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에디트 슈타인과 감정이입(II): 에디트 슈타인의 감정이입(Einfuhlung)의 치유학 -퀴블러 로스의 죽음 수용단계와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중심으로- (Edith Stein and Empathy (II): Edith Stein's Healing Therapy of Empathy(Einfühlung) -Focusing on Acceptance Stage of Dying and Hospice Palliative Care-)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0 최종저작일 2019.10
32P 미리보기
에디트 슈타인과 감정이입(II): 에디트 슈타인의 감정이입(Einfuhlung)의 치유학 -퀴블러 로스의 죽음 수용단계와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하이데거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유럽철학연구 / 55호 / 63 ~ 94페이지
    · 저자명 : 이은영

    초록

    본 글의 핵심은 철학자 에디트 슈타인의 Einfühlung(Empathy)이 왜 오늘날 치유학으로서 유효한 패러다임으로 제시될 수 있는가에 있다. 이것은 공감의 치유학과 감정이입의 치유학이 어떻게 구별되는지에 대한 간접적 논의이며, 퀴블러-로스의 죽음 수용단계와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죽음에 직면한 환자를 중심으로 진행된다. 다시 말해서 이 글은 철학이 치유학으로 성립될 수 있는가. 만일 그러하다면 그 논의를 어떻게 이끌어 낼 수 있는가에 목표가 있다. 그 과정에서 슈타인의 감정이입이 이 논의의 유의미한 패러다임으로 제시된다. 일반적으로 철학실천에서 내담자 또는 간호수용자는 간호제공자에게 도움을 요청한다는 점에서 주체와 간호 대상이라는 주객 관계로 간주되어 왔다. 하지만 간호제공자는 간호수용자의 주체가 아닌 상호 이해와 소통을 통한 상호주관적 입장에서 전개된다면 양자 간의 인격적 주체로서의 철학실천은 가능할 것이다. 바로 이 지점에서 종래의 공감 위주의 철학실천에서 감정이입에로의 치유학이 성립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이 곧 sympathy와 empathy가 어떻게 구별되는지에 대한 간접적 논의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공감은 상담자가 내담자의 고통을 자신의 고통인 것처럼 ‘느낄 수'는 있으나 내담자의 내면적 세계를 ‘이해'하는 데 한계가 드러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에 감정이입은 내담자의 고통을 자신의 고통인 것처럼 느낌과 동시에, 간호수용자의 고통을 이해하며 그 간호수용자는 자신을 이해하는 간호제공자를 통해 위안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따라서 감정이입으로서의 치유학은 간호제공자와 간호수용자의 상호 인격적 주체성이 인정됨과 동시에 그들의 차이를 극복해 나갈 수 있는 유효한 패러다임이라고 판단된다.

    영어초록

    The main point of this paper is the rationale for why philosopher Edith Stein's Einfühlung (Empathy) can be presented as a valid paradigm in the philosophical practice of today. This argument can also be an indirect discussion on how sympathy and empathy are differentiated. The discussion progresses in association with the Acceptance Stage of Dying presented by Elisabeth Kübler-Ross. Then how Stein's healing therapy of empathy is differentiated from that of sympathy? Stein argues that empathy is required for us to experience ourselves in empathy as 'related' with the world filled with others and objects, not isolated, i.e., self-centered, in the world. If experiencing others is the first aim of empathizing, it can then progress to thorough and objective understanding of ourselves based on it. The philosophical practice mentioned as a major philosophical healing has been conducted as to how to understand the counselee, or how philosophy can understand and heal or cure counselees through sympathetic conversation or sympathetic emotions. It was because philosophical practice has been interested mostly in the counselees and their problems. What about the counselors during the procedure? In other words, what attitude of philosophical practice is required from the counselors? The required attitude is that the counselors perceive themselves objectively by themselves. This is the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philosophical practice and psychotherapy, and the reason why philosophical theories must be the foundation for philosophical practice. As far as it is based on philosophical theories, philosophical practice can be effective in exploring potentials to heal both counselees and counselors in the process of counseling or curing through the paths of perceiving philosophical truth. If this is true, what is important in philosophical healing is not how to emotionally accept the counselee in exploring the ways of healing. Rather, it is how the counselor and counselee can perceive themselves objectively and thoroughly in the process of philosophical counseling and curing, and, in this reciprocal subjectivity, how the counselor or caregiver can look at themselves objectively and thoroughly. Therefore, Stein's philosophical healing through empathy can be presented as a significant paradigm for tod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