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야불교 전래 관련 쟁점 재검토― 『삼국유사』에 언급된 불교용어와 음역어(音譯語)를 중심으로 (A Critical Review of the Issues of Gaya Buddhism Introduction -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Buddhist Terms and Transliterations Mentioned in the Samgukyusa -)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0 최종저작일 2018.07
31P 미리보기
가야불교 전래 관련 쟁점 재검토― 『삼국유사』에 언급된 불교용어와 음역어(音譯語)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보조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보조사상 / 51호 / 9 ~ 39페이지
    · 저자명 : 황정일

    초록

    가야는 『삼국유사』에서 언급된 이후 그 역사성과 더불어 불교 전래와 관련해서 끊임없이 그 진위가 문제시되고 있다. 특히, 불교와 관련해서는 ‘가락(駕洛)’이라는 국명(國名)과 아유타(阿踰陀)라는 전래 지역, 그리고 그 전래 시기가 문제로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 문제들을 중심으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불전(佛典)의 음역어(音譯語)를 추적함으로써 『삼국유사』에서의 가야불교와 관련한 진위를 논구했다. 그 결과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가야의 국명과 관련한 기존의 주장은 1) 인도의 붓다-가야(Buddha-Gayā)라는 불교적 지명에 근거한 주장, 2) 남인도 드라비다어에서 ‘가야’가 물고기를 뜻하기 때문에 가야 지역의 물고기 숭배와 관련되었다는 주장, 3) 고대 한국어의 음운변화(音韻變化)에 의한 것이라는 주장 등이 있었다. 그러나 『삼국유사』 「어산불영」의 내용과 그 음역어를 추적한 결과, 가야의 원어는 나게라갈(那揭羅曷)에 해당하는 nagarahāra에서 유래한 것으로 논구했다. 특히, 이곳은 과거 동서양을 잇는 교역지였으며, 불경과 불상이 중국으로 전해졌던 간다라(Gandhara) 지역의 일부였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가야불교의 전래 지역과 관련해서 1) 아유타(阿踰陀)는 『라마야나』 이후 만들어진 가상의 도시라는 허구설과, 2) 남인도의 물고기 숭배와 관련한 남인도 출자설 등에 대해서는 논자의 기존 연구를 보완해서 고대 인도 중북부 지역에 실존했던 도시로 보았다.
    셋째, 가야불교 전래 시기와 관련해서는 『삼국유사』 「파사석탑」에서 언급된 ‘상교(像敎)’라는 말에 주목했다. ‘상교 = 불교’로 이해하는 일반적 해석이 아니라, 상교라는 단어의 본래 뜻인 불상과 교법으로 해석해 보면, ‘상교’가 나오는 구절을 ‘불상과 경전이 없어서 절을 짓지 못했다’로 번역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이러한 해석이 가능하다면, 가야불교의 전래 시기는 가야 성립 초기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고 보았다.

    영어초록

    Ever since it was mentioned in Samgukyusa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Gaya, the name of an ancient Korean kingdom, has been the center of controversy over the issues of whether it actually existed or not, and of its relationship with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to Korean peninsular.
    In particular, with regard to Buddhism, the state name of Garak(駕洛), Ayuta(阿踰陀) from which region Buddhism was said to be imported to ancient Korea, and the connection time have been controversial. To explore these issues,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studies and transliterations of Buddhist scriptures to define the truth or falsehood of Gaya Buddhist mentioned in Samgukyusa.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outlined below.
    First, existing theories related to the Gaya state name include 1) the Buddhist name place known as Buddha-Gayā in India, 2) Gaya's fish worship faith since Gaya means fish in South Indian Dravidian, and 3) Korean phonological change. However, this writer explored Samgukyusa's Eosanbulyeong(魚山佛影) tale and corresponding transliterations, finding that the word Gaya came from nagarahāra mentioned as Nageragal(那揭羅曷). In particular, this place was found to have been a trade hub connecting the West and East in ancient times, and part of Gandhara from which region Buddhist scriptures and images were brought to China.
    Second, with regard to existing theories related to the origin from which Buddhism was brought to Gaya, which include 1) Ayuta(阿踰陀) was an imaginary city created after Rāmāyana and 2) South India in relation to South India's fish worship faith, this writer complemented the existing theories and saw the area as an actual city in the middle and north region in ancient India.
    Third, with regard to the Gaya Buddhism preaching time, attention was paid to ‘Sanggyo(像敎)’ mentioned in Samgukyusa's PasaSeokdap(婆娑石塔). Apart from the general understanding or interpretation of ‘Sanggyo=Buddhism’, if the word Sanggyo is originally meant as Buddha image and Buddha teaching, it can be translated as being unable to build temples due to the absence of Buddha image and Buddhist scriptures. In other words, if this interpretation is allowed, the Gaya Buddhism preaching time can be traced back to the early founding time of Gaya depending on the interpretation of Sanggy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보조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