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7∼18세기 학계의 『소학』 담론 검토 - 이익(李瀷)의 『소학질서(小學疾書)』 편찬과 그 의미를 중심으로 - (Another Discourse on Sohak, from the 17th and 18th century’s Joseon academic circle - Examination of Sohak Jilseo(小學疾書, authored by Yi Ik, 李瀷)’s Compilation and Meaning -)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18.06
32P 미리보기
17∼18세기 학계의 『소학』 담론 검토 - 이익(李瀷)의 『소학질서(小學疾書)』 편찬과 그 의미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진단학회
    · 수록지 정보 : 진단학보 / 130호 / 49 ~ 80페이지
    · 저자명 : 이정민

    초록

    18세기 전반 성호 이익(1681∼1763)은 기존 『소학』 주석의 오류를 수정․보완함과 동시에 일부 경문과 주석을 자신의 관점에서 재해석한 주석서 『소학질서(小學疾書)』를 편찬했다. 이 책의 개성은 당시의 대표적 『소학』 주석서인 이이의 『소학제가집주』나 박세채의 『독서기』와 비교할 때 극명하게 드러나는데 기존의 주석은 대단히 적게 인용하고 본인의 견해를 높은 비중으로 상술했으며, 주희의 원문까지도 적극 교정했기 때문이다. 그의 접근방식은 박세채의 그것과 특히나 달랐는데, 박세채가 예를 고증함에 있어 주희의 해석이나 기존 예론서에 의지했다면 이익은 역사서와 개인경험을 적극 활용하였고, 박세채가 『소학』에 수록된 각종 예절의 배경을 이학적(형이상학적) 관점에서 해명했다면 이익은 실물과 경험을 동원한 형이하학적 설명을 시도한 점에서 그러하다.
    심지어 이익의 『소학질서』는 주희 『소학』에 대해서도 의외로 비판적 모습을 보였는데, 수록된 일화들의 적절성이나 간명성 부족을 지적한 대목이나 수록된 인물에 대해 주희와는 정반대의 평가를 내린 점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다만 동시에 주희 『소학』의 행간의 의미를 환기하려 노력했음 또한 주목되는데, 그러한 비평이 궁극적으로 주희가 『소학』을 통해 말하려 한 바를 온전히 복원하려는 시도였을 가능성을 시사하기 때문이다. 그가 『소학』 주석서를 집필하며 ‘질서(疾書)’라는 형식을 취한 것도 『소학』에 대한 기왕의 여러 주석들을 철저히 논평하는 동시에 주희 원(原) 주석의 진정한 모습을 살피려 한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 자유분방한 해석, 기존 해석에 대한 귀납적 논평, 원전에 대한 진지한 태도, 보이지 않는 것에 주목하는 철저함 등이 종래의 『소학』 주석서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소학』 주석서로서의 『소학질서』의 탄생을 가능케 한 것이라 생각된다.

    영어초록

    During the early half of the 18th century, renowned Confucian scholar Seong’ho Yi Ik(1681∼1763) authored a book titled Sohak Jilseo(小學疾書), which was essentially his own annotation of Sohak, correcting and replacing existing annotations to Ju Hi’s original Sohak and even revealing his own creative take on (and critical analysis of) Ju Hi’s past remarks. The uniqueness of this book becomes clear when it is compared with Yulgok Yi Ih’s Sohak Jega Jibju or Park Se-chae’s Dokseo-gi, as in Sohak Jilseo Yi Ik rarely cited previous annotations while including his own insights and opinions rather dominantly, and also because he did not shy away from correcting Ju Hi’s original passages. Especially, Yi Ik’s approach to Sohak and its meaning was distinctively different from that of Park Se-chae. In explaining the history and meaning of certain ritual protocols, Park relied upon Ju Hi’s original interpretation or previous annotations that apparently followed Ju Hi’s teachings while Yi Ik rather utilized history books and personal experiences. And while Park delivered rather metaphysical explanations for individual protocols’ backgrounds, Yi provided more grounded and realistic clarifications.
    Yi Ik even seemingly defied Ju Hi’s interpretation as well as challenged his position, as he frequently questioned the appropriateness of Ju Hi’s choice to include certain episodes in Sohak or criticized the lack of clarity in some of Ju’s analyses, while even evaluating the deeds of past figures completely differently from how Ju Hi viewed them in the past. However, his such attacks do not seem as designed to berate and denounce Ju Hi, as in fact Yi Ik went a long way to figure out what Ju Hi would have wanted to really say, by even exploring some hidden meanings that had been probably originally been inserted in Sohak’s early versions. In other words, what Yi Ik intended was creating an ultimately comprehensive reconstruction of Ju Hi’s original thinking. Yi Ik’s liberal attitude in interpreting the past, his deductive reasoning that led to most intuitive evaluations of past individuals, and a sincere honoring (albeit disguised in harsh criticism) of the original Ju Hi text, all seem to have led to a unique and most different kind of a Sohak annotation book that boldly chose to feature the form of “Jilseo,” which literally meant, and come to think of it most ironically, ‘random memo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진단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