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창원 신라금이 가야금이 아닌 이유 (Why Shosoin Sillageum Is Not Gayageum But Sillageu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17.12
46P 미리보기
정창원 신라금이 가야금이 아닌 이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연구 / 88호 / 365 ~ 410페이지
    · 저자명 : 김성혜

    초록

    일본 나라시(奈良市)의 동대사(東大寺) 정창원(正倉院)에는 신라에서 건너간 신라금(新羅琴) 세 대가 있다. 신라시대에 제작된 현악기 유물이 국내에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이 악기는 비록 국외에 있지만 사료적 가치가 매우 크다. 더욱이 이 악기는 일본 고대 현악기 화금(和琴)의 생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 악기이기 때문에 일본 음악학계에서도 일찍이 주목한 현악기다.
    이 악기는 1908년부터 최근까지 약 110년 동안 대부분의 학자들이 가야금으로 인식하였다. 그렇게 인식된 이유는 현재 정악가야금과 악기 구조가 닮았고, 『악학궤범』 가야금 구조와도 닮았으며, 신라토우의 현악기 구조와도 닮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삼국사기』 가야금 제작 관련 사료에 집착한 데도 원인이 있었다.
    필자는 신라토우의 현악기가 가야금이 아니라 신라의 금, 즉 ‘신라금(新羅琴)’이라는 주장을 펼쳤고, 다시 정창원 신라금이 가야금이 아니라 신라금이라고 주장했지만, 또 다시 가야금이라는 주장의 글이 발표되었기에 필자 역시 정창원 신라금은 신라금이며 가야금이 아니라는 주장을 좀 더 구체적으로 10가지를 들어 논증하였다.
    가야금이라고 주장하는 학자들의 문제점은 무엇보다 신라토우 같은 고고학 자료의 출토지와 편년에 관한 인접학문의 연구 성과를 반영하는 노력이 부족하였고, 사료를 폭 넓게 검토하고 합리적으로 해석하는 점이 부족했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많은 학자들이 너무 지나칠 정도로 가야금에 편중된 견해를 제시하였고, 지금도 변함이 없다. 그 원인은 짐작컨대 조선시대 기록을 지나치게 인식하고, 지금 사용하고 있는 정악가야금을 안중에 두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런 편중된 견해는 신라인들이 사용한 ‘신라금’ 자체를 인정하지 않는 결과를 초래했다. 신라인들이 사용한 금(琴)에 대한 기록이 사료에 버젓이 실려 있고, 신라 왕경에서 출토된 현악기 관련 유물도 있으나,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가야금에만 집중했고, 가야금으로만 보고 싶어 했다. 이로 인해 신라인들의 악기, 신라인들의 음악 문화가 역사에서 가려지고 왜곡되는 결과를 낳았다. 그동안 학자들의 편견으로 인해 신라금은 역사 속에서 너무 오랫동안 갇혀 있어야 했다. 필자는 이 갇혀 있는 신라금을 이제 세상 밖으로 꺼내어 그 존재를 알리고, 그 가치를 다시 한 번 새겨보는 데 의미를 던진다.
    신라금이냐? 가야금이냐? 비록 악기 명칭에 관한 문제이지만, 역사를 올바르게 세우고 시비를 가림에 있어서 결코 소홀히 할 수 없는 문제이다. 이와 유사한 사례로 일찍이 우리는 일제(日帝)의 잔재로 사용된 ‘국민학교’란 명칭을 광복 50년 만인 1995년에 마침내 ‘초등학교’로 바로 잡았다. 또한 경주 시민들은 조선시대 명칭으로 사용된 ‘안압지(雁鴨池)’를 연구자들의 발표와 토론을 거쳐 2011년에 신라시대 명칭인 ‘동궁(東宮)과 월지(月池)’로 회복하는 일을 해냈다. 이런 맥락에서 우리는 이제 정창원 신라금이 가야금으로 인식된 것을 신라금으로 바로 잡아야 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

    영어초록

    There are three of sillageum(新羅琴) in Todaiji(東大寺) Shosoin(正倉院) in Nara, Japan which went over there during the Silla era. Although these instruments are abroad, they are very important historical materials because there are only a handful of silla stringed instruments left in the country. Moreover, the instruments have drawn the attention of the Japanese music society since it influenced directly in the formation of the ancient Japanese stringed instrument, hwageum(和琴) This instrument had been recognized as gayageum by most music researchers since 1908 up until recently. Because its structure is just like that of jeongak gayageum, similar to that of the gayageum illustrated in the Akhakguebeom(樂學軌範) and that of the stringed instrument found in Silla clay figure. Besides, the researchers are obsessed with the historical materials on gayageum production found in Samguksagi(三國史記).
    I maintained that the stringed instrument found in Silla clay figures and Shosoin sillageum are not gayageum but sillageum. However, there was another thesis that contradicts the opinion, so I had to come up with the 10 specific reasons why Shosoin sillageum is not gayageum but sillageum.
    The problems of the researchers who maintain that those are gayageum are that they did not do enough to reflect the neighboring disciplines’ research results on the excavation site of Silla clay figures and the chronology and that they did not examine historical materials extensively enough for proper interpretation. In addition, many researchers’ opinions are excessively biased towards gayageum and there is no sign that they are going to change. It is assumed that they are under too much influence of the historical records from the Joseon era and jeongak gayageum that are still in use.
    This biased opinion resulted in a denial of the existence of sillageum itself which had actually been used by Silla people. In spite of the historical records on geum(琴) used by Silla people and the relics associated with stringed instrument excavated in the site of Silla capital, most researchers just concentrated on gayageum and would even love to look upon it as gayageum. As a result, the music culture and instruments of Silla were distorted in history. Owing to the researchers’ prejudice, the truth about sillageum has been kept in dark for so long in history. The writer attempts to make its existence known to the world and to appreciate its historical value.
    Sillageum or gayageum? Though it may sound like a problem of nomenclature, it can’t be thought lightly of if it is the matter of history. We have a precedent where we changed the name for elementary school to ‘chodeunghakgyo’ from ‘gukminhakgyo’ in 1995, 50 years after the country restored its independence from Japan, because it was named by the Japanese, therefore considered the vestige of Japanese imperialism. In addition, the citizens of Gyeongju restored the original name for the Silla royal villa, ‘Donggung and Weolji’, from Anapji which was named in the Joseon era. In the similar vein, it should be reviewed that Shosoin sillageum is considered gayageum and taken steps to reassess what it really 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