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세안 연계성과 초국경 인프라 연결인가 균열인가?: 국제개발협력 사례를 중심으로 (ASEAN Connectivity and Transboundary Infrastructure: Connections or Crack?: Focusing on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23.03
29P 미리보기
아세안 연계성과 초국경 인프라 연결인가 균열인가?: 국제개발협력 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부경대학교 글로벌지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Global and Area Studies / 7권 / 1호 / 211 ~ 239페이지
    · 저자명 : 최기룡, 황인원

    초록

    아세안(ASEAN)은 1967년 설립된 이후 지역 통합을 위한 여러 노력을 해 오고 있다. 2009년 등장한 연계성 의제는 ‘아세안 연계성 종합계획 2010(MPAC 2010)’, ‘아세안 연계성 종합계획 2025(MPAC 2025)’로 구체화하며 아세안을 통합하기 위한 정책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MPAC 2025는 물리적⋅제도적⋅인적 부문에서 연계성을 높이는 것을 기본 추진체계로 하고 있다. 아세안이 통합을 위한 정책수단으로 도입한 아세안 연계성이 의도한 대로통합에 긍정적인 영향을 보여주고 있는가 아니면 부정적인 영향도 나타나는가? 연계성을 높이기 위해 추진 중인 초국경 인프라 사업이 부정적 영향에 기여하고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국제개발협력에서 공여국이 지원하는 초국경 인프라 사업 사례와 공여국별연계성 관련 정책을 중심으로 제기된 문제에 접근하여, 영향과 원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공여국 중 일본은 양질의 인프라를 제공하여 아세안 공동체 실현을 위한 연결성(連結性)을 강화한다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으며, 중국은 MPAC 2025와 일대일로 이니셔티브 간 상호 시너지 효과를 증대하고 미래를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는 전략으로 아세안 연계성과 연결을 꾀하고 있다. 미국은 인프라 및 연결(connection)을 위한 미국-아세안 플랫폼을 만든다는 전략을 통해 아세안 연계성과 조화를 이루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막대한 자금이 투입되는 초국경 인프라 사업에 공여국의 국익이 개입될 수밖에 없어 아세안을 둘러싼 경쟁이 격해지며 영역 다툼 양상이 심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연계성 증진을 위한 아세안 개도국 회원의개발자금 수용이 긍정적 영향도 가져오지만, 통합에 균열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을 조심스럽게 진단하고 방향도 검토할 것이다.

    영어초록

    Since its establishment in 1967, ASEAN has been reborn as an alliance encompassing 10 member countries in Southeast Asia and 15 dialogue partners outside the region through continuous external expansion. For regional integration, ASEAN has been making various political and non-political efforts. The agenda for connectivity that appeared in 2009 was embodied in the ‘Master Plan on ASEAN Connectivity 2010(MPAC 2010)’ and the ‘Master Plan on ASEAN Connectivity 2025(MPAC 2025)’ and is being used as a policy tool for integrating ASEAN. MPAC 2025 is based on increasing connectivity in the physical, institutional, and person to person sectors. In order to promote connectivity, offshore ASEAN countries are also supporting the establishment of transboundary infrastructure in terms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Does ASEAN connectivity, introduced as a policy tool for integration by ASEAN, have a positive or negative impact on integration as intended? If the transboundary infrastructure project being promoted to increase connectivity is contributing to negative impacts, what is the reason?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and causes by approaching the problems raised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focusing on the cases of transboundary infrastructure projects supported by donor countries and policies related to connectivity by donor countries. Japan is pursuing a strategy to strengthen connectivity for the realization of an ASEAN community by providing quality infrastructure, while China is seeking connectivity with ASEAN by increasing the synergy effect between MPAC 2025 and BRI(Belt and Road Initiatives) and building ‘infrastructure for tomorrow(i4t)’. The United States is working to achieve ASEAN connectivity and harmony through its strategy of creating a US-ASEAN platform for infrastructure and connection. However, as national interests of donor countries are inevitably intervened in transboundary infrastructure projects in which enormous funds are invested, competition over ASEAN is intensifying and turf wars are intensifying. This study will carefully diagnose the fact that acceptance of development funds by members of developing countries in ASEAN to enhance connectivity has positive effects, but can cause cracks in integration, and review the dire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Global and Area Studies”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