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희생 제물로서의 그리스도의 죽음의 의미:74 바울 서신에 나타난 용례들을 중심으로 (The Meaning of Christ’s Death as Sacrifice: Focus on Pauline Epistle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0 최종저작일 2013.10
26P 미리보기
희생 제물로서의 그리스도의 죽음의 의미:74 바울 서신에 나타난 용례들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성경과 신학 / 68권 / 349 ~ 374페이지
    · 저자명 : 한천설

    초록

    그리스도의 죽음은 바울 신학의 중심 주제이고, 그의 신학과 가르침의 핵심 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바울은 그리스도의 죽음을 희생적 죽음, 대속적 죽음, 화목적 죽음이었다고 정의하고, 더 나아가 새 언약을 세우는 ‘죄를 위 한 희생’, 그리고 하나님께서 모든 민족들을 향해 ‘자신의 의’ (righteousness) 를 나타내신 사건으로 해석하였다. 그리스도의 죽음에 대한 바울의 이러한 해석은 그 죽음의 의미에 대한 두 가지 확신에 기초하고 있다.
    첫째, 그리스도께서는 ‘희생 제물’로서 십자가 위에서 죽으셨다는 것이다. 이 확신은 (1) 바울이 그리스도의 죽음을 해석하는데 있어, 70인경에서 희생 의 형식들(formulae)을 자유롭게 사용한다는 것과, (2) 그 죽음이 갖는 의미들 을 강조하기 위해서, ‘유월절 어린양’, ‘속죄 제물’ 같은 i`lasth,rion (죄로부터 정결케 하는 희생)과 관련된 구약성경의 개념들을 상기시키는 것으로 표현 된다. 특히 바울은 그리스도의 죽음은 ‘새 언약’을 세운 희생 제사로 이해하 고 있다. 이것은 바울이 고린도전서 11:25, 고린도후서 3:6 등에서 그 언약을 언급하고있다는점과, 그리고그가언약에대한용어인‘의’를그죽음과관 련해서 자주 사용하고 있는 것에서 입증된다.
    둘째, 그리스도 죽음에 대한 바울의 또 하나의 확신은 하나님이 모든 민족에 게 ‘의의 복’을 내려주시겠다고 아브라함에게 하신 약속을 성취하는 가운데 수행된 하나님의 사역이었다는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아브라함을 향해 ‘하 나님이 자신의 의를 표현하신 것’이 ‘새 언약’의 형식 또는 ‘모든 민족’을 향 해 하나님이 자신의 의를 표현하신 형식을 취한 것이다. 즉 하나님께서는 ‘희생 제물’ 로서 예수 그리스도를 십자가에 매다시는 것으로 자신의 의를 보이셨고 (3:25), 모든 인간 - 유대인과 이방인 - 은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으로 만 의롭게 될 것이고, 하나님과 언약적 관계를 누리게 될 것이다. 왜냐하면 하나님께서는 십자가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피를 뿌리심으로써 새로운 언약 을 세우셨기 때문이고, 그리스도를 ‘우리의 의’로 만드셨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바울은 그리스도께서는 모든 사람, 곧 이방인과 유대인 모두 를 구원하기 위해서 i`lasth,rion (희생 제물)으로서 십자가 위에서 죽으셨다는 것을 확신하고 있었기에 유대인과 이방인 모두가 하나님의 은혜로 하나님의 백성이 되는 이신칭의의 복음을 선포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새 관점’ 학자들 이 ‘언약적 율법주의’ (Covenantal Nomism)의 전제 아래 유대인과 이방인의 구원받는 방식이 서로 다름을 제시하면서 이신칭의의 범위를 이방인으로 축 소시키고, 그리스도의 죽음의 의미를 제한하고 있는 것은 바울의 사상과는 전면적으로 대치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런 주장들은 “복음은 유대인이나 이방 인이나 모든 믿는 자들에게 구원을 주시는 하나님의 능력이라.”는 바울의 진 술(롬 1:16)과 대치되며, 또한 “유대인들이나 이방인들이나 다 죄 아래 있 다.”(롬 3:9)는 죄의 보편성을 간과한 것으로 바울의 가르침과는 완전히 대치 되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 death of Christ is the central theme of Paul’s theology and a fundamental point of departure for both his theology and teaching. Paul interprets the death of Christ as sacrifice, vicarious suffering, substitutionary atonement. Especially, Paul’s interpretation of Christ’s death rests upon two convictions concerning the meaning of the death.
    Firstly, the Apostle firmly believes that Christ died on the cross as sacrifice. This conviction is found in the expressions in (1) Paul’s free use of sacrificial formulae from the LXX interpreting the death, and (2)his evoking ideas of the OT-i`lasth,rion(i.e. “sacrifice which purifies from sin”), “passover lamb,” and “sin-offering,”-in order to highlight certain aspects of its meaning. Specifically, Christ’s death is the sacrifice which established the “new covenant.” This is shown (1)by Paul’s reference to the covenant in 1 Cor. 11:25 and 2 Cor. 3:6, along with (2)his frequent use of the language of covenant “righteousness” in association with the death.
    Secondly, another conviction of the Apostle concerning the cross is that Christ’ death was an act of God, carried out in righteous fulfillment of His promise to Abraham that He would bring the “blessing” of righteousness to all nations. In other words, “God’s expression of His righteousness” toward Abraham took the form of the “new covenant,” or “God’s expression of His righteousness” toward all nations. Finally, Paul interprets Christ’s death in terms of establishment of a covenant, righteousness involving Gentiles as well as Jews.
    In conclusion, Paul firmly believed that Christ died on the cross as i`lasth,rion, sacrificial offering, in order to save all people, both Jews and Gentiles. In other words, he proclaimed the gospel of Justification by faith that both Jews and Gentiles become the people of God by His grace. Thus we can conclude New Perspective scholars are shrinking the extent of the Justification by faith with the premise of Covenantal Nomism arguing the difference between Jews and Gentiles in way of salvation, and that limiting the meaning of the death of Christ contradicts Paul’s thought. Such arguments squarely contradict Paul’s statement “it is the power of God for salvation to everyone who believes, to the Jew first and also to the Greek (Rom. 1:16, ESV)”, and ignoring the universality of sin, they contradict Paul’s teaching “both Jews and Greeks, are under the power of sin (Rom. 3:9, ESV)”.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성경과 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