul(乙)’, is commonly identified in the Iksan and Buyeo regions, and its meaning is thought to be the repair tiles for buildings related to the state or the royal tiles donated by each department for roof tiles needed for construction projects related to the royal family.
    Meanwhile, a circular ‘○su(○氺)’ stamped roof tile was newly excavated from Iksan Earthen Fortress, which was a combination of the characters ‘sang(上)’, ‘jeon(前)’, ‘jung(中)·’, ‘ha(下)’, ‘hu(後)’ and ‘su(氺)’. To date, the ‘○su(○氺)’ stamped roof tile has been confirmed only in the Iksan region, and when viewed through the usage of the characters ‘sang(上)’, ‘jeon(前)’, ‘jung(中) ·’, ‘ha(下)’, ‘hu(後)’, it appears to be a new type of ‘obu(五部)’ stamped roof tile. Regarding the background of its appearance, it is thought that it was made for a special purpose different from the nature of the tiles donated by each department for royal-related construction projects, that is, tiles made around construction activities at the time and delivered with taxes.
    The ‘kanji(干支)’ stamped roof tiles whose dates can be determined are ‘eulchuk(乙丑)’, ‘jin(辰)’, ‘ohjo(午助),’ ‘sinsa(申斯)’, ‘giyu(己酉)’ stamped roof tiles, which correspond to the years 605 to 650. In the case of stamps whose dates have been confirmed, looking at the fact that they were commonly excavated at the Wanggung-ri ruins, including the Iksan Toseong Fortress, and Mireuksa Temple Site, and the date of construction of the ruins, it can be seen that they were used in the late 6th century to the 7th century, and the main period was the 7th century Baekje. It appears that stamped roof tiles appeared as a result of active construction activities related to Iksan during the reign of King Mu.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호남고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