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14 세계 디지털인문학’ 학술대회 및 한국의 디지털인문학 (‘Digital Humanities 2014’ Review and Digital Humanities in Korea)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14.09
23P 미리보기
‘2014 세계 디지털인문학’ 학술대회 및 한국의 디지털인문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문콘텐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문콘텐츠 / 34호 / 53 ~ 75페이지
    · 저자명 : 홍정욱, 김기덕

    초록

    본 글은 스위스 로잔에서 개최된 2014년 세계디지털인문학 학술대회(DigitalHumanities 2014)를 소개하고, 한국의 디지털인문학 현황을 검토한 것이다. 이학술대회의 주제는 ‘디지털 문화의 역량강화’(Digital Cultural Empowerment)였는데, 이는 인문학 입장에서 디지털 기술의 다양한 접목을 통해 디지털문화의 역량강화를 모색한 것이다. 결국 이것은 ‘디지털기술’에 방점이 있는 것이 아니라 ‘인문학’에 방점이 있는 것이다.
    본 대회는 총 223편의 논문발표와 115편의 포스터가 있었고, 학술대회 참여자명단에는 총 873명의 저자들이 이름을 올렸다. 기조연설이 4편 있었는데, 특히 부르노 라투르(Bruno Latour)의 연설(Rematerializing Humanities Thanks toDigital Traces: 디지털 발전으로 인한 인문학의 재탄생)이 주목되었다. 그는 디지털이라는 개념에 대한 인식을 둘러싼 일반적 오류를 지적하면서, 디지털인문학에서디지털은 한 영역이라기보다는 인문학 연구의 확장을 가져올 수 있는 도구로 보아야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디지털기술은 이전에 추상적 영역에 있던 것들을 경험적영역 속으로 전환하여 구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다양한 워크샵은 인문학 연구자들에게 필요한 디지털 기술 관련 실용적인 내용들이 다루어졌다. 즉 디지털 툴 또는 프로젝트 소개 및 활용에 관한 주제와 디지털인문학 연구방법론에 관한 발표가 있었다. 패널 세션은 현재 디지털인문학에서 추진중인 프로젝트 및 방법론 등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패널 참가자들과의 논의를 통하여 좀 더 발전적인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디지털인문학의 융합적 특성에 맞추어, 좀 더 실용적이고 체계적이며 세분화된 방법론 정립 및 모색에 대한 노력들이 시도되었다.
    일반 발표 논문은 제목으로 분석할 경우, ‘TEI’, ‘topic modeling’, ‘text analysis’,‘archives’라는 키워드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다수의 키워드들이‘collaboration’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관계만을 형성하고 있었다. 즉‘collaboration’을 중심으로 ‘visualisation’, ‘Project Management’, ‘OCR’,‘Software’, ‘Tool’, ‘Text analysis’ 등의 키워드가 관계망을 형성하고 있다. 이를바탕으로 해석해보면, 인문학적 연구방법(text analysis, visualisation)을 토대로 다양한 디지털 기술 및 툴(tool, software, OCR 등)이 결합하는 디지털인문학의 연구방법론적 특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발표 논문들 대부분이 2인이상이 참여한 공동 연구들로 이루어져 있어 단독저자 논문을 찾아보기 어려운이유도, 이러한 방법론적 특성으로 인해 인문지식과 디지털 기술의 공유가 불가피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또한, ‘visualization’ 을 중심으로 ‘text analysis’, ‘text mining’, ‘ontology’,‘poetry’, ‘xml’ 등의 키워드가 관계망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는 디지털인문학에서의인문학 연구 및 분석을 맵핑(mapping)하고 시각화하려는 경향을 반영한다고 볼수 있다. 끝으로 디지털인문학의 세계적인 동향과 관련하여, 이번 학술대회를 주관한로잔공과대학(EPFL)의 프레드릭 카플란 교수에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세계적인 동향을 한국과 비교하자면 여러 교차점이 발생하면서 유사성과차이성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한국도 일찍부터 인문학과 디지털기술의 결합을시도해 왔다. 더 나아가 그러한 성과가 산업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문화콘텐츠’라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여 왔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가장 아쉬운 점은 인문학자들과 디지털 기술을 구사하는 전문가가 유리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는 인문학 자료의올바른 맥락화를 저해했으며, 여전히 인문학자들은 디지털기술과의 직접적인 결합의 주체가 되지 못하는 한계를 가져왔다. 그런 점에서 한국의 상황에서 시급한 정책과제는 인문학자를 대상으로 한 디지털인문학 교육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디지털인문학은 인문학자가 중심이 되어 디지털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연구성과를산출할 때에 완성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앞으로 한국도 세계디지털인문학을주관하는 ADHO의 산하단체로 가입하여 활동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영어초록

    The paper examines Digital Humanities 2014 conference held in Lausanne in Switzerland and also discusses the current trends in the discipline of Humanities in Koreain keeping up with so-called a new trend of digitalization.
    Under the conference theme of ‘Digital Cultural Empowerment’, 223 papers and 115 posters were presented and 873 authors were on the list of participants, discussing a variety of research questions applying digital technology in the humanities research. In particular,Bruno Latour, in his plenary speech with the title of ‘Rematerializing Humanities Thanks to Digital Traces’, called attention with his no tion of the digital, showing the digital is not a single domain but a single entry to bring the expansion of humanities research domain. H is point of view on the digital is still in discussion among digital humanists, even after theconference.
    The workshop sessions comprised a variety of practical topics which mainly focus on theneeds from humanities research and researchers. The participants were given practical training of digital technology or opportunities to share the experiences or information fromthe leading scholars of the field who are mostly involved in managing or directing some major projects or developing digital tools or technology. The panel sessions proved veryactive efforts of the scholars to expand and systematize the methodologies in approachingwith increasingly extending research ideas and questions in the field. Through the papersessions, some key words, such as ‘topic modeling’, ‘text analysis’, and ‘archives’, weremost discussed, proving that text-based research topics or methodologies are quite dominant in digital humanities. Also, analyzing the relations among all the key words, thekey word ‘collaboration’ was most frequently connected with other key words. In moredetail, the key words related to text (ex. ‘text analysis’) were in network with other keywords like ‘visualization’, ‘project management’, ‘OCR’, and ‘software’, through‘collaboration’ which is one of the key features of digital humanities. This also implies that the research projects in digital humanities are not possible to be done with only one single method and by only one or two researchers, but rather requiring collaboration andcooperation with skills and knowledge from the researchers and organizations or institutes in different fields or disciplines.
    Discussing the interdisciplinary studies of digital and humanities in Korea and its similarities and differentces from the U.S and Europe, the paper argues that in Korea, also,the humanities research with the digital application has been attempted since the 1990s. In Korea, the term ‘Culture Contents’ has been used, replacing Digital Humanities. It has been developed as a field of study, seeking its convergence with commercial activities. However,most the humanists involved in this field have been isolated from the digital technology.
    Their lack of the knowledge and skills has resulted in failing convergence of humanities and digital and also failing in positioning the humanists themselves as the leading agent inthe field. In this regard, the paper emphasizes that the practical training program needs to be prepared and given to the humanists, to provide the knowledge and ideas of digital application. Also, as a way to bring the advancement of the field in Korea, it suggests that the humanists in Korea create an association of digital humanities and also join in umbrella organizations or communities, such as ADHO. Through the network, they can share the ideas with the digital humanists in the glob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콘텐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