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만도(李晩燾, 1842~1910)의 관직 활동과 서원 복설 건의 (Yi, Man-Do(李晩燾, 1842~1910)’s government service activities and Proposal for the Restoration Seowon(書院))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24.11
32P 미리보기
이만도(李晩燾, 1842~1910)의 관직 활동과 서원 복설 건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구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대구사학 / 157권 / 77 ~ 108페이지
    · 저자명 : 이인복

    초록

    이만도(李晩燾, 1842~1910)는 이황의 후손으로 조선 말기의 학자이자 관료이며, 1910년 한일합병에 항거하여 단식 순국한 인물이다. 이만도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관직생활을 그만두고 낙향한 이후의 구국활동과 자정순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순국의 배경에 대해 고찰하는 과정에서 그의 가계와 학문적 배경, 관직생활 등에 대해서 다뤄지고 있다. 한편 이만도의 경세론에 대한 연구는 이를 살필 수 있는 사료가 적은 편이라 연구가 되어 있지 않다.
    이만도는 생부인 이휘준과 족형 이만각(李晩慤), 처가의 권승하와 권연하(權璉夏)에게서 수학을 하였다. 그 중에서도 이만도의 학문에 영향을 끼친 사람은 이만각이다. 이만각은 조부 이태순(李泰淳)과 외숙인 유치명(柳致明)에게 가르침을 받았으며, 문장과 시는 이야순(李野淳1)과 이가순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또한 이만도는 권승하와 권연하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권승하와 권연하는 안동권씨(安東權氏) 권벌(權橃)의 후손으로 유치명의 문인이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이만도의 학문적인 배경으로 퇴계로부터 이어져 내려오는 가학을 강조하고 있기는 하지만, 이만각이나 권연하 등 이만도에게 학문적인 영향을 준 이들이 대부분 유치명의 문인인 것으로 보아 유치명과 정재학파의 학문적인 영향도 받았을 것이다.
    876년(고종 13) 이만도는 사헌부, 사간원, 홍문관의 관직을 주로 역임하였으며, 그중에서도 홍문관 관원으로서 재임한 것이 가장 많다. 이에 이만도는 고종 초기 경연에 참여할 수 있었다. 이만도는 주로 『맹자』를 진강하였으며, 소대에서는 『자치통감』을 진강하였다. 이만도가 강조하는 것은 군주의 중요성, 그리고 정학(正學)이었다. 즉 『맹자』에 따라 요순의 도가 인의(仁義)에 지나지 않으며, 위에서 인의를 좋아하여야 아래에서 인의를 좋아함을 언급하면서 국왕의 역할을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또 양주(楊朱)와 묵적(墨翟)을 비판하면서 유학을 숭상하고 정도(正道)를 중시하여 선왕의 옛 법도를 회복하여 객사(客邪, 동학)가 침범하지 말게 할 것을 강조하였다.
    이만도는 사술(邪術)을 배척하기 위해서는 정학(正學)을 숭상해야 하고, 정학을 숭상하기 위해서는 유현을 존숭해야 하고 유현을 존숭하기 위해서는 훼철한 서원을 복원해야 한다고 하였다. 서원을 없애게 되면 인의와 도덕의 설을 들을 곳이 없어져서 결국 사설(邪說)에 빠질 것이라고 하였다. 이만도는 사설(邪說)에 빠지는 것은 곧 객병(客病), 객사(客邪)가 침해하는 것이라고 하였는데, 이는 곧 동학(東學)을 말한다. 당시 유학자들은 유학에서 말하는 정(正)과 사(邪)의 논리에 따라 동학을 사(邪)로 규정하였으며, 동학이 지닌 기복적 요소에 미신적 요소 등을 비판하였다. 이만도 역시 당시 경북지역 유학자들의 인식과 크게 다르지 않은 인식을 보여주며, 동학을 저지하기 위해서 서원의 복설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영어초록

    Yi, Man-Do(李晩燾, 1842~1910) is a descendant of Yi, Hwang(李滉), a scholar and bureaucrat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and a person who committed suicide by fasting against the Korean-Japanese Consolidation in 1910. Most of the research on it is focused on activities and independence movements after quitting government life and returning to his hometown.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examining the background of suicide for the country, his family, academic background, and office life are being dealt with. On the other hand, research on his response to reality has not been conducted because there is little data to examine it.
    He studied mathematics with his father, Lee Hui-jun, and his relatives, Yi, Man-gak(李晩慤, 1815`1874), and Kwon Seung-ha of his wife's family. Among them, Yi, Man-gak influenced Yi, Man-do's studies. Although the academic background of Lee Man-do emphasizes the sadism that continues from Toegye, most of the people who influenced Lee Man-gak and Kwon Yeon-ha were literary figures of Yoo Chi-myung(柳致明), so they must have been influenced by the Confucian name and Jeong Jae-hak.
    He mainly served as a government official of the Ministry of Social Affairs, Saganwon, and Hongmungwan, and among them, he served as a government official of Hongmungwan. As a result, Lee Man-do was able to participate in the early competition of King Gojong. He mainly lectured on『孟子』 and『資治通鑑』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the king, mentioning that Yo, Soon(堯舜)'s Do(道) is nothing more than human righteousness, as the contents of『孟子』, and that he likes human righteousness only when he likes human righteousness above.
    He said that in order to defeat Sasul(邪術), we must worship Jeonghak(正學), and in order to worship Jeonghak(正學), we must respect Yoohyeon(儒賢), and in order to respect Yoohyeon(儒賢), we must Restoration for Seowon(書院). It was said that if the Seowon was removed, there would be no place to listen to the theories of humanity and morality, and eventually fall into an editorial, soon Donghak(東學). At that time, Confucian scholars defined Donghak(東學) as private, and criticized the undulating and superstitious elements of Donghak(東學). He also showed a perception that was not very different from that of Confucian scholars in Gyeongsangdo(慶尙道) at the time, and said that it was important to review the Confucian academy to prevent Donghak(東學).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