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죽음에 대한 생태미학적 관점이 적용된 지속가능한 베리얼 디자인 탐구 (Research into the Sustainable Burial Design from an Ecological Aesthetic Perspective towards Death)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0 최종저작일 2020.12
16P 미리보기
죽음에 대한 생태미학적 관점이 적용된 지속가능한 베리얼 디자인 탐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6권 / 4호 / 417 ~ 432페이지
    · 저자명 : 전유미

    초록

    본 연구는 인간의 죽음 이후에 발생하는 장례 절차들이 우리 사회와 자연 환경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면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디자인 탐색에 목적을두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생태주의와 생태미학에서이론적⋅철학적 근거를 모색하여 제시함으로써 죽음을 개인의 불행한 사건으로 단정하는 인식에서 벗어나, 라이프사이클 상의 당연하고 자연스러운 단계로수용하고 준비해야 하는 당위를 주장하였다. 그리고생태미학의 개념을 지속가능한 디자인에 통합하여 ‘생태미학적으로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목표와 접근법을추론한 후, 사례 연구를 거쳐서 최종적으로 ‘생태미학적으로 지속가능한 베리얼 디자인’에 필요한 준거와디자인 방법론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생태미학적으로 지속가능한 베리얼 디자인은사체와 골분이 생물 분해되어 생태계의 영양물질로사용될 수 있도록 생태효과성을 수반해야 한다. 둘째, 유골함이나 관이 생물에 영양분을 공급하거나 서식처로 활용될 수 있도록, 생태시스템에서 착안한 바이오미메틱 디자인 방식을 적용한다. 셋째, 사회의 구성원들이 생태원리와 생태미학에 근거한 새로운 장례 절차와 장법을 수용하기 용이하도록, 정신적 만족감과내적 가치의 전달을 고려한 스피리추얼 디자인의 접근법을 베리얼 디자인에 결합한다. 넷째, 생태적인 생활양식과 가치관을 사용자들이 스스로 확산하고 스토리텔링할 수 있도록 디자인 액티비즘적 요소를 강화한다. 마지막으로, 생태미학적으로 지속가능한 매장설계는 해당 지역의 특수성을 반영한 생태적 장례 공간을 새롭게 발굴하거나 기존의 묘지 공간을 생태미학적으로 변용하는 것을 고민해야 하며, 매장지나 납골당에 추가로 사회적 기능을 부여하는 등을 통하여각각의 생활권역에서 자립적⋅지속적인 장례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생태미학이 죽음을 다루는 스탠스를 기반으로 하여, 선택의 폭이 매우 좁을 뿐더러다양한 문제와 연관되어 있는 현재의 장례와 관련 절차들을 지속가능한 방향으로 이끌어나가기 위한 디자인 방법론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디자인 실험과 프로젝트 등 현실화방안에 대한 후속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esign so that funeral procedures occurring after human death can be carried out while ensuring the sustainability of our society and natural environment.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first sought and presented theoretical and philosophical grounds in ecology and ecological aesthetics, thereby securing justification for why our society should be free from the perception that defines death as an unfortunate event of individuals and accept it as a natural step in its lifecycle. And next, after integrating the concept of ecological aesthetics into sustainable design, the goals and approaches of ‘ecological sustainable design’ were deduced, and finally, the criteria and methodologies needed for ‘ecologically sustainable burial design’ were presented as follows.
    Firstly, ecologically sustainable burial design should be accompanied by ecological effectiveness so that the body and bones can be biodegraded and used as nutrients for the ecosystem. Secondly, biomimetic design methods based on ecological systems should be applied so that urns or coffins can be nourished or used as habitats for living organisms. Thirdly, burial design should combine the approach of spiritual design in consideration of spiritual satisfaction and the delivery of inner values so that members of society are more likely to accept new funeral procedures and burial methods based on ecological principles and ecological aesthetics. The fourth criterion is to strengthen the elements of design activism so that users can spread their own ecological lifestyles, values and storytelling.
    Lastly, ecologically sustainable burial designs should consider newly discovering ecological funeral spaces that reflect the specificity of the area, transforming existing burial spaces into ecological ones, and establishing independent and sustained funeral infrastructure in each living area by providing additional social functions to burial sites or charnel houses.
    As above, based on the stance of ecological aesthetics dealing with death, this study sought a design methodology to lead the current funeral procedures, which are not only very narrow in choice but also related to various issues, in a sustainable direction. It is expected that follow-up research on various design experiments and ways to realize the contents of this study will continue in the near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9 오후