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각 인지 특성을 반영한 생성적 이미지 인페인팅 기술 (Generative Image Inpainting Method Reflecting Human Perceptual Characteristic)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21.06
9P 미리보기
시각 인지 특성을 반영한 생성적 이미지 인페인팅 기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전자공학회
    · 수록지 정보 : 전자공학회논문지 / 58권 / 6호 / 41 ~ 49페이지
    · 저자명 : 오희석, 최원석

    초록

    이미지 인페인팅은 의도적 혹은 비의도적으로 발생한 손실 영역을 자동으로 복원하는 기술이며, 특히 편집 관점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특정 객체를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널리 활용된다. 고전적인 확산 및 패치 기반 접근과 더불어, 최근에는 타 컴퓨터 비전 분야와 마찬가지로 심층신경망을 활용한 기술들이 소개되었다. 하지만 기존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및 GAN(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기반 인페인팅 결과는 블러나 시각적 결함(artifact)과 같은 화질 저하 요소를 빈번히 포함한다. 이는 인페인팅 시나리오에 있어 전역적 의미 추론을 위해 CNN을 통해 특징 공간에 임베딩된 표현이, 손실 영역 복원을 위한 구조적 정보와 고주파 성분으로 동시에 디코딩되기 어려움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인간의 시각 인지 특성을 반영한 두 단계의 인페인팅 과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두 개의 GAN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첫 번째 생성망은 시각 정보의 일차시각피질 전달 과정을 모방한 MSCN(mean subtracted contrast normalized) 계수를 생성한다. 두 번째 생성망은 이미지 완성을 위해 생성된 MSCN 계수를 사전 구조 정보로 이용함으로써 손실 영역이 복원된 RGB 이미지를 생성한다. 가중치를 공유하지 않는 두 독립적인 생성망은 각각의 판별망에 적대적으로 end-to-end 학습되며, 두 단계에 걸친 추론을 통해 손실 영역의 단순한 구조 뿐 아닌 미세 성분까지 효과적으로 복원이 가능하다. CelebA 데이터셋을 활용한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시각 인지 특성을 반영한 생성적 인페인팅 방법이 넓은 비규칙적 손실 영역에 대해서도 기존 기술 대비 정성적/정량적으로 우수한 성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Image inpainting represents a technique of recovering the content in missed spatial area, and which is widely being employed to discard an unwanted object in terms of image adjustment. In recent, beyond the conventional diffusion- and patch-based approaches, various deep learning-based schemes have been introduced as the other computer vision tasks. However, inpainting methods with utilizing a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nd GAN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generally resulted in the blurred image or local artifacts. That is, previous methods cannot effectively decode the embedded features for abstracting global semantic representation to RGB image domain implying contextual structure and fine-details simultaneously. To cope with this problem, we propose a two-stage inpainting scheme reflecting the human’s perceptual characteristic. The proposed method consists of two GANs. The first generative network aims for generation of MSCN (mean subtracted contrast normalized) coefficients which resembles a visual conveyance process from the eyes to the primary visual cortex (area V1) in the brain. The second generative network completes RGB image which refers the generated MSCN coefficients as a prior structural information. Non-shared two generative networks with each corresponding discriminator are trained in end-to-end manner, and the result argues that the proposed two stage method can sufficiently recover both structure and high-frequencies of the missed regions. The experiments are performed on CelebA dataset, and the quantitativ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generative inpainting scheme reflecting perceptual characteristic outperforms the previous methods regarding visual quality even in a large irregular hole scenari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전자공학회논문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